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COD 측정
본 내용은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COD 측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6
문서 내 토픽
-
1.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측정본 실험에서는 과망가니즈산칼륨을 산화제로 사용해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를 측정하고 미지시료의 농도를 측정한다. 먼저 황산을 사용해 0.025N-KMnO4의 factor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수욕조에서 과망가니즈산칼륨을 사용해 시료를 적정한다. 마지막으로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해 역적정을 진행해 가열반응 후 소비된 과망가니즈산칼륨의 양을 구하고, 바탕실험에 소비된 과망가니즈산칼륨의 양과 비교분석해 미지시료의 농도를 계산한다.
-
2. 용존 산소량(DO)용존 산소량은 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량으로, 수질 오염의 지표로 사용된다. 보통 공기중의 산소가 용해되어 공급되는 방식으로, 온도와 기압에 따라 용해량이 달라진다. 또한, 유기성 오염물질의 증가로 수중 미생물이 과다하게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경우 산소 사용량이 많아지고, DO의 감소로 인해 어패류의 사멸은 물론 산소의 결핍과 혐기성 분해로 인한 유해가스까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처럼 하천의 수질이 오염될수록 DO가 감소하나, 조류 등이 번식하는 경우 광합성으로 인해 DO가 증가해 과포화되는 경우도 있다.
-
1.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측정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측정은 수질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COD는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이 산화되는 데 필요한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를 통해 수질의 오염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COD 측정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수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COD 측정 방법에 따라 결과값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표준화된 측정 방법을 사용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COD 외에도 다른 수질 지표들과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인 수질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2. 용존 산소량(DO)용존 산소량(DO)은 수중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로, 수생 생물의 생존과 수질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O 농도가 낮으면 수중 생물의 호흡이 어려워지고 부패가 가속화되어 수질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O 측정은 수질 관리에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적정 수준의 DO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DO 측정 시에는 온도, 염도, 기압 등의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표준화된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DO 외에도 다른 수질 지표들과 함께 분석하여 종합적인 수질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COD 측정 3페이지
1. 실험 날짜 (Date) : 2023.03.272. 실험 방법1. 0.025N-KMnO4의 factor 결정* H2SO4(1+2) 100 ml 기준 - 증류수 약 50 ml에 진한 황산 33 ml을 천천히 녹이고, 증류수를 넣어 100m로 맞춘다. (증류수:황산=약 2:1이 되도록)※ 황산에 증류수를 첨가하면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증류수에 황산을 넣어야 한다.(1) 증류수 100ml을 삼각플라스크에 취하여 H2SO4(1+2)) 10ml을 넣고, 여기에 0.025N-Na2C2O4 10ml와 magnetic bar를 넣고...2023.11.14· 3페이지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A+] COD 측정 예비 레포트 5페이지
1. 실험 목표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유기물이 산화제에 의해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며, COD를 측정하여 시료의 오염 정도를 파악한다. 2. 실험 원리수질오염의 지표에는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 DO), 부유물질량(Suspended Solids, SS),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등이 있다. 본 실험은 COD 측정을 통해 ...2025.01.04· 5페이지 -
(A+레포트)[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2.COD 측정(결과) 8페이지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결과 레포트 -실험 제목실험2. COD 측정실험 일자실험 조 및 조원학 과학 번이 름1. Results0.025N-KMnO4의 factor 결정적정 전 뷰렛의 눈금(mL)32.5적정 후 뷰렛의 눈금(mL)42.7적정량(mL)10.2Factor(f = 10/X, X: 적정량(mL))0.980492그림1. 0.025N-KMnO4 적정 후 모습미지시료의 농도 결정종류측정결과미지시료량(mL)5시료 적정에 소비된 0.025N-KMnO4(mL)2.9바탕 시험에 소비된 0.025N-KMnO4(mL)1.3Factor 결...2025.02.13· 8페이지 -
(A+레포트)[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2.COD 측정(예비) 8페이지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예비 레포트 -실험 제목실험2. COD 측정실험 일자실험 조 및 조원학 과학 번이 름1. Introduction실험 목적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유기물이 산화제에 의해 분해될 때 소비되는 산소량을 나타내며, COD를 측정하여 시료의 오염 정도를 파악한다.실험 원리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시험은 가정하수나 산업 폐수의 유기 물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BOD대신 많이 이용된다. 모든 유기물은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산성조건하에서 강한 산화제로 산화되며, ...2025.02.13· 8페이지 -
[화공생물공학단위조작실험1 A+레포트(고찰)] COD 측정 8페이지
(3) 미지시료의 COD Mn 의 계산COD Mn 은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COD Mn(mg/L) = (a-b) ×f× 1000/V × 0.2COD Mn : 100℃에서의 KMnO4 에 의한 화학적 산소소비량(mg/L)a : 시료 적정에 소비된 0.025N KMnO4 (mL)b : 바탕실험(Blank test)에 소비된 0.025N KMnO4 (mL)f : 0.025N-KMnO4 용액 역가V : 측정시료에 사용된 용액량 (mL)2. Discussion(1) 결과 분석 및 해석본 실험에서는 시료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2024.11.07·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