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대학교 A+ / 경영통계학 중간고사 족보
본 내용은
"
조선대학교 A+ / 경영통계학 중간고사 족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6
문서 내 토픽
-
1. 경영통계학고등학생 5명을 대상으로 영어와 수학 두 과목의 성적을 평가하였다. 영어점수 평균은 68점, 수학점수 평균은 80점이다. 영어점수의 표본 분산은 107.5, 수학점수의 표본 분산은 187.5이다. 영어점수의 표본 표준편차는 10.4, 수학점수의 표본 표준편차는 13.7이다. 영어점수와 수학점수의 표본 공분산은 100, 표본 상관계수는 0.7이다.
-
2.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용돈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월간)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월) 용돈을 조사하였다. 사용시간의 평균은 42, 용돈의 평균은 90이다. 사용시간의 표본 표준편차는 9.8, 용돈의 표본 표준편차는 15.6이다. 사용시간과 용돈의 표본 공분산은 -60.6, 표본 상관계수는 -0.4이다.
-
3. 경영학부 남학생의 군대 다녀오는 확률경영학부에 입학하는 남학생이 2학년말까지 군대에 다녀올 확률은 70%이다. 경영학부 남학생 8명을 조사했을 때 군대에 다녀온 남학생 수의 평균은 5.6명, 분산은 1.68이다. 경영학부 남학생 2명을 조사했을 때 군대에 다녀온 남학생 수의 이항확률분포는 X=0일 때 0.09, X=1일 때 0.42, X=2일 때 0.49이다.
-
4. 경영학부 남녀 학생의 종교 보유 비율경영학부 남학생 비율은 60%, 남학생 중 종교를 가진 비율은 70%, 여학생 중 종교를 가진 비율은 85%이다. 결합확률표에 따르면 남학생 중 종교를 가진 비율은 0.49, 종교를 가지지 않은 비율은 0.11이며, 여학생 중 종교를 가진 비율은 0.34, 종교를 가지지 않은 비율은 0.06이다.
-
1. 경영통계학경영통계학은 기업의 의사결정을 위해 필수적인 학문입니다. 통계 분석을 통해 기업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빅데이터 시대에 접어들면서 경영통계학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기업은 방대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해 경영통계학 전문가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경영통계학은 기업 경영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앞으로도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용돈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용돈의 관계는 매우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은 사람들은 여가 활동이나 엔터테인먼트에 더 많은 용돈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개인의 성향, 생활 패턴, 경제적 여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업무에 활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용돈 지출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이 과도하여 다른 생활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용돈의 관계를 단순히 일반화하기 어려우며,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경영학부 남학생의 군대 다녀오는 확률경영학부 남학생의 군대 다녀오는 확률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선 한국의 병역 제도상 모든 남성은 군대에 가야 하므로, 경영학부 남학생들의 군대 다녀오는 확률은 매우 높습니다. 다만 일부 학생들의 경우 병역 특례 제도나 다양한 사유로 인해 군대 입대를 연기하거나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 가정 환경, 학업 성적 등에 따라 군대 입대 시기나 복무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영학부 남학생들의 군대 다녀오는 확률은 일반적으로 매우 높지만, 개인차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경영학부 남녀 학생의 종교 보유 비율경영학부 남녀 학생의 종교 보유 비율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학생들의 종교 보유 비율이 남학생들에 비해 높은 편입니다. 이는 여성들이 종교적 신념과 실천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개인의 가정 환경, 문화적 배경, 교육 수준 등에 따라서도 종교 보유 비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수적인 가정 환경에서 자란 학생들의 경우 종교 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영학부 남녀 학생의 종교 보유 비율은 단순히 성별 차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