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유발이론 중 브룸의 기대이론과 아담스의 공정성이을 어떻게 인간관계에 적용할 수 있을지
본 내용은
"
동기유발이론 중 브룸의 기대이론과 아담스의 공정성이을 어떻게 인간관계에 적용할 수 있을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31
문서 내 토픽
  • 1. 브롬의 기대이론
    기대이론은 한 개인이 어떠한 행동을 할 때, 자신의 노력 정도에 따라서 결과를 기대하는 것이며, 기대를 실현하기 위해서 어떤 행동을 결정하고자 하는 동기라고 말할 수 있다. 브롬은 인간의 행동에 대한 동기를 기대치, 수단성 및 보상기대의 세 가지 변인으로 파악하였다.
  • 2.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은 조직 내에서 개인과 조직이 서로 교환의 관계에 있어야 하고, 공정성 문제와 더불어 공정성이 훼손되게 되었을 때, 나타나고 있는 개인의 행동 유형에 대해서 제시하고 있다. 개인은 자신의 노력과 보상의 비율을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공정성을 판단하게 된다.
  • 3. 인간관계에의 적용
    기대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이 원하는 사람에게 더 잘해주게 되며, 공정성 이론에 따르면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게 대해야 한다. 이를 인간관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편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브롬의 기대이론
    브롬의 기대이론은 개인의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에 대한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그 성과가 자신에게 보상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기대를 가질 때 동기부여가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들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성과와 보상 간의 연계성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또한 구성원들이 자신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믿을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과 훈련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구성원들의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2.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투입 대비 산출 비율을 다른 사람의 그것과 비교하여 공정성을 판단한다는 것을 핵심으로 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투입 대비 산출 비율이 다른 사람의 그것과 비교하여 공정하다고 인식할 때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이 높아집니다. 반면 불공정하다고 인식할 경우 불만족과 긴장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조직은 구성원들의 공정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 공정한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구성원 간 비교가 가능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또한 구성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 의사소통 채널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조직은 구성원들의 동기부여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3. 인간관계에의 적용
    브롬의 기대이론과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은 인간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개인은 자신의 노력이 상대방의 반응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와 자신의 투입 대비 상대방의 반응이 공정하다고 인식할 때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개인 간 관계에서도 상호 간 기대와 공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자녀 관계에서 부모는 자녀의 노력이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적절한 보상을 제공해야 하며, 자녀 또한 부모의 투입 대비 반응이 공정하다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상호 간 만족도와 신뢰가 높아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이처럼 이 두 이론은 조직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인간관계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