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및광통신실험A+]광통신의 분산 의존성
본 내용은
"
[레이저및광통신실험A+]광통신의 분산 의존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2
문서 내 토픽
  • 1. 광통신
    광통신은 광섬유 내로 들어간 광 신호의 내부 전반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내부 전반사는 광섬유 내 입사각이 임계각과 90° 사이의 값을 가지면 그 빛이 거의 100% 반사되는 과정이다. 광섬유에서 내부 전반사를 통해 광섬유 내부를 전파하는 빛을 모드(mode)라고 한다. 단일모드 광섬유(single-mode fiber)는 하나의 모드만을 가지며 광 신호의 펄스 모양을 유지하는 데 뛰어나다. 다중모드 광섬유(multimode fiber)는 여러 개의 모드가 광섬유 내부를 전파하며, 각각의 모드들이 이동하는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모드가 도착하는 시간이 달라진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광통신
    광통신은 현대 통신 기술의 핵심 기반 중 하나입니다. 광섬유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통신은 기존의 구리선 통신에 비해 전송 속도가 빠르고 전송 거리가 길며 전자기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광통신은 통신 인프라의 근간이 되어 왔으며, 초고속 인터넷, 5G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광통신 기술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광통신 인프라 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점과 광섬유 케이블 설치의 어려움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광통신은 미래 통신 기술의 핵심 축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