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화용론] 1차, 2차 토론합본
본 내용은
"
[한국어화용론] 1차, 2차 토론합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1
문서 내 토픽
-
1. 발화 행위의 적정조건발화 행위의 적정조건이란 화행에서 기대되는 문맥적 자질이 언어 행위에 나타나고, 또한 청자가 그것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준비조건, 명제내용 조건, 성실성 조건, 본질적 조건 등 네 가지 조건을 포함한다. 이러한 적정조건은 인간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기저에 있는 규범을 의미하며, 모두가 암묵적으로 인지 및 동의하고 있다.
-
2. 체면위협 행위체면을 위협하는 행위에는 적극적 체면위협 행위, 소극적 체면위협 행위, 적극적 체면과 소극적 체면 모두를 위협하는 행위가 있다. 적극적 체면위협 행위는 화자와의 유대감 및 거리를 벌리기 위한 전략에서 기인하며, 소극적 체면위협 행위는 화자가 회피하고자 하는 부담 및 책임을 부과하기 위함이다. 적극적 체면과 소극적 체면 모두를 위협하는 행위는 화자의 행동을 제한하고 통제하기 위한 것이다.
-
1. 발화 행위의 적정조건발화 행위의 적정조건은 화자와 청자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발화 행위가 적절한 상황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의사소통의 효과가 저하되거나 오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화 행위의 적정조건에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 발화 상황의 맥락, 발화 내용의 적절성 등이 포함됩니다. 화자는 청자의 상황과 반응을 고려하여 발화 내용과 방식을 적절히 조절해야 하며, 청자 또한 화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반응해야 합니다. 발화 행위의 적정조건을 고려하는 것은 효과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2. 체면위협 행위체면위협 행위는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위입니다. 체면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명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며, 체면위협 행위는 이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체면위협 행위에는 비난, 모욕, 거절, 부정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행위는 상대방의 자존감을 훼손하고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자는 상대방의 체면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로 의사소통을 해야 합니다. 체면위협 행위를 최소화하고 상호 존중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