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레포트]연극 이론과 작품의 상관관계
본 내용은
"
[A+레포트]연극 이론과 작품의 상관관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6
문서 내 토픽
-
1. 고대 그리스 연극연극 역사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534년, 고대 도시 디오니시아에서 최초로 비극을 위한 경연대회가 개최되면서 학자들은 이 시기부터 연극이 존재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당시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le,B.C.384-322)는 고대 그리스의 연극 작가들이 쓴 그리스 비극의 특징들에 대해 정밀하게 이론화하였다.
-
2.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아리스토텔레스가 서술한 비극의 정의는 비극에서뿐만 아니라 후에 다양한 장르에서도 영향을 미친다. 아리스토텔레스 비극론에 가장 잘 부합한 작품은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으로 알려져 있다. 『시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왜 아리스토텔레스가 소포클레스의 작품을 극찬했는지 알 수 있다.
-
3. 프랑스 신고전주의 연극로마제국의 멸망 이후, 900년부터 1550년까지 중세시대에는 '연극의 암흑기'로 불렸고, 1450년 이탈리아의 르네상스가 시작되면서 뒤늦게 16세기에 프랑스는 이의 영향을 받게 된다. 프랑스 신고전주의는 『시학』에서의 '삼일치'와 '개연성', '보편성', '진실다움'을 법률화하여 이를 지키지 않은 작품을 공연 금지할 정도로 강력하였다.
-
4. 낭만주의 연극 이론신고전주의에서 개연성, 적합성, 논리적인 사고를 중시하였다면 이를 대항하여, 신고전주의의 질서, 규범, 미학적 가치들을 반대하는 세력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이성보다는 감성을 중시라면서 철학자 루소, 쇼펜하우어, 칸트의 등장으로 자유와 규범과 법칙에 저항하려고 한다.
-
5. 사실주의 연극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는 산업혁명으로 급격한 사회변화를 맞는다. 거기에다 다윈의 진화론,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의 등장은 영웅, 이상적 세계, 꿈을 추구하는 낭만주의에 반기를 든 세력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주변에서 보이는, 진짜로 있을 법한 이야기들을 연극에서 그리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현실의 문제들을 제기하고자 했다.
-
6. 서사극 이론사실주의 사조 이후에는 브레히트 서사극 이론이 있다. 이는 소외효과 등의 기법으로 관객들과 거리두기를 하여, 연극의 교훈적인 목표를 강화하였다.
-
7. 부조리극 이론부조리극 이론은 세계 2차 세계대전 이후, 실존주의 철학이 등장하면서 삶이란 황당하기 짝이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살아가야 한다는 부조리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대표작은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우를 기다리며」이다.
-
1. 고대 그리스 연극고대 그리스 연극은 서양 연극의 기원이 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연극은 종교적 의식에서 발전하여 비극과 희극의 두 갈래로 나뉘었습니다. 비극은 인간의 비극적 운명과 고뇌를 다루었고, 희극은 일상적인 삶과 풍자를 다루었습니다. 이러한 고대 그리스 연극은 이후 서양 연극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비극의 구조와 주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에 의해 체계화되었고, 이는 이후 수많은 연극 이론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고대 그리스 연극은 서양 연극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은 서양 연극 이론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작품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비극의 구조와 특성, 그리고 비극의 목적과 효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그는 비극의 필수 요소로 플롯, 성격, 언어, 음악, 시각적 요소 등을 제시하였고, 특히 플롯의 구조와 비극적 감정의 정화(카타르시스)에 대해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은 이후 수많은 연극 이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서양 연극의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비록 현대 연극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완전히 따르지는 않지만, 그의 비극론은 여전히 연극 이론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
3. 프랑스 신고전주의 연극프랑스 신고전주의 연극은 17세기 프랑스에서 발전한 연극 양식으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연극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특징을 보여주었습니다. 신고전주의 연극은 3일치 단일 장소 원칙, 5막 구조, 운문 대사 등의 엄격한 규범을 따랐습니다. 또한 이성과 질서, 균형을 중시하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코르네이유, 라신, 몰리에르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작품은 인간의 보편적 성격과 운명을 다루면서도 정제된 언어와 형식미를 보여주었습니다. 신고전주의 연극은 이후 프랑스 연극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고전주의 연극의 전통을 이어받은 대표적인 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낭만주의 연극 이론낭만주의 연극 이론은 19세기 초반 유럽에서 발전한 연극 이론으로, 신고전주의 연극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습니다. 낭만주의 연극 이론가들은 신고전주의의 엄격한 규범과 형식미에 반대하며, 개성과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을 강조했습니다. 그들은 연극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예술 형식이라고 보았습니다. 또한 단일 장소와 시간 제한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구조를 주장했습니다. 대표적인 낭만주의 연극 작가로는 셰익스피어, 고흐, 뷔히너 등이 있습니다. 낭만주의 연극 이론은 이후 리얼리즘, 표현주의 등 다양한 연극 양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5. 사실주의 연극사실주의 연극은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발전한 연극 양식으로, 현실 세계를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사실주의 연극 작가들은 사회적 문제와 인간의 내면 갈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들은 무대 장치와 의상, 대사 등을 통해 현실감을 높이고자 했으며, 관객들이 연극 속 인물들의 삶에 공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대표적인 사실주의 연극 작가로는 이브센, 체홉, 스트린드베리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작품은 사회 문제와 인간 내면의 복잡성을 생생하게 보여주었으며, 이후 다양한 연극 양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사실주의 연극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연극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6. 서사극 이론서사극 이론은 20세기 초반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에 의해 발전된 연극 이론입니다. 브레히트는 기존의 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 이론에 반대하며, 관객의 감정 이입을 차단하고 비판적 사고를 유발하는 연극을 주장했습니다. 그는 무대 장치와 연기 기법을 통해 연극의 인위성을 드러내고, 관객으로 하여금 연극 속 사건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고자 했습니다. 서사극 이론은 연극을 단순한 오락이 아닌 사회 비판의 도구로 보았으며, 이후 다양한 실험적 연극 양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은 연극의 사회적 기능과 관객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7. 부조리극 이론부조리극 이론은 20세기 중반 유럽에서 발전한 연극 이론으로,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과 소통의 불가능성을 다루었습니다. 부조리극 작가들은 전통적인 연극 구조와 언어를 파괴하고, 비논리적이고 비일관적인 극적 구조를 통해 인간 존재의 부조리함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대표적인 부조리극 작가로는 이오네스코, 베케트, 이오네스코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작품은 관습적인 연극 형식을 거부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성찰하게 만들었습니다. 부조리극 이론은 기존 연극 양식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지만, 이후 다양한 실험적 연극 양식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부조리극은 연극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