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놀이의 원리를 설명하고 그 중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하여 활동한 그 결과를 기술하시오
본 내용은
"
치료 놀이의 원리를 설명하고 그 중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하여 활동한 그 결과를 기술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3
문서 내 토픽
  • 1. 치료 놀이의 원리
    치료놀이의 원리로는 구조(Structuring), 개입(engaging), 양육(nurturing), 도전(challenging)의 4가지 차원이 포함된다. 그 외에 즐거움(playfulness)이 추가되어 치료활동이 계속되는 동안 줄 곧 재미있어야 한다. 구조(Structure)는 아동의 세계가 부모에 의해 시간과 공간에 따라 구조화되고, 이로 인해 아동들은 결과에 대한 예측과 안전에 대한 감각을 획득하게 된다. 도전(Challenge)은 유능함과 자기 확신에 대한 느낌을 길러준다. 개입(Engagement)을 통하여 아동은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알게 되고, 몸의 경계에 대해 배우고, 자기들이 부모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주는 원천이라는 느낌을 갖게 된다. 양육(Nurture), 부모는 다양한 방법으로 아동에 대한 사랑과 돌봄을 표현하게 된다. 즐거움(playfulness) 치료놀이의 모든 활동들은 게임을 통해서나 아동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재미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2. 개입(Engagement)을 활용한 활동과 결과
    C아동의 경우 1남1녀 중 막내이며, 부모의 폭력과 알코올 문제로 인해 정서적 문제를 겪고 있었다. 활동 시작 전부터 C아동의 기분이 좋지 않았으나, '어느 손가락일까?', '모자 바꿔 쓰기', '색깔찾기', '줄넘기 놀이', '간식나누기' 등의 활동을 통해 점차 타인을 배려하고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생겼으며, 타인과의 신체적 접촉도 편안하게 받아들이며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회기 초기 위축행동과 방해 ? 규칙위반, 접촉(양육)거부가 관찰되었으나 중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고, 공격행동과 관심끌기 행동은 중기에 증가하였다가 말기에는 자기표현(긍)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치료 놀이의 원리
    치료 놀이는 아동의 발달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료 놀이의 핵심 원리는 아동의 자발성과 흥미를 이용하여 치료 목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아동은 놀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치료사는 아동의 내면을 이해하고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놀이는 아동의 인지, 언어, 사회성, 정서 등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사는 아동의 발달 수준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놀이 활동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치료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치료 놀이는 아동 중심적이며, 아동의 자발성과 흥미를 존중하는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개입(Engagement)을 활용한 활동과 결과
    개입(Engagement)은 치료사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참여와 몰입을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입을 활용한 활동은 아동의 관심사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구성되며,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합니다. 이를 통해 아동은 치료 활동에 더욱 집중할 수 있으며, 치료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입을 활용한 활동은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추어 점진적으로 난이도를 높여나갈 수 있어, 아동의 성취감과 자신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입 기반의 활동은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을 촉진하고, 치료 목표 달성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치료사는 아동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면밀히 파악하여 개입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적극적인 참여와 긍정적인 치료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