A+ 모성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난소암 간호진단, 급성통증, 수술후 회복지연의 위험성, 신체상 혼란과 관련된 불안
본 내용은
"
A+ 모성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난소암 간호진단, 급성통증, 수술후 회복지연의 위험성, 신체상 혼란과 관련된 불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1
문서 내 토픽
  • 1. 수술부위(하복부)와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수술 후 1일째로 진통제가 투여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통증 자체는 대상자가 심리적으로 불안하게 만들어 다른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통증을 우선적으로 중재해 주어야 한다. 하루에 세 번 NPIS 통증척도를 이용하여 통증 점수를 사정하고, 통증사정도구 PQRST를 이용하여 통증 양상을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진통제를 5right에 맞게 투약하고,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하고 평가한다. 또한 대상자에게 통증관리를 위한 심상요법(음악듣기, 명상, 심호흡 등)을 교육한다.
  • 2. 광범위한 수술, 전신마취와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의 위험성
    수술부위에 지속적으로 oozing이 생겨 회복지연이 되면 또다른 위험요소인 감염의 위험이 생길 수 있으며, 전신마취로 인해 장운동 감소되어 있는 상태로 gas out 되지 않은 점과 배변 0회인 점, 또한 통증으로 인해 조기이상 지연과 신체활동 저하를 미루어 보아 수술 후 회복지연의 위험성이 있다. 하루에 세 번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하고, gas out 여부를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기침과 조기이상을 격려하며, 수술 부위와 Barovac 배액양상을 정기적으로 사정한다. 또한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5right에 맞게 투여하고,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사정하고 평가한다.
  • 3. 질병 및 수술로 인한 신체상 혼란과 관련된 불안
    대상자가 직접적으로 불안함을 표현하고 있으며, 신체적인 증상 이후에 심리적 안정을 되찾기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매일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하고, 대상자가 불안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불안수준을 매일 사정한다. 대상자가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어떠한 대처전략(방어장치)를 사용하는지 사정하고, 또 다른 대처전략을 교육한다. 대상자와 상호작용하는 동안 침착한 태도를 유지하고, 대상자가 환경과 새로운 경험 또는 사람에 집중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대상자에게 중추신경계를 자극할 수 있는 식품 섭취제한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광범위한 수술, 전신마취와 관련된 수술 후 회복지연의 위험성
    광범위한 수술과 전신마취는 수술 후 회복 지연의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장기간의 입원, 합병증 발생, 삶의 질 저하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부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수술 방법과 마취 기법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수술 후 집중적인 재활 치료와 함께 영양 관리, 통증 관리, 감염 예방 등 다각도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수술 후 회복 지연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안전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