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GD 보고서(내시경 간호 보고서)
본 내용은
"
EGD 보고서(내시경 간호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31
문서 내 토픽
-
1. EGD(Eshophagogastroduodenoscopy)EGD는 입으로 내시경을 삽입하여 상부 소화기관인 위와 식도, 십이지장을 관찰하거나 용종을 제거하는 검사입니다. 출혈 및 토혈, 식욕부진, 염증 증상이 있을 때와 암의 선별이 필요할 때 시행합니다. 내시경에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와 생검, 세포검사를 할 수 있는 도구도 달려있어 궤양이나 암, 염증, 식도 정맥류를 진단하는 목적뿐만 아니라 폴립을 제거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출혈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지혈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2. EGD 적응증 및 금기증EGD 검사의 적응증은 정기 검진, 급성 혹은 만성 위장관 출혈, 악성빈혈, 식도 손상, 삼킴곤란, 복장뼈 밑 통증, 상복부 불편감, 식도의 역류나 지속적 구토가 있는 경우, 암의 검사, 추적이 필요한 병변의 관찰이나 조직 검사, 방사선 소견상 종양이 의심되거나 궤양, 협착, 폐색 등이 있는 경우입니다. 금기증은 활력 징후가 불안정한 경우, 위장관 천공이 의심되는 경우, 위장관 폐쇄, 위장관 수술 직후, 중증 심장질환자에게는 금기입니다.
-
3. EGD 절차 및 방법EGD 검사 전에는 금식과 검사 동의서를 확인하고 내시경 평가지를 작성합니다. ASA class와 mallampati class를 통해 환자의 마취 적정도와 intubation의 공간이 충분한지를 평가합니다. 환자의 이완을 돕기 위해 진정제와 항콜린성 약물을 투여하고, 시야 확보를 위해 위장 내 기포 제거제와 위장 운동 억제제가 투약될 수 있습니다. 검사 도중에는 활력 징후와 산소포화도를 면밀하게 확인하며 진행합니다. 검사가 끝나면 회복실로 옮겨 활력 징후를 측정하면서 환자의 마취가 깰 때까지 간호합니다.
-
4. EGD 검사 전후 간호EGD 검사 전 간호에는 검사에 대한 설명과 동의서 확인, 금식, 보석류/의치/안경 제거, 배뇨 확인, 활력 징후 및 산소포화도 측정, 진정제 투여, 구강 마취제 사용 등이 포함됩니다. 검사 후 간호에는 활력 징후 모니터링, 구역질 반사 회복까지 금식, 천공 징후 사정, 복부 가스 팽만 및 트림 관리, 운전 금지, 목 자극 예방 등이 포함됩니다.
-
5. EGD 검사 결과이 환자의 EGD 검사 결과, 식도 궤양과 위축성 위염이 관찰되었고 위 체부 후면부에 large blood clot이 관찰되었으나 현성 출혈 병변은 없었습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출혈의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1. EGD(Eshophagogastroduodenoscopy)EGD(Eshophagogastroduodenoscopy)는 식도, 위, 십이지장을 내시경으로 직접 관찰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검사를 통해 다양한 소화기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EGD는 상부 위장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검사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며,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 전후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며, 검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의의 지도하에 안전하게 시행된다면 EGD는 소화기 질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검사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EGD 적응증 및 금기증EGD의 주요 적응증은 상부 위장관 출혈, 연하곤란, 만성 소화불량, 위암 선별검사,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 진단, 위장관 종양 진단 등입니다. 이러한 증상이나 질환이 있는 경우 EGD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합니다. 한편 EGD의 금기증으로는 급성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중증 심부전, 중증 호흡부전, 중증 출혈성 질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검사 시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의 후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여 EGD 검사의 필요성과 위험성을 충분히 검토해야 합니다.
-
3. EGD 절차 및 방법EGD 검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먼저 환자의 병력과 증상을 확인하고, 검사 전 금식 등의 준비사항을 안내합니다. 검사 당일 환자는 목 뒤쪽과 코 안에 국소마취제를 투여받습니다. 이후 내시경을 통해 식도, 위, 십이지장을 관찰하고 필요시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검사 중 환자는 불편감을 느낄 수 있지만 통증은 크지 않습니다. 검사 시간은 약 10-15분 정도 소요됩니다. 내시경 검사 후에는 회복실에서 경과를 관찰하며,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EGD는 비교적 안전하고 간단한 검사 방법이지만,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
4. EGD 검사 전후 간호EGD 검사 전후 적절한 간호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검사 전 환자에게 검사 목적, 과정, 주의사항 등을 충분히 설명하여 불안감을 해소하고 협조를 이끌어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금식, 약물 중단 등의 준비사항을 확인하고 환자의 상태를 사전에 파악해야 합니다. 검사 당일에는 활력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비해야 합니다. 검사 후에는 회복실에서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며, 구토, 출혈, 통증 등의 증상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검사 결과를 설명하고 향후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한 간호 업무입니다. 이처럼 EGD 검사 전후 체계적인 간호 관리는 환자의 안전과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5. EGD 검사 결과EGD 검사 결과는 식도, 위, 십이지장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제공됩니다. 검사 결과에는 점막의 색깔, 모양, 병변 유무 등이 기술되며, 필요시 조직 검사 결과도 함께 제공됩니다. 이를 통해 위궤양, 위염, 식도염, 위암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혈, 협착, 종양 등의 병변 발견 시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EGD 검사 결과는 환자의 향후 치료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의료진은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내시경실 식도위십이지장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보고서 (EGD, Colonoscopy) 4페이지
EGD, Colonoscopy 검사 및 전?후 간호(국가암검진 프로그램)[1] EGD (esophagogastroduodenoscopy): 식도?위?십이지장 내시경검사?설명 및 목적좌측위로 눕히고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굴곡 내시경 튜브를 구강을 통해 삽입하여 검진자가 직접 식도, 위, 십이지장 점막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염증, 궤양, 종양, 식도정맥류 등으로 인해 출혈되는 부위를 찾을 수 있다. 정기검진 시 또는 위장출혈, 악성빈혈, 연하곤란, 상복부불편감이 있을 시 검사하며, 금기증으로는 중증의 상부위장관 출혈, 식도 게...2022.12.21· 4페이지 -
성인간호학 사례보고서 5페이지
성인간호학Ⅱ case 1 보고서Case 1H씨는 42세 남성으로, 2020년부터 epigastric discomfort with soreness로 약국에서 종종 제산제 등을 구입하여 복용해왔다. 경찰관으로 일하는 H씨는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사건과 이로 인한 긴장감으로 자주 두통을 겪어 aspirin을 종종 복용하였고, 업무 중 대기 시간에는 흡연량이 더욱 늘었다. 규칙적인 식사가 어려워 빨리 조리되는 음식 또는 국밥처럼 반찬없이 빨리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선호한다. 평균 흡연량은 하루 1갑 또는 2/3갑 정도이고, 2-3일에 한 ...2024.01.05· 5페이지 -
A+ 성인간호학실습 외과파트 조기위암 질병보고서 7페이지
질병 보고서[Malignant neoplasm of pyloric antrum, early](위 전정부의 조기 위암)실습 기관실습 과목담당 교수님실습 기간202.0.0.~202.0.0.학년/반학년 반학번이름학교 로고목차1. 질병 정의 ·················································································· 1P2. 병태생리3. 분류4. 원인 및 위험 요인 ··························································...2024.02.22· 7페이지 -
소화기계 검사 및 시술 간호 보고서 8페이지
소화기계 검사 및 시술간호 보고서1. EGD (EsophagoGastroDuodenoscopy) : 상부소화관 내시경▶ 검사목적내시경을 통하여 식도, 위, 십이지장의 점막구조를 직접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위염, 소화성 궤양, 위암 등의 질환을 진단한다. 필요에 따라서 가는 집게 등의 기구를 이용한 조직생검으로 위암을 비롯한 각종 질환을 확진할 수 있다.▶ 검사 전 간호① 내시경 검사는 침습적이므로 시술 전 동의서를 받고자정부터 금식한다.② 검사 동안의 불편을 덜기 위해 위장 운동을 감소시키는 주사를 맞고 위장 내 가스를제거해주는 약...2021.03.01· 8페이지 -
성인간호학 식도암 케이스 사례보고서_영양부족, 구강점막의 변화, 비효율적 호흡양상+이론적근거포함 8페이지
성인간호학 사례보고서esophageal cancer (식도암)날짜번호간호진단3/291연하곤란 및 수술 후 치료적 금식과 관련된 영양부족3/292수분섭취 제한으로 인한 구강점막의 변화3/303기도 내 분비물 축적 및 식도 수술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1. 일반정보환자 이름 : 김?? 나 이 : 65세성 별 : M 입 원 일 : 2020. 03. 19.진 단 명 : malignant neoplasm of thoracic part of esophagus수 술 명 :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2020. 03. 25 시행)2. 병력?주 증상(...2023.05.16·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