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최소철근비/최대철근비
본 내용은
"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최소철근비/최대철근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9
문서 내 토픽
-
1.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파괴모드철근콘크리트 부재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상대적 저항력 차이에 따라 4가지 파괴모드로 구분됩니다. 최소철근파괴, 인장파괴, 균형파괴, 압축파괴가 그것입니다. 각 파괴모드의 특징과 발생 조건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
2.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면 유형휨설계에서 압축지배단면, 변화구간단면, 인장지배단면의 3가지 단면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각 단면 유형의 특징과 철근 변형률, 콘크리트 변형률 관계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
3. 최소철근비와 최대철근비 규정의 이유최소철근비는 최소철근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철근비는 압축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규정됩니다. 철근이 부족하면 취성파괴, 과다하면 취성파괴가 발생하므로 적정 철근량 확보가 중요합니다.
-
1. 주제2: 휨모멘트를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단면 유형철근콘크리트 부재가 휨모멘트를 받을 때 단면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 압축철근이 없는 단순 직사각형 단면입니다. 이 경우 인장철근만 배치되며, 단면 내 중립축 위치에 따라 압축파괴 또는 인장철근 항복 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압축철근이 배치된 직사각형 단면입니다. 압축철근 배치로 인해 단면 내 중립축 위치가 낮아져 연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셋째, T형 단면으로 플랜지 부분이 압축을 담당하고 웨브 부분이 인장을 담당하는 구조입니다. T형 단면은 단순 직사각형 단면에 비해 단면 2차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단면 활용이 가능합니다. 이처럼 단면 유형에 따라 부재의 거동과 내력이 달라지므로 설계 시 적절한 단면 선정이 중요합니다.
-
건국대 철근콘크리트구조 철콘 과제 5 등가응력블록 최소 및 최대 철근비 3페이지
등가응력블록휨을 받는 부재에는 윔인장응력과 휨압축응력이 동시에 생기기 때문에 보의 설계에서 설계모멘 트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인장응력의 합력 T와 압축응력의 합력 C 및 응력중심거리가 계산되어야 한다. 먼저 T의 계산에서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은 무시되므로 인장철근의 응력fs와 단면적 As의 곱 으로T = As * fs그러나 압축측에서 콘크리트의 응력 분포는 극한상태에서 압축응력의 합력을 구하는 일이 쉽지 않기에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등의 등가응력블록으로 바꿔야한다. 이와 같이 압축응력분포는 다 음의 두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① 압...2021.04.06· 3페이지 -
직사각형 단철근보의 한계상태 설계법(휨강도, 전단강도, 균열) 6페이지
직사각형 단철근보 휨강도 검토 KDS 24 14 21 : 2022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해설 표 4.2-1 지배단면에 따른 강도감소계수KS D 3504 : 2021 철근콘크리트용 봉강4.1.1 휨과 축력지배단면구분순인장변형률 조건강도감소계수호칭명"단위 무게(kg/m)""공칭 지름d(mm)""공칭 단면적S(mm2)"1. 설계조건압축지배단면εy 이하0.6540.110 4.23 14.05(1) 재료강도 및 단면형상변화구간단면εy ~ 0.005(또한 2.5εy )0.65~0.8550.173 5.29 21.98fck =35MPafy =400MP...2022.12.13· 6페이지 -
건축물 지붕 구조 시스템에 관한 조사 9페이지
지붕 구조 시스템 사례조사담당 교수 :과 목 명 :일 시 :이 름 :장방형 지붕 구조지붕 구조 시스템이란, 말 그대로 지붕을 이루고 있는 구조에 대한 내용을 말합니다. 이것은 나누는 기준에 따라 종류도 여러 가지입니다. 대표적으로 그리드 구조, 서스펜션 구조, 언더텐션 구조, 형태 저항 구조 등이 있습니다.정방형 지붕구조먼저 그리드 구조는 서로 연결된 가장 단순한 형태입니다. 그것은 평면 구조물형태이며, 평면에서 직각 또는 예각으로 교차되는 두 구조재로 접합된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재는 그것의 교차점에서 강하게 연결되어...2022.12.21· 9페이지 -
다리의 과학 20페이지
다리의 과학학번이름목 차서론 ········································································································· 1p본론1. 다리의 구조와 설계 ·················································································· 1p2. 아치교 ····································································...2024.05.16· 20페이지 -
철근콘크리트 개념정리 12페이지
< 1장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강하지만 인장에는 매우 약하다.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1/9-1/13정도, 휨인장강도는 휨압축강도의 1/5-1/7 정도로 작다.보를 콘크리트만으로 만들면 콘크리트의 휨압축강도가 능력을 발휘하기 전에 인장 측에 균열이 일어난다.철근은 주로 인장을 보강하기 위해 쓰이지만, 압축을 보강하기 위해서도 쓰인다. ⇒ 부재의 단면 감소시킨다.콘크리트 = 시멘트+물+모래+자갈 ⇒ 비탄성적, 비균등질콘크리트는 인장응력에 의하여 균열 발생이 쉽다.철근은 탄성한도 이하의 응력에 대하여는 거의 완전한 탄성체이다.★...2020.03.28·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