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상당한 이익이 되는 동물실험을 진행할 때에도 동물실험을 제재해야 하는가?
본 내용은
"
인간에게 상당한 이익이 되는 동물실험을 진행할 때에도 동물실험을 제재해야 하는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6
문서 내 토픽
  • 1. 데카르트의 동물실험 관점
    데카르트는 동물을 복잡한 기계에 불과하다고 생각했으며, 동물은 정신적인 사고를 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고통과 정서가 결여되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동물을 인간이 이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인간이 선택할 문제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데카르트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동물실험은 부적절하지 않은 행위일 것이다.
  • 2. 흄의 동물실험 관점
    흄은 동물이 높은 대접을 받을 가치가 있는 대상이 된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인간이 이성적 능력에서 동물보다 우월하기는 하나, 동물은 기본적으로 경험, 기억, 이해 등 여러 면에서 인간과 유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흄은 동물실험이 동물에 대한 도덕적 고려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할 것 같기 때문에 동물실험은 부적절한 행위라는 입장에 더 가까울 것이라고 추측된다.
  • 3. 칸트의 동물실험 관점
    칸트는 인간의 도덕성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는 동물에 대한 폭력적인 대우를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칸트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동물실험은 동물을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행위이면서도 동물을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에 대해 옹호하는 견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칸트는 인간의 이익이 절대적으로 크다면 동물실험은 정당화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하겠지만, 인간에게 이익이 되는 그 행위가 도덕적 소양을 해치는 것이면 안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 4. 벤담의 동물실험 관점
    벤담은 고통과 쾌락을 느낄 수 있는 대상은 도덕적 고려 대상이기 때문에 고통과 쾌락을 느끼는 동물은 도덕적 고려 대상이 되고, 이런 동물들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은 비도덕적인 행위가 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동물실험은 동물에게 고통을 가하고 동물의 삶을 저해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벤담의 입장에서 모든 동물실험을 금지한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동물실험이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고 해악을 감소시킨다면 그 행위는 정당화 되기 때문이다.
  • 5. 동물실험 대체 기술
    근대 시대 이후 동물에 대한 윤리적 의식이 확산되면서, 동물복지에 대한 관심도 시대를 지나며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3R원칙이 생겨나고 전자회로가 놓인 칩 위에 사람 장기의 세포를 배양하는 기술인 장기칩, 인간의 피부표피를 배양해 만든 인공피부, 화학물질의 독성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등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이 발전하고 있었다. 따라서 현재 우리가 살고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동물에게 해를 주지않고도, 즉 동물실험이 아닌 인공지능, 장기칩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인간에게 충분한 이익이 되므로 이익이 되지만 동물에게 고통을 주는 동물실험 보다는 모두에게 해가 되지 않고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대체 방안을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데카르트의 동물실험 관점
    데카르트는 동물을 단순한 기계로 간주하여 동물실험을 정당화했습니다. 그는 동물에게 의식이나 감정이 없다고 믿었기 때문에 동물실험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동물의 고통과 권리를 무시하는 것이며, 현대 과학에서도 동물에게 의식과 감정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따라서 데카르트의 동물실험 관점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며, 동물실험에 대한 새로운 윤리적 기준이 필요합니다.
  • 2. 흄의 동물실험 관점
    흄은 동물에게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지 않았지만, 동물의 고통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동물이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고통을 느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동물실험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허용되어야 하며,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흄의 관점은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촉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동물의 권리와 지위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3. 칸트의 동물실험 관점
    칸트는 동물을 도덕적 행위자로 간주하지 않았지만, 동물실험에 대해 일정 부분 제한을 두었습니다. 그는 동물실험이 인간의 도덕성을 해칠 수 있다고 보았으며, 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주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칸트는 동물 자체의 권리나 지위에 대해서는 깊이 고민하지 않았습니다. 그의 관점은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고려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동물 복지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벤담의 동물실험 관점
    벤담은 동물의 고통을 고려하여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동물이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동물실험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허용되어야 하며,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벤담의 관점은 동물 복지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촉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현대 동물실험 윤리 논의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 5. 동물실험 대체 기술
    동물실험 대체 기술은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실험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입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인체 조직 배양, 3D 프린팅 등의 기술은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으며, 실험 결과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동물의 고통을 줄이고 실험 윤리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물실험 대체 기술의 개발과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과학 기술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