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가심리_심리학개념에 따른 여가행위
본 내용은
"
여가심리_심리학개념에 따른 여가행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02
문서 내 토픽
-
1. Psychocentric & AllocentricPsychocentric과 Allocentric의 연속성은 여행목적지 선택이 성격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Psychocentric 관광객들은 친숙하고 잘 알려진 목적지를 선택하고 새로운 경험에 대해서 개방적이지 않은 경향이 있다. 반대로 Allocentric 관광객들은 탐험이나 위험을 감수하는 활동을 즐기며, 새롭고, 낯설고, 예측할 수 없는 환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 외에도 성격적인 측면을 반영하여 사람들은 여행 목적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들 사이의 중간 여행자들이 존재하는데 그들은 자신의 문화와 생활환경과 적당히 다르면서 친숙한 환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
2. Peak-end rule의사결정을 함에 있어서 잘 선택하는 것은 어렵고 사람들은 종종 나쁜 판단을 하기도 한다. 선택에는 다양한 종류의 효용이 있는데 그 중 기억된 효용의 예시 중 Peak-end rule이 있다. 이것은 과거의 경험을 말하며 두 가지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첫 번째는 그 경험이 최고의 순간에서 어떻게 느껴지는지(최고 or 최악)이고, 두 번째는 그 경험이 끝날 때 그것들은 어떻게 느껴지는지 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소음경험'이다. 사람들은 경험에 있어서 Peak보다는 End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3. FramingFraming이란 맥락이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이 맥락은 언어에 의해서 만들어진다는 효과이다. 예를 들어, 여가를 즐기기 위해 놀이공원 티켓을 구매하려고 한다. 이때 두 가지 다른 표시를 발견하게 된다. A : 현금결제시 30% 할인된 가격! 24500원/카드결제시 35000원, B : 현금결제시 24500원/카드결제시 35000원. 이 때 가격구조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은 할인된 가격으로 표를 구매할 수 있다는 A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즉, 어떤 언어를 쓰는지에 따라 사람들의 반응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
1. Psychocentric & AllocentricPsychocentric and allocentric are two distinct perspectives that individuals can adopt when perceiving and interacting with the world around them. The psychocentric perspective is characterized by a self-centered, egocentric view, where the individual's own needs, desires, and experiences are the primary focus. In contrast, the allocentric perspective involves a more outward-looking, other-oriented approach, where the individual considers the needs and perspectives of others, as well as the broader context and environment. The choice between these two perspectives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an individual's decision-making, behavior, and relationships. A psychocentric approach may lead to more self-serving decisions and a lack of empathy or consideration for others, while an allocentric perspective can foster greater cooperation,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diverse viewpoints. Ultimately, the ability to flexibly shift between these two perspectiv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is often considered a hallmark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competence. By cultivating both psychocentric and allocentric awareness, individuals can develop a more nuanced and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world, leading to more effective and fulfilling interactions with others.
-
2. Peak-end ruleThe peak-end rule is a cognitive bias that suggests people's overall evaluation of an experience i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most intense (peak) moment and the final (end) moment, rather than the entirety of the experience. This phenomenon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ow individuals perceive and remember events, as well as how they make decisions and form judgments.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peak-end rule highlights the human tendency to prioritize and remember salient emotional moments over the more mundane or forgettable aspects of an experience. This can lead to biases in retrospective evaluations, where a negative experience may be perceived as more positive if it ends on a high note, or a positive experience may be tainted by a particularly unpleasant peak moment.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peak-end rule are wide-ranging, from customer service and product design to healthcare and education. By understanding and leveraging this cognitive bia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can optimize experiences to create more positive and memorable impressions, ultimately leading to better outcomes and stronger relationships.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potential limitations of the peak-end rule, as it can also lead to distortions in decision-making and a failure to consider the full context of an experience. A balanced approach that acknowledges both the peak-end rule and other cognitive biases can help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make more informed and nuanced decisions.
-
3. FramingFraming is a cognitive bias that refers to the way in which the presentation or context of information can influence an individual's perception and decision-making. The way a problem or choice is framed, whether in terms of gains or losses, risks or benefit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ow people respond and the decisions they make. The power of framing lies in its ability to tap into our innate cognitive biases and heuristics, which can lead us to make decisions that may not be fully rational or aligned with our long-term interests. For example, people tend to be more risk-averse when choices are framed in terms of potential losses, rather than potential gains, even if the underlying outcomes are the same.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influence of framing is crucial in a wide range of contexts, from personal finance and healthcare to public policy and marketing. By being aware of how framing can shape our perceptions and decisions, we can strive to make more informed and objective choices, and avoid being unduly influenced by the way information is presented. At the same time, the strategic use of framing can also be a powerful tool for influencing behavior and decision-making, both for good and for ill. Ethical considerations around the use of framing are important, as it can be used to manipulate or mislead, as well as to help people make more informed and beneficial choices. Ultimately, the study of framing highlights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cognition, emotion, and context in human decision-making,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se processes to navigate the modern world more effectively.
-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른 사회복지의 필요성1. 생애주기 개념 사회에는 생물학적인 연령에 기반한 수많은 집단이 있다. 개인이 출생에서 사망까지 이르는 생애 주기 동안 여러 연령층의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연속은 시대에 따라서 다양한데 각각의 사회는 생물학적의 연령을 다르게 정의하고 재정의하고 있다. 대부분의 생애 주기는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한다. 유아기, 사춘기, 청년기, 장년기, 노인기 등 각 ...2025.05.01 · 사회과학
-
부부와 가족의 의미1. 결혼의 개념 결혼은 사회적으로 공인된 관계이며, 남녀 간의 상호작용과 신뢰로 결합된 내적 관계로서 영속적인 결합을 통하여 심리적 융화와 안정성을 부여하는 사회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결혼은 안정을 위해 재산의 소유 및 보호의 활동을 포함하는 경제 제도이며, 사회적 관습 및 규정을 통하여 정상적인 결혼 관계를 확인받는 법률제도, 그리고 종교적 예...2025.05.01 · 사회과학
-
노년기의 소득과 경제생활 실태를 통해 노년기의 일의 의미와 기능 경제활동을 조사하여 나열한 후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1. 노년기의 소득과 경제생활 실태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를 사회활동 참여의 일환으로 간주하여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노인의 자원봉사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는 노인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의 중·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는 2010년 외환위기 이후를 기점으로 점차 ...2025.01.18 · 사회과학
-
심리학 개념이나 이론을 이용해 사람들의 여가행위 설명하시오. 8페이지
심리학 개념이나 이론을 이용해 사람들의 여가행위 설명하시오.I. 서론현대 심리학은 다양한 관점과 개념을 통해 '마음'에 대한 이해를 탐구하고 발전시켜 왔습니다. 마음에 대한 관점은 일원론적이거나 이원론적인 관점으로 나뉘며, 이들은 데카르트의 존재론에 근거하여 형성되어 왔습니다. 최근에는 심리철학의 영향 아래 '마음' 개념이 재구성되고 있는데, 이는 뇌 내부의 '마음'을 넘어서 몸과 환경을 포함하는 확장된 개념으로 접근하려는 시도입니다.여가활동은 우리의 일상적인 활동에서 벗어나 독립적이고 자유로운 시간을 제공해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2023.08.19· 8페이지 -
여가의 정의와 내게 가장 행복한 여가 4페이지
1. 서론‘여가’라는 단어를 들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엇을 예로 들어야 할지 어려워하곤 한다. 그러고 나면 ‘여행’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여가 강의를 접하기 전의 본인까지도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강의를 듣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여가가 가지고 있는 진정한 의미에 대해 알아갈 수 있었다. 이제는 거기에서 더 나아가 필자의 기준에서 여가란 대체 무엇인지, 주관적인 정의를 내려보고 그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2. 여가의 정의우선, 여가에 대한 주관적인 정의를 내리기 전에 다양한 서적에서 정의하는 여가의 객관적 의미에 대해 ...2023.05.01· 4페이지 -
여가와 교육_여가활동의 교육적 측면과 가치 및 청소년의 여가 활동 12페이지
여가와 교육 여가활동의 교육적 측면과 가치 및 청소년의 여가 활동 수업명 : 담당교수 : 학번 : 이름 :목 차 CONTETNS 1. 여가의 개념 및 중요성 2. 여가 활동의 교육적 측면 3. 청소년기의 여가와 교육 4. 청소년 여가의 교육적 가치1. 여가의 개념 및 중요성 ⊙ 여가의 어원 ⊙ 여가의 정의 LEISURE 프랑스어 ‘ 르와즈 ‘ - 허용되어지다 , 자유로워지다 - 강제력없이 교양을 높이는 활동 - 예술 / 철학 / 학문 / 스포츠 등 문화 창조의 적극적인 활동 그리스어 ‘ 스콜레 ’/ 라틴어 ‘ 스콜라 ‘ - “ 여가...2023.08.03· 12페이지 -
여가의 정의(여가의 시간적 정의, 활동으로 정의, 상태적 정의, 제도적 정의, 포괄적 정의) 6페이지
여가의 정의(여가의 시간적 정의, 활동으로 정의, 상태적 정의, 제도적 정의, 포괄적 정의)목차여가의 정의1) 시간적 정의2) 활동적 정의3) 상태적 정의4) 제도적 정의5) 포괄적 정의* 참고문헌여가의 정의여가는 하나의 행동 카테고리가 아니라 행동양식으로서 오늘날의 여가현상은 노동과 가정생활 및 문화 전해에 여러 가지 형태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여가의 정의 또한 어원에서 Scole와 Otium의 상대적 관계처럼 광범위하고 다양하며, 많은 변화를 가져 오고 있다.여가의 정의는 여가활동에 비해서 비교적 최근에 들어 학자들의 연...2025.02.12· 6페이지 -
청소년 여가생활,여가활동의 동기,여가활동 관여도,여가몰입,청소년의 여가시간 11페이지
참고문헌 정리- 청소년 여가생활 -여가활동의 동기와 관여도가 심리적 안녕감·여가몰입 및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1. 연구목적가. 여가활동 동기, 관여도 및 여가몰입,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생활만족에 대한 개념과 측정요인을 정립한다.나, 여가활동 동기와 관여도가 여가몰입 및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다, 여가몰입과 심리적 안녕감이 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력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2. 연구가설가. 여가활동 동기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나. 여가활동 동기는 여가몰입에...2022.03.22·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