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신경과 의식사정 방법 Neurologic deficit, NICU, Neurosurgery
본 내용은
"
신경외과, 신경과 의식사정 방법 Neurologic deficit, NICU, Neurosurger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8
문서 내 토픽
  • 1. Level of Consciousness (의식수준)
    사람,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을 확인하기 위해 주소, 담당의사명, 현재의 날짜, 장소 및 자신의 질병 등에 대한 진술능력을 통해 의식수준을 평가한다. 의식을 활성화하는 부위의 손상에 따라 수준이 다르고, 의식이 저하된 경우에는 이름을 크게 부르거나 통증을 유발시켜 반응을 확인한다. 의식상태의 중증도를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로 Glasgow coma scale(GCS)을 많이 사용한다. 평가방법은 3개 영역을 4~6단계로 나누고, 관찰점수의 합계에 의해 대상자를 평가한다.
  • 2. Pupil response (동공반응)
    동공반응은 밝은 빛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동공 크기의 변화는 의식을 조절하는 뇌줄기(뇌간)의 영역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는 파악하는 데 사용. 뇌신경 Ⅱ, Ⅲ은 동공의 움직임을 조절하는데 신경의 압박으로 두개내압이 상승하면 신경의 압박으로 동공의 변화를 일으킴. 동공의 크기는 동일해야 정상으로 간주되지만, 대상자에 따라 동공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상 동공 크기를 미리 확인함.
  • 3. Muscle strength (운동기능검사)
    사지 근육의 강도와 힘을 사정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양쪽의 대칭성을 함께 확인하여 비교. 근력 등급은 Ⅴ(가장 강한 저항을 이겨내며 움직임 = 정상 근력), Ⅳ(중간 정도의 저항을 이겨내며 움직이지만 정상 근력만큼은 힘이 없음), Ⅲ(약간의 저항 또는 중력을 이겨내며 움직임), Ⅱ(중력에 대항하여 사지를 들 수는 없지만, 수평적으로 움직임), Ⅰ(사지 또는 근육을 움직이려는 시도만 있음), 0(어떠한 움직임도 보이지 않음)으로 구분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Level of Consciousness (의식수준)
    의식수준은 개인의 인지 능력과 반응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의식수준은 각성, 주의력, 지남력, 기억력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며, 이는 뇌의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의식수준의 평가는 신경학적 검진, 신경심리학적 검사, 뇌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뇌 기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의식수준의 저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의식수준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2. Pupil response (동공반응)
    동공반응은 신경학적 검진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동공의 크기와 반응성은 뇌신경 기능, 자율신경계 활성도, 약물 사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동공반응 검사를 통해 뇌신경 손상, 뇌압 상승, 약물 중독 등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동공반응 검사는 빛에 대한 동공의 수축과 확장 정도, 동공의 크기 변화, 동공 반응의 대칭성 등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뇌간, 시신경,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등 다양한 신경 경로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공반응 검사는 신경학적 진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3. Muscle strength (운동기능검사)
    근력 검사는 신경학적 검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근력 검사를 통해 근육의 수축력, 지구력, 협응력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근력 검사는 도수근력검사, 근전도 검사, 근생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도수근력검사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의사가 직접 근육의 수축력을 평가합니다. 근전도 검사는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를 측정하여 근육 기능을 평가하며, 근생검은 근육 조직을 직접 채취하여 분석합니다. 이러한 근력 검사를 통해 근육 약화, 근육 위축, 근육 경직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력 검사는 신경학적 진단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