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ICU 중환자실실습 장폐색, 폐부종 케이스 A+받았습니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ICU 중환자실실습 장폐색, 폐부종 케이스 A+받았습니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0
문서 내 토픽
  • 1. 장폐색
    장폐색은 장 내용물의 통과 장애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하며 급성 복증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장폐색증은 크게 마비성 장폐색와 기계적 장폐색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 기계적 장폐색의 원인으로 가장 많은 것은 수술 후 유착(49%), 종양(16.2%), 탈장(15%) 등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한번 유착된 장은 그 후에도 다시 재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간호가 필요하다. 장폐색은 오심, 구토, 탈수와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이런 상태가 24시간 이내에 진단되거나 치료되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다. 그러므로 환자를 관찰하면서 환자가 겪고 있는 간호 문제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간호진단을 내려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 수행을 통해 환자의 안녕을 증진할 수 있는 간호를 공부해보고자 이번 사례연구를 실시한다.
  • 2. 폐부종
    폐부종은 질환이기라기보다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폐정맥 및 모세혈관 내에서 폐의 간질조직과 폐포로 체액이 빠져나가면서 폐포와 기도를 침범하여 가스교환을 악화시켜 저산소증을 일으켜 심한 호흡곤란을 야기하는 상태를 말한다. 폐부종은 심인성과 비심인성으로 나뉠 수 있다. 심인성은 승모판 협착증, 좌심실 부전 등 심장에 의한 폐부종이며 비심인성은 저알부민혈증, 림프계의 차단, 성인 호흡곤란증후군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기전에 의해 폐포-모세혈관막의 투과성이 증가된 경우 등에서의 폐부종이 있다.
  • 3. 신기능 장애
    대상자의 신기능이 좋지 않아 CRRT를 시행하고 있다. 12월 26일 creatinine 7.5 mg/dL, BUN 70.8 mg/dL으로 신장 상태가 좋지 않아 CRRT를 시행하고 있다. 1월 26일 이후로 BP가 70mmHg 이하로 감소하고 있으며 CRRT도 제거하고 보호자 불러서 임종 준비 중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장폐색
    장폐색은 장관의 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의학적 상태입니다. 이는 장내용물의 통과가 막혀 발생하며, 구토, 복통,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장폐색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는데, 종양, 탈장, 유착 등이 대표적입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보존적 치료로도 호전될 수 있지만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장폐색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히 의료진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장폐색의 예방을 위해서는 장관 수술 후 관리, 변비 예방, 탈장 예방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2. 폐부종
    폐부종은 폐 조직 내에 액체가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의학적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기침,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폐부종의 원인은 다양하며, 심부전, 신부전, 폐렴, 약물 부작용 등이 대표적입니다. 폐부종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의 치료와 함께 이뇨제 투여, 산소 공급 등의 보존적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폐부종의 예방을 위해서는 기저 질환의 관리,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3. 신기능 장애
    신기능 장애는 신장의 여과 및 배설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의학적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요독증, 전해질 불균형, 산-염기 불균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기능 장애의 원인은 당뇨병, 고혈압, 사구체 신염 등 다양한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기능 장애는 진행성 질환이므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의 치료와 함께 수분 및 전해질 관리, 투석 등이 이루어집니다. 신기능 장애의 예방을 위해서는 기저 질환의 관리,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