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혈액확인과 환자확인
본 내용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혈액확인과 환자확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2
문서 내 토픽
  • 1. 혈액확인과 환자확인
    본원 혈액확인과 환자 확인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혈액 수령 시 혈액출고증과 혈액담당 직원의 1차 확인, 환자 주입 전 병동에서 출고증과 동료간호사의 2차 확인, 혈액백 스티커의 서명/확인 등 혈액과 환자 확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혈 전 간호 사정, 수혈 동의서 확인, 검체 채혈 및 ABO/Rh, cross matching 검사 절차, 혈액제제 확인 절차, 수혈 전 최종 확인 등 안전한 수혈을 위한 다양한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 2. 안전한 수혈을 위한 간호
    간호사의 수혈 관련 역할과 책임, 수혈 시 주의사항 등 안전한 수혈을 위한 간호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간호사는 수혈의 기본원칙, 필요성, 부작용 등을 숙지하고 정확한 수혈 방법을 숙지해야 하며, 수혈 전후 환자 사정과 기록, 환자/보호자 교육, 환자 권리 보호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수혈의 효과와 부작용을 고려하여 수혈이 필요한 경우에만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혈액확인과 환자확인
    혈액확인과 환자확인은 수혈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환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환자의 정확한 신원 확인과 함께 수혈할 혈액의 정확한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 확인 절차를 철저히 이행하고, 혈액 라벨링과 교차 확인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또한 수혈 전후 환자의 활력징후와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여 부작용 발생 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수혈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2. 안전한 수혈을 위한 간호
    안전한 수혈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혈 전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수혈 전 검사와 확인 절차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 또한 수혈 중에는 환자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부작용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수혈 후에도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등 전 과정에 걸쳐 안전성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수혈 관련 지침과 프로토콜을 숙지하고,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전문성을 높여나가야 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