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단백질 정량법 비교 (BCA, Bradford)
본 내용은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단백질 정량법 비교 (BCA, Bradford)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6
문서 내 토픽
-
1. 단백질 정량법단백질은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형성된 고분자 화합물로, 결합 길이나 아미노산 종류에 따라 화학적∙물리적 성질이 다르다. 이러한 성질의 차이로 단백질 정량법의 종류도 다양하다. 정량법에는 Biuret assay, BCA assay, Bradford assay, 동위원소 희석 LC-MS method, 분광학적 정량법 등이 있다.
-
2. Biuret AssayBiuret(H2N-CO-NH-CO-NH2)구조가 알칼리성의 CuSO4와 반응하면 2가의 구리이온과 보라색의 착화합물을 형성한다. Biuret 구조와 비슷한 peptide 결합을 여러 개 가지는 단백질은 구리이온과 반응하면 푸른색을 나타난다. 발색 정도는 lysine과 tryptophan의 양에 영향을 받는다. 이때 암모니아 등의 완충액이 사용된 경우, 분석을 방해하므로 황산암모늄 침전으로부터 정제된 단백질과 같은 샘플은 분석하기 어렵다.
-
3. BCA Assay단백질과 2가 구리이온(Cu2+)이 만나면 1가 구리이온(Cu1+)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단백질에 의해 환원된 구리 이온은 Bicinchoninic Acid(BCA) 분자 2개와 반응하여 보라색의 착물을 형성한다. 이때 주로 시스테인, 트립토판, 타이로신과 같이 산화환원 반응성이 높은 아미노산이 구리이온을 환원시킨다. 모든 단백질에서 이 아미노산들은 비슷한 양이 있으므로 단백질 정량값에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
1. 단백질 정량법단백질 정량법은 생물학, 생화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단백질 정량법은 시료 내 단백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단백질 정량법으로는 Biuret 법, BCA 법, Bradford 법 등이 있으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 목적과 시료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단백질 정량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단백질 정량법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험 조건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표준 단백질 용액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 정량법은 생물학 및 관련 분야의 연구에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
2. Biuret AssayBiuret 법은 단백질 정량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구리 이온(Cu2+)이 펩타이드 결합과 반응하여 보라색 복합체를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Biuret 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낮은 감도와 단백질 종류에 따른 반응성 차이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Biuret 법은 단백질 농도가 높은 시료 분석에 적합하며, 정확성이 요구되는 실험에서는 다른 방법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료 전처리, 반응 시간 및 온도 등의 실험 조건을 엄격하게 관리하여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3. BCA AssayBCA(Bicinchoninic Acid) 법은 단백질 정량을 위한 또 다른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BCA 법은 단백질이 구리 이온(Cu2+)과 반응하여 Cu1+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때 생성된 Cu1+가 BCA 시약과 반응하여 보라색 복합체를 형성하게 됩니다. BCA 법은 Biuret 법에 비해 감도가 높고,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시료 전처리가 간단하고 실험 과정이 비교적 간편하여 실험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BCA 법 역시 단백질 종류에 따른 반응성 차이와 같은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BCA 법을 사용할 때는 표준 단백질 용액 선택, 반응 시간 및 온도 조절 등의 실험 조건을 최적화하여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A+] 단백질정량법비교(BCA,Bradford) 결과 레포트 6페이지
1. 시약 세부• Bovin Serum Albumin (BSA)소의 혈청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체내에서 혈액의 콜로이드 삼투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물질과 결합할 수 있어 운반 역할의 단백질로 사용되기도 하고, 바이오시밀러, 배지 성분, 줄기세포 배양, 세균 및 바이러스 백신, 감염병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3. 고찰1. 실험 오차 요인1) 분광광도계 설정흡광도 측정 시, Blank에서 0으로 측정되어야 하나, 0으로 측정되지 않았다. 이후, 분광광도계 전원을 껐다 켜서 다시 측정한 결과 흡광도가 0으로 ...2025.01.04· 6페이지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A+] 단백질정량법비교(BCA,Bradford) 예비 레포트 7페이지
1. 실험 목표Bicinchoninic Acid(BCA)와 Bradford를 이용한 단백질 정량법을 이용하여 미지시료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두 방법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또한 미지시료를 분석함에 있어 어떤방식이 적절한지 판단한다. 2. 실험 원리2-1. 단백질 정량법단백질 정량법은 전체 단백질을 정량하는 방법과 특정 단백질을 정량하는 방법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본 실험에서는 전체 단백질을 정량하는 방법인 BCA와 Bradford를 사용하므로, 전체 단백질을 정량하는 방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2) Bradford Assa...2025.01.04· 7페이지 -
(A+레포트)[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5.단백질 정량법 비교(BCA, Bradford)(결과) 7페이지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결과 레포트 -실험 제목실험5. 단백질 정량법 비교(BCA, Bradford)실험 일자실험 조 및 조원학 과학 번이 름1. ResultsBCA assayBlank(E)ABCDSampleBSA 농도02015105-흡광도0.0000.7580.5520.4410.3340.652Sample의 농도 계산따라서 BCA Assay를 이용하여 구한 sample의 BSA 농도는 16.7666 µg/mL이다.Bradford assayBlank(E)ABCDSampleBSA 농도02015105-흡광도-0.0010.8670.820...2025.02.13· 7페이지 -
(A+레포트)[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5.단백질 정량법 비교(BCA, Bradford)(예비) 8페이지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예비 레포트 -실험 제목실험5. 단백질 정량법 비교(BCA, Bradford)실험 일자실험 조 및 조원학 과학 번이 름1. Introduction1-1. 실험 목적Bicichoninic Acid(BCA)와 Bradford를 이용한 단백질 정량법을 이용하여 미지 시료의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두 방법의 결과를 비교분석한다. 또한 미지시료를 분석함에 있어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판단한다.1-2. 실험 원리단백질 정량이란 sample 내에 포함된 단백질의 양 또는 농도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세포 또는 조직에서 추...2025.02.13· 8페이지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단백질 정량법 비교 (BCA, Bradford) 4페이지
1. 실험 날짜 (Date) : 2023.04.172. 실험 방법1) Standard 희석 및 sample 준비standard는 아래의 표와 같이 준비한다.2) Working Reagent (WR) 준비① standard와 sample의 총 합은 blank 포함 6개이고, 2회 반복실험을 감안해 WR을 준비한다.② 각각 Vial 당 필요한 WR는 600㎕로 잡고 계산한다. [Total WR=7200㎕]③ WR의 구성은 3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 MA, MB, MC가 있으며 비율은 부피비 25:24:1로 제조하면 된다. (정상적인...2023.11.14·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