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궤도위성통신 기술 현황 조사 - 미군과 스타링크 민군 협업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재난과통신망 리포트 - 저궤도위성통신 기술 현황 조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9
문서 내 토픽
-
1. LEO 위성 통신 시스템LEO 위성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사용자 장비, 지상국/게이트웨이, 위성으로 구성되며, 위성이 지구 궤도를 돌면서 단말과 게이트웨이를 연결하는 동시 링크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짧은 시간 동안만 해당 위성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여러 위성과 연결해야 하며, 이에 따라 시스템 사용자는 범위 내에 들어오는 다른 위성에 핸드오프됩니다.
-
2. 스타링크 서비스 개요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는 2015년부터 약 1만2000개의 소형 군집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띄워 전세계를 촘촘히 연결하는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2020년 10월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2022년 12월 기준 활성 가입자수가 100만명을 넘었습니다. 스타링크는 재사용 로켓기술을 기반으로 가장 값싸게 우주로 페이로드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
3. 미군-스타링크 민군 협업미 공군은 2019년부터 스타링크를 군사 자산에 적용하는 시험들을 진행했고, 2022년부터 국가안보 전용 위성 별자리인 스타쉴드를 가동했습니다. 스타링크는 미군의 전자전 공격에 대응하는 항재밍 능력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군 전자전 책임자들도 이를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
4. 한국군 도입 계획방위사업청은 2023년 3월 입찰 공고를 통해 민간 저궤도위성 기반 통신체계를 선정하고, 약 2년간 연구개발 후 2025년 하반기 육·해·공군에 시범 운용할 예정입니다. 이는 기존 군 통신위성의 노후화와 통신용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
1. LEO 위성 통신 시스템LEO(Low Earth Orbit) 위성 통신 시스템은 지구 저궤도에 위치한 소형 위성들을 활용하여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정지궤도 위성 통신 시스템에 비해 지연 시간이 짧고 비용 효율적이며, 전 세계 어디에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지리적으로 소외된 지역이나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위성 수 증가에 따른 우주 쓰레기 문제, 위성 간 간섭 등의 기술적 과제와 함께 국제 주파수 조정, 규제 등의 정책적 과제도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스타링크 서비스 개요스타링크는 SpaceX가 개발 중인 LEO 위성 통신 시스템으로, 전 세계 어디에서나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약 2,000개의 위성을 운용 중이며, 향후 수만 개의 위성을 배치할 계획입니다. 스타링크는 기존 유선 및 위성 인터넷 서비스에 비해 지연 시간이 짧고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우주 쓰레기 증가, 위성 간 간섭, 서비스 요금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미군-스타링크 민군 협업미국 정부와 SpaceX는 스타링크 서비스를 군사 목적으로도 활용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전쟁 지역이나 재난 현장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군사 작전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성 통신 기술의 발전은 미군의 정보 수집, 지휘 통제, 무기 체계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군의 전투력 향상과 더불어 민간 부문에서도 스타링크 서비스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러한 민군 협력이 군사 목적으로 악용되거나 국제법 및 규범을 위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
-
4. 한국군 도입 계획한국군도 스타링크 서비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기존 위성 통신 시스템에 비해 지연 시간이 짧고 속도가 빨라 군사 작전에 활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한반도와 같이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군사 작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도 신속한 통신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스타링크 서비스의 안전성, 보안성, 비용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국내 통신 규제와의 조화 방안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