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의 특성 분석
본 내용은
"
[레이저및광통신실험A+]LED의 특성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1
문서 내 토픽
-
1. LED의 광출력-전류 특성LED의 광출력-전류 특성은 LED에 0.5mA 간격으로 전류를 증가시키면서 주입하여 PD(Photo Diode)를 통해 광전류 값을 측정한다. 450nm, 555nm LED에 주입하는 최대 전류 값은 30mA이며 630nm에 주입하는 최대 전류 값은 75mA이다.
-
2. 450nm LED의 외부 양자효율(EQE)그림 6은 450nm LED의 외부 양자효율(EQE)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그림 6-(a)를 통해 7V 근처에서 최대 EQE 값 0.0035를 갖고 이후 EQE가 미세하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6-(b)는 그림 6-(a)의 x축을 로그 간격으로 바꿔 얻은 그래프이다. EQE가 증가하다가 7V 근처에서 최대값을 보이고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
1. LED의 광출력-전류 특성LED의 광출력-전류 특성은 LED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LED의 광출력은 인가되는 전류에 비례하여 증가하지만, 일정 전류 이상에서는 광출력의 증가율이 감소하는 포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LED 내부의 전자-정공 재결합 효율이 전류 증가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ED 설계 시 최적의 구동 전류를 선정하여 효율적인 광출력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LED 재료, 구조, 공정 등의 개선을 통해 광출력-전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LED의 에너지 효율과 응용 분야를 확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450nm LED의 외부 양자효율(EQE)450nm LED의 외부 양자효율(EQE)은 LED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EQE는 LED 내부에서 발생한 광자 중 실제로 외부로 방출되는 광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450nm 청색 LED의 경우 일반적으로 EQE가 30-50% 수준입니다. 이는 LED 내부의 광 추출 효율, 전자-정공 주입 효율, 발광 효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EQE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LED 구조 및 재료 개선, 광 추출 구조 최적화, 전하 주입 효율 향상 등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450nm LED의 광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A+ 보장] LED와 LD의 특성 비교 및 분석1. LED 소자의 특성 LED 소자의 실험 결과를 통해 LED 소자의 스펙트럼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D 소자는 특정 파장 대역에서 빛을 방출하며, 파장에 따른 광도 차이를 보인다. 특히 녹색 LED 소자의 경우 시감도가 높아 스펙트럼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LED 소자의 중요 특성인 피크 발광 파장(hp)과 반치폭(FWHM)을 확인할 수 있었다....2025.05.11 · 공학/기술
-
LED의 소신호 모델 분석 및 특성1. LED 소신호 모델 LED 소자의 전기적 등가회로에서 Rs, Cp, Rj 등의 요소가 갖는 물리적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Rs는 소자 내부의 전력 손실을 의미하며, Cp는 고주파 신호의 커플링 차단 효과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Rj는 출력 임피던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조절하는 중요한 저항 매개변수입니다. 2. 임피던스 측정 및 캘리브레이션 임피던스...2025.05.11 · 공학/기술
-
실험 9. CE 회로의 특성 실험1. CE 회로의 특성 실험을 통해 CE 회로의 IB와 Ic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해 β(dc)를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BJT의 특성 곡선을 구하고 β(dc)와 α(dc)의 관계식을 이해하고 유도할 수 있었다. 2. 공통 이미터 회로 공통 이미터 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가 입력과 출력에서 공통 단자로 사용된다. 이 회로...2025.05.11 · 공학/기술
-
[기계공학]광학실험 결과보고서1. 분광 실험 실험을 통해 LED 광원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회절 격자의 특성에 따른 스펙트럼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미지 물질의 흡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회절 격자의 격자 간격이 클수록 더 많은 차수의 스펙트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에리트로신과 같은 식용 색소의 흡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물질의 색상 특성을 이해할 ...2025.01.17 · 공학/기술
-
[A+ 보장] LED의 특성 분석1. LED의 전류-전압 특성 LED의 전류-전압 특성 그래프를 통해 소자별 문턱전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을수록 문턱전압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전류-전압의 log scale 그래프에서는 쇼클리 방정식을 통해 1차 함수로 근사되지만, 실제 실험 그래프에서는 1차 함수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2. LED의 광출력-전류 특성...2025.05.11 · 공학/기술
-
LED 및 레이저 광통신 실험: LED 스펙트럼 분석1. 발광소자(LED) 원리 발광소자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방사되는 빛과 밴드갭 에너지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백색 LED가 여러 색상의 LED를 조합하여 백색으로 보이는 원리를 학습한다. 순방향 전압 인가를 통해 LED의 극성을 확인하고, 각 색상(적색, 녹색, 청색, 백색) LED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2. 스펙트럼 분석 및 측정 Thorlabs O...2025.11.15 · 공학/기술
-
[A+ 보장] LED의 특성 분석 6페이지
I - 실험 결과1) LED의 전류-전압 특성그래프 1그래프 22) LED의 광출력-전류 특성그래프 3그래프 4II - 분석 및 토의1. 결과 분석전류와 전압의 linear scale에서의 그래프는 소자별 문턱전압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을수록 문턱전압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전류 전압의 log scale에서의 그래프는 쇼클리 방정식을 통해서 일차함수로 근사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 실험 그래프 상에서는 1차 함수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인가 전류 대비 출력 전류의 그래프에서는 일반적으로 ...2023.07.10· 6페이지 -
[A+ 보장] LED와 LD의 특성 비교 및 분석 5페이지
I - 실험 결과1. LD의 실험 결과2. LED의 실험 결과1) 405nm2) 555nm3) 630nm4) whiteII - 분석 및 토의1. 결과 분석가. LD의 실험 결과 분석결과를 통해서 LD 소자의 스펙트럼은 LED와는 다르게 빛 방출 스펙트럼이 연속적이지 않고 선택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LD소자는 LED소자와는 다르게 공진기를 가지고 있다. 공진기는 PN접합에서 활성층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전기 신호로도 밀도반전을 만들어내 LD소자가 많은 양의 빛을 방출할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유도방출로 ...2023.07.10· 5페이지 -
[A+ 보장] LED의 소신호 모델 분석 및 특성 5페이지
I - 실험 결과가. Spectroscopy 측정 결과구분0.02(mA)0.2(mA)Re(Z)Im(Z)구분2(mA)20(mA)Re(Z)Im(Z)나. SpectroScope 측정 결과를 통한 C-I그래프다. C-V그래프1kHz5kHz10kHz50kHz100kHz500kHz1MHzxII - 분석 및 토의가. 임피던스 측정에서 캘리브레이션을 여러번 하는 이유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스펙트로스코피의 실험은 빛의 파장에 따라 진폭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파장이나 진폭은 다른 물질이나 요소들에의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임피던스는 전기회로에서 진...2023.07.10· 5페이지 -
Zener diode와 LED 12페이지
실험8. Diode 특성, Zener diode와 LED1. Diode의 저항1.1 DMM을 저항모드로 하고 diode의 은색 띠가 있는 부분을 DMM의 빨간 단자에 연결하여 측정 범위를 최대로 하고 저항을 측정한다. (단, DMM 측정모드를 Auto가 아닌 수동으로 한다. 소숫점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측정 범위를 변화 시키면서) 저항 측정을 반복한다.)1.2 측정값을 표 1에 기록한다.측정 횟수12345측정 범위~100M OMEGA ~10M OMEGA ~1M OMEGA ~100k OMEGA ~10k OMEGA방향 1OL..OLO....2021.04.06· 12페이지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13. 발전기 원리 실험 8페이지
설계실습 13. 발전기 원리 실험요약 : 본 실험은 코일을 이용하여 코일 내부의 자속 변화에 따라 생기는 전압 파형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RL회로를 이용하여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Oscilloscope를 통해 Time constanttau `=` {L} over {R}임을 이용하여 L을 구했다. 그 결과 L = 116.688 [mH]이다. 다음으로 자석을 떨어뜨릴 때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자속의 변화율을 구해 보았다. 최대전압과 최소전압 값을 이용하여 자속의 변화율 :-3.120`[V] L...2023.08.18·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