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큐의 경제학 9판 15장 응용문제 풀이
본 내용은
"
맨큐의 경제학 9판 15장 응용문제 풀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3
문서 내 토픽
  • 1.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독점 기업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생산량을 결정하여 이윤을 극대화한다. 이때 한계수입은 가격보다 항상 낮으며, 가격을 인하하여 수요량을 늘리려면 이미 팔고 있던 수량에 대해서도 가격을 낮추어야 하므로 한계수입은 가격보다 낮다. 경제적 순손실은 독점으로 인해 총잉여가 감소한 부분이다.
  • 2. 독점 기업의 가격 및 생산량 결정
    독점 기업은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생산량을 결정하여 이윤을 극대화한다. 이때 가격은 수요가 비탄력적인 수준에서 결정된다. 또한 총수입이 극대화되는 수량은 한계수입이 0이 되는 지점이다.
  • 3. 가격차별
    독점 기업은 가격차별을 통해 이윤을 더 높일 수 있다. 완전가격차별을 하면 소비자잉여와 경제적 순손실이 모두 독점 기업의 이윤으로 전환된다. 사회계획가는 총잉여 증가분이 가격차별 비용보다 큰 경우에만 가격차별을 허용할 것이다.
  • 4. 자연독점
    자연독점 시장에서는 평균총비용이 감소하므로 한계비용이 0이 된다. 이 경우 정부가 운영하면 효율적인 통행량을 달성할 수 있지만 적자가 발생하므로 통행료를 받지 않아야 한다.
  • 5. 가격상한제
    가격상한이 이윤 극대화 가격보다 높으면 초과수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가격상한이 이윤 극대화 가격의 50% 수준이면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독점 기업은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윤 극대화를 위해 가격을 높게 책정하고 생산량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 후생을 감소시키고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독점 기업의 행동을 규제하여 사회적 후생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격상한제, 생산량 규제, 경쟁 정책 등을 통해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행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 독점 기업의 가격 및 생산량 결정
    독점 기업은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격과 생산량을 자신의 이윤 극대화를 위해 결정합니다. 이 경우 가격은 높게 책정되고 생산량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는 소비자 후생을 감소시키고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독점 기업의 가격 및 생산량 결정에 개입하여 사회적 후생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격상한제, 생산량 규제, 경쟁 정책 등을 통해 독점 기업의 행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3. 가격차별
    가격차별은 독점 기업이 소비자의 지불 의사를 고려하여 가격을 차등적으로 책정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소비자 후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가격차별 행위를 규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격 공개 의무화, 차별적 가격 책정 금지 등의 정책을 통해 가격차별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완전한 금지보다는 소비자 보호와 기업의 이윤 균형을 고려한 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자연독점
    자연독점은 규모의 경제로 인해 한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게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 독점 기업은 가격을 높게 책정하고 생산량을 제한하여 이윤을 극대화하려 할 것입니다. 이는 소비자 후생을 감소시키고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자연독점 기업에 대한 규제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가격상한제, 생산량 규제, 공공 소유 등의 정책을 통해 자연독점 기업의 행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기업의 투자 유인이 저하되지 않도록 균형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5. 가격상한제
    가격상한제는 독점 기업의 가격 인상을 제한하는 정책으로, 소비자 후생 증진과 자원 배분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독점 기업의 이윤 극대화 행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가격상한제는 기업의 투자 유인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적정 수준의 상한가 설정과 함께 기업의 투자 보장 등 보완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가격상한제는 독점 기업뿐만 아니라 자연독점 기업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