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리학 자율신경계 (원리, 적용 약물)
본 내용은
"
약리학 자율신경계 (원리, 적용 약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4
문서 내 토픽
-
1. 자율신경계자율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구성되며,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나뉩니다. 교감신경계는 활성화되면 심장박동 증가, 혈압 상승, 동공 확대 등의 반응을 일으키고, 부교감신경계는 활성화되면 심장박동 감소, 혈압 저하, 동공 축소 등의 반응을 일으킵니다.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에는 콜린성 효능약, 콜린성 길항약, 아드레날린성 효능약, 아드레날린성 길항약 등이 있습니다.
-
2. 콜린성 효능약콜린성 효능약에는 아세틸콜린, 베타네콜, 카르바콜, 필로카르핀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위장관 운동 증가, 동공 수축, 심박수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기관지 분비 증가, 설사, 두통, 부정맥 등이 있습니다.
-
3. 콜린성 길항약콜린성 길항약에는 아트로핀, 스코폴라민, 이프라트로퓸, 옥시부티닌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무스카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부교감신경 작용을 억제하며, 동공 확대, 위장관 활동 감소, 심박수 증가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졸림, 구갈, 시야 흐림 등이 있습니다.
-
4. 아드레날린성 효능약아드레날린성 효능약에는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도부타민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α 수용체와 β 수용체를 자극하여 혈압 상승, 심박수 증가, 기관지 확장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심박동수 증가, 혈압 상승, 불안, 진전 등이 있습니다.
-
5. 아드레날린성 길항약아드레알린성 길항약에는 펜톨아민, 프라조신, 독사조신, 타무로신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α 수용체와 β 수용체를 차단하여 혈압 저하, 심박수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체위성 저혈압, 서맥, 기립성 저혈압 등이 있습니다.
-
1. 자율신경계자율신경계는 우리 몸의 중요한 부분으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감신경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성화되어 심장 박동 증가, 혈압 상승, 호흡 증가 등의 반응을 일으킵니다. 반면 부교감신경은 휴식 상태에서 활성화되어 심장 박동 감소, 혈압 저하, 소화 기능 증가 등의 반응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자율신경계의 균형은 우리 몸의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하며, 자율신경계 기능 장애는 다양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율신경계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콜린성 효능약콜린성 효능약은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증가시켜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근육 등에 작용하여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눈 조절, 소화기 기능 증가, 심장 박동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콜린성 효능약은 중증근무력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구토, 설사, 서맥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
3. 콜린성 길항약콜린성 길항약은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부교감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근육 등에 작용하여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킵니다. 예를 들어 동공 확장, 배뇨 장애, 심박수 증가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콜린성 길항약은 파킨슨병, 과민성 방광, 궤양성 대장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구갈, 변비, 시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
4. 아드레날린성 효능약아드레날린성 효능약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심장 박동 증가, 혈압 상승, 기관지 확장, 동공 확장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아드레날린성 효능약은 천식, 저혈압, 아나필락시스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심계항진, 불안, 떨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
5. 아드레날린성 길항약아드레날린성 길항약은 교감신경계를 억제하여 다양한 생리적 반응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심장 박동 감소, 혈압 저하, 기관지 수축, 동공 수축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아드레날린성 길항약은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서맥, 저혈압, 피로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
중앙대학교 통합임상실습(종양) 선행시험 (기출 형광펜!!!) 10페이지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비교통합임상실습 선행시험종양에 대한 이해특성양성악성분화/역형성양성 종양은 잘 분화되어 정상세포와 유 사하며, 역형성은 없거나 적음성숙한 세포로 구성세포 고유기능 유지하는 경우가 많음정상에 가깝게 분화가 일어난 종양에서부 터 전혀 분화가 일어나지 않은 미분화 종양 까지 여러 형태가 있음미성숙한 세포로 구성세포 고유기능 유지하기 어려움성장속도천천히 자람 (수년에 걸쳐 생성)성장이 멈추는 휴지기를 가질 수 있음빨리 자람저절로 없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국소침윤점점 커지면서 성장하나 범위가 한정됨주위 조직에 대한 침윤...2021.03.25· 10페이지 -
정신 케이스 (문헌고찰, 간호과정 포함) 수면장애, 불안 20페이지
목 차Ⅰ. 문헌고찰 (알코올 의존증후군)1. 정의2. 알코올의 의존 기준3. 원인4. 증상5. 알코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6. 치료7. 합병증Ⅱ. 간호과정 적용1. 환자력 (Personal History)2. 기능적 건강양상사정 (Functional Health Pattern)3. 신체적 사정 (physical Examination)4. 정신상태사정 (Mental status Examination)5. 가족사정 (Family Function Assessment)6. 대상자의 강점 및 취약점7. 위험요소8. 약물조사9. 간호진단 도출...2020.12.01· 20페이지 -
정신간호학 학습목표 문제 16페이지
─────────────────────────────────────────────────정신간호학 과제문제만들기─────────────────────────────────────────────────학교학과간호학과교과목정신간호학담당 교수님학번이름Ⅰ. 정신건강과 정신질환학습목표1.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의 연속선을 설명한다.⇒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은 정신건강 연속선상의 양극단에 있는 것이 아님,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에 대한 유연한 사고가 필요2. 정신질환의 예방과 회복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파악한다.⇒ 회복탄력성은 정신건강의 회복과정...2023.09.15· 16페이지 -
근골격계 환자 케이스 보고서 A+ 진단2/과정2 (비골 골절을 동반한 경골 하단의 골절, 폐쇄성 진단) 21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경골과 비골 골절Fracture of tibia & fibula교과목학번이름실습지도교수제출날짜실습병원/병동실습기간목 차[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문헌적 고찰 (질환명: 골절)[3] 간호사정[4] 간호과정[5] 참고 문헌[1] 사례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나는 ㅇㅇ병원 외과병동 실습 중 우측 비골 골절(모든부분)을 동반한 경골 하단의 골절, 폐쇄성 진단을 받은 환자를 통해 골절에 대해 연구해보기로 했다. 골절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말하며 경골 및 비골의 골절은 최근 교통사고의 증...2022.07.21· 21페이지 -
<<A++>> 보완대체 : 온천요법 해양요법 63페이지
온천요법 BalneotherapyCONTEXT 01 . 정의 역사 02 . 원리 및 효과 03 . 종류와 방법 04 . 적용 ( 적응증 ) 05 . 유의사항 06 . 간호학적 적용01. 정의 역사 온천요법 : Balneotherapy 지열 ( 地熱 ) 로 땅 속에서 평균 기온 이상의 온도로 데워져 자연적으로 솟아나는 온천물로 질병을 치료하는 요법으로 입욕 ( 入浴 ) 또는 복용 휴양 , 운동 , 영양의 건강 3 요소와 자연환경 , 사회적 환경이 가지는 보건작용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는 치료법 Balneo ( 그리스어로 입욕 ) + th...2017.03.01· 6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