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한 설명 및 예문 작성
본 내용은
"
글쓰기 )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9
문서 내 토픽
-
1. '으로서'와 '으로써'의 차이'으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고, '으로써'는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그는 국어 선생님으로서 학생들에게 좋은 글의 요건을 가르친다."와 "그는 학생들에게 좋은 글의 요건을 가르침으로써 후진양성의 본분을 다한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 '-데'와 '-대'의 차이'-데'는 경험한 지난 일을 돌이켜 말할 때 쓰는 회상을 나타내는 종결어미이고, '-대'는 '다(고) 해'의 준말입니다. 예를 들어 "교수님이 지난 학기에 좋은 글의 요건을 가르쳤다고 하데."와 "선배가 지난 학기에 좋은 글의 요건을 공부했대."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의 차이'부딪치다'는 무엇과 무엇이 힘 있게 마주 닿거나 마주 대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이고, '부딪히다'는 피동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한눈을 팔다가 지나가는 선생님과 부딪쳤어."와 "학생이 갑자기 뛰어나와 피할 새도 없이 부딪혔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4. '어떻게'와 '어떡해'의 차이'어떻게'는 '어떻다'의 부사형이고, '어떡해'는 '어떻게 해'의 준말입니다. 예를 들어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 어떻게 공부 해?"와 "좋은 글을 쓰지 못하면 어떡해."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5. '데다'와 '데이다'의 차이'데다'는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말미암아 살이 상하다.' 또는 '몹시 놀라거나 심한 괴로움을 겪어 진저리가 나다.'라는 의미이고, '데이다'는 '데다'의 잘못된 표현으로 비표준어입니다. 예를 들어 "책을 읽다가 그만 뜨거운 커피에 데었어."와 "그 교수님께 크게 데어서 다시는 수강하지 않을 거야."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6. 적절한 어휘 선택글을 쓸 때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틀리다'와 '다르다', '갑절'과 '곱절', '돋구다'와 '돋우다', '탓'과 '덕(분)', '와중'과 '도중', '홀몸'과 '홑몸', '작다'와 '적다', '제치다'와 '제끼다' 등의 차이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1. '으로서'와 '으로써'의 차이'으로서'와 '으로써'는 모두 어떤 자격이나 신분, 역할 등을 나타내는 조사이지만 그 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으로서'는 어떤 자격이나 신분, 역할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주로 명사와 함께 쓰입니다. 예를 들어 '교수로서 강의를 하다', '대통령으로서 국민을 대표하다' 등입니다. 반면 '으로써'는 어떤 수단이나 방법, 자격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주로 동사와 함께 쓰입니다. 예를 들어 '지혜로써 문제를 해결하다', '권위로써 명령하다' 등입니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 적절한 조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데'와 '-대'의 차이'-데'와 '-대'는 모두 인용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사이지만 그 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데'는 직접 인용할 때 사용되며, 화자가 직접 들은 말을 그대로 인용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철수가 '내일 시험이 있데'라고 말했다' 등입니다. 반면 '-대'는 간접 인용할 때 사용되며, 화자가 전해 들은 말을 인용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철수가 내일 시험이 있대' 등입니다. 따라서 직접 인용인지 간접 인용인지에 따라 적절한 조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
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의 차이'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모두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그 의미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부딪치다'는 주어가 능동적으로 다른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나타내며,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여 다른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차가 나무에 부딪쳤다' 등입니다. 반면 '부딪히다'는 주어가 수동적으로 다른 물체와 충돌하는 것을 나타내며,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지 않고 다른 물체에 의해 충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차가 나무에 부딪혔다' 등입니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해야 합니다.
-
4. '어떻게'와 '어떡해'의 차이'어떻게'와 '어떡해'는 모두 어떤 상황이나 상태에 대해 묻거나 표현하는 말이지만 그 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어떻게'는 주로 방법이나 수단을 묻거나 표현할 때 사용되며, 예를 들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 등입니다. 반면 '어떡해'는 주로 곤란한 상황이나 어려운 상황에 대해 표현할 때 사용되며, 예를 들어 '어떡해, 내 지갑을 잃어버렸어', '어떡해, 시험에 떨어졌어' 등입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해야 합니다.
-
5. '데다'와 '데이다'의 차이'데다'와 '데이다'는 모두 어떤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그 용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데다'는 주로 어떤 행동이나 상황의 이유나 근거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예를 들어 '비가 오데다 외출하기 어렵다', '시험 공부를 열심히 했데다 좋은 성적을 받았다' 등입니다. 반면 '데이다'는 주로 어떤 상태나 상황의 이유나 근거를 나타낼 때 사용되며, 예를 들어 '날씨가 좋데이다 야외 활동을 하기 좋다', '그 사람이 성격이 좋데이다 모두가 좋아한다' 등입니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선택해야 합니다.
-
6. 적절한 어휘 선택적절한 어휘 선택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상황과 맥락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면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반면 부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의미 전달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황과 맥락을 고려하여 정확하고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어휘의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어떻게'와 '어떡해' 등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상황에 맞는 정확한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
글쓰기 )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7페이지
글쓰기1. 교재 제I부 제1장 7쪽~10쪽에서 설명한 ‘2. 글쓰기의 과정’을 A4 1쪽으로 요약하시오. (10점)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1) ‘-ㅁ으로써’와 ‘-므로써’(2) ’-데‘와 ’-대‘(3) ’-느라고‘와 ’-노라고‘(4) ’부딪치다‘와 ’부딪히다‘(5) ’어떻게‘와 ’어떡해‘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2025.06.27· 7페이지 -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 6페이지
교과목명: 글쓰기[과제명]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표지 제외),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대략 5-6줄, 요약 A4 1쪽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설명하시오. (10점)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1) ’느라고‘와 ’노라고‘(2) ’-데‘와 ’-대‘(3) ’알맞은‘과 ’알맞는‘(4) ’어떻게‘와 ’어떡해‘(5) ’것‘과 ’거‘3...2025.01.15· 6페이지 -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5페이지
교과목명: 글쓰기[과제명]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표지 제외),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대략 5-6줄, 요약 A4 1쪽에 포함되지 않음)으로 설명하시오. (10점)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1) ’느라고‘와 ’노라고‘(2) ’-데‘와 ’-대‘(3) ’알맞은‘과 ’알맞는‘(4) ’어떻게‘와 ’어떡해‘(5) ’것‘과 ’거‘3...2025.01.14· 5페이지 -
(글쓰기)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4페이지
교과목명: 글쓰기[과제명]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이러한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 무엇인지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10점)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1) ’으로서‘와 ’으로써‘(2) ’-데‘와 ’-대‘(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4) ’어떻게‘와 ’어떡해‘(5) ’데다‘와 ’데이다‘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2024.02.07· 4페이지 -
[세특][수시][대입][학생부][학생부종합전형][교과전형] 통합과학 세특 예문입니다. 총 20개로 교수 학습 내용, 성취기준의 근거 제시, 수업 시간에 드러난 학습 역량, 참여도, 태도 등을 제시한 견본입니다.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8페이지
통합과학 세특 작성 예시예문 1우리 주변의 산(酸)과 염기 단원을 학습할 때 수업에 집중하여 참여한 후 산(酸)과 염기의 각 특징을 체계적이고 자세하게 정리하여 학습하는 모습이 인상적임. 지시약이 용액의 액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물질임을 알고 여러 용액에 따른 액성의 변화를 공부하고 실험해보며,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실시한 쪽지 실험과정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산과 염기의 각 특징과 지시약 반응에 대해 완벽히 이해하고 있다고 보임.예문 2생물의 다양성과 진화에서 유전적 변이에 관심을 가지고 유전적 변이는 진화의 ...2022.08.30·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