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물육종학 - 황금쌀로 본 성공적인 육종의 예시, 원리 그리고 영향
본 내용은
"
작물육종학 - 황금쌀로 본 성공적인 육종의 예시, 원리 그리고 영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6
문서 내 토픽
-
1. 골든 라이스의 특성골든 라이스는 Oryza sativa에 속하는 품종으로써, 일반 쌀과 달리 베타 카로틴 함량이 높아 선명한 오렌지색이 가미된 노란색, 또는 황금색을 띄고 있다. 일반 쌀 품종들은 베타 카로틴을 식물내에서 합성하지만 해당 성분이 인간이 섭취하는 부분인 영과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골든 라이스는 유전자 조작 기술을 통해 새로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추가해서 종자에 베타 카로틴을 축적할 수 있도록 만들어낸 품종이다.
-
2. 골든 라이스의 육종법골든 라이스는 유전자 조작 기술에 의해서 탄생한 품종이다. 록펠러 재단에서 1980년 대부터 베타 카로틴을 강화한 쌀 품종을 개발하려 시도했고, 본격적인 육종은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의 Ingo Potrykus 박사에 의해서 1991년에 시작되었다. 쌀은 베타 카로틴 합성에 필요한 전구체를 포함하고 있지만 필요한 효소 4개 중 3개가 비활성화 되어있었다. 따라서 Ingo Portrykus박사 연구팀은 해당 효소들을 수선화에서 유래한 유전자와 Pantoea ananitis박테리아(Crt1) 유전자를 포함한 3개의 유전자를 식물의 형질전환에 흔히 이용되는 agrobacterium을 이용해 쌀의 배에 감염시켜 외래 유전자를 도입해서 활성을 회복시켰다.
-
3. 골든 라이스의 잠재적 영향과 중요성베타 카로틴은 비타민 A의 전구체로, 일반적으로 당근을 포함한 녹황색 채소나 과일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섭취를 통해 인간의 몸에서 비타민 A로 대사된다. 비타민 A 결핍은 가장 보호받아야 할 아동과 임산부에게 가장 치명적인 결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설사를 일으키는 각종 풍토병과 홍역(measles)에 대한 저항성을 낮춰서 전염병에 대한 저항성을 낮추어 유아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골든 라이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대책이라고 할 수 있다.
-
1. 골든 라이스의 특성골든 라이스는 일반 쌀과 달리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비타민 A 결핍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개발도상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골든 라이스는 일반 쌀과 유사한 맛과 식감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다만 아직 안전성과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골든 라이스의 육종법골든 라이스는 유전자 조작 기술을 통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기술은 벼 유전체에 베타카로틴 생성 유전자를 삽입하여 베타카로틴 함량을 높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육종법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배 방식보다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안전성 및 환경 영향 등의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골든 라이스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우려사항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골든 라이스의 잠재적 영향과 중요성골든 라이스는 비타민 A 결핍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개발도상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비타민 A 결핍으로 인한 실명 등의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므로, 골든 라이스의 보급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골든 라이스는 기존 쌀과 유사한 맛과 식감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들의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다만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안전성 및 환경 영향 등의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