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스피스 개념 설명 및 진로발표(소아암 호스피스)
본 내용은
"
호스피스 개념 설명 및 진로발표(소아암 호스피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5
문서 내 토픽
-
1. 호스피스의 개념호스피스의 어원은 라틴어의 호스피탈리스(hospitals)와 호스피티움(hospitium)에서 기원합니다. 호스피탈리스는 '주인'을 뜻하는 호스페스(hospes)와 '치료하는 병원'을 의미하는 호스피탈(hospital)의 복합어입니다. 오늘날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현대적 의미의 호스피스 개념은 영국 여의사 시실리 손더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웹스터 사전(1972년)에는 '여행자를 위한 숙소 또는 병자,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집(inn)'으로 설명하고 있고, 미국호스피스협회(NHO)에서는 '말기환자와 가족에게 입원간호와 가정간호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2. 전통적 치료와 호스피스의 차이전통적 치료는 죽음을 부정하고 기술의 발달로 생명연장을 강조하며, 환자의 의사를 무시하고 환자를 가족구성원으로 보지 않습니다. 반면 호스피스는 죽음을 삶의 자연스러운 일부분으로 수용하고, 환자와 가족이 함께 의사결정에 참여하며 삶의 질을 강조합니다. 전통적 치료는 질병의 과정에 중점을 두어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만, 호스피스는 통증 및 증상의 질적인 조절과 팀 접근을 통해 환자와 가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3. 국내 소아암 호스피스 현황국내에는 노인들을 위한 호스피스는 많지만, 아동을 위한 호스피스는 별로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3학년 1학기 기간 동안 한국소아암재단의 요청을 받아 소아암 호스피스 시설을 설계하게 되었습니다. 중심 컨셉은 '자연과 하나가 된 호스피스'로, 강당 중앙에 나무와 잔디가 공존하는 구조를 통해 희망적인 인상과 밝은 느낌을 주고자 했습니다. 또한 코로나 방지를 위해 출입구에 에어샤워 시스템을 도입하고 밀폐된 공간이 없게 환기가 잘 될 수 있는 구조를 도입했습니다.
-
1. 호스피스의 개념호스피스는 말기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돌봄을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입니다. 호스피스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호스피스는 단순히 의학적 치료에 국한되지 않고 환자와 가족의 전인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이 남은 시간을 더욱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2. 전통적 치료와 호스피스의 차이전통적인 의료 치료는 질병의 치료와 완치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호스피스는 말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둡니다. 전통적 치료는 적극적인 의학적 개입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지만, 호스피스는 환자의 고통을 완화하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주력합니다. 또한 호스피스는 환자와 가족의 정서적, 영적 요구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반면 전통적 치료는 이러한 부분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처럼 호스피스는 환자 중심의 전인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3. 국내 소아암 호스피스 현황국내 소아암 호스피스 서비스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소아암 환자와 가족들은 치료 과정에서 겪는 신체적, 정신적 고통이 크지만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적인 호스피스 서비스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일부 대형 병원에서 소아암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균등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 접근성이 낮은 편입니다. 또한 소아암 호스피스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여 서비스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향후 소아암 환자와 가족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호스피스 서비스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