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보호장치(SPD)의 설계 및 적용 기준
본 내용은
"
서지보호장치(SPD)의 설계 및 적용 기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뇌서지 보호 시스템의 기본구성SPD는 피뢰시스템의 등전위본딩 중 하나의 수단으로 볼 수 있다.
-
2. SPD 설치여부 및 등급선정KS C IEC 62305-4에 따라 구조물의 피뢰 보호구역을 구분하고 그 경계부분에는 KECG-9102에 적합한 SPD를 설치한다. LPZ 0 ▶ 1 위치 = 1등급 SPD 선정, LPZ 1 ▶ 2 위치 = 2등급 SPD 선정, LPZ 2 ▶ 3 위치 = 3등급 SPD 선정.
-
3. 최대 연속사용전압(Uc) 선정Uc는 설치 위치의 전압과 접지계통에 따라 Uo x 1.1배~최대 선간 전압 이상을 요구한다. SPD 제조사는 통상 계통과도 전압 1.32배와 전압 변동률 1.1배를 고려한다.
-
4. 전압보호레벨(Up) 선정SPD의 보호대상은 전기통신 장비이므로 어떤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해당 보호대상 장비들의 임펄스 내구성 이하로 서지전압을 억제시켜야 한다. Up L-PE ≤ 2.5 kV.
-
5. SPD 외부분리기의 선정SPD 외부 분리기는 정격전류가 없고, 개폐기의 일종으로 차단용량 정격이 있으며, SPD의 서지전류 방전 시 그 흐름의 경로가 되므로 후단에 설치되는 SPD와 동등 이상의 서지전류에 대한 내성이 필요하다.
-
1. 뇌서지 보호 시스템의 기본구성뇌서지 보호 시스템의 기본구성은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과도전압으로부터 전기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시스템은 주로 서지 흡수 소자, 서지 차단기, 접지 시스템 등으로 구성됩니다. 서지 흡수 소자는 과도전압을 흡수하여 기기를 보호하고, 서지 차단기는 과도전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접지 시스템은 서지 전류를 안전하게 방전시키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전기기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선정과 설치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
2. SPD 설치여부 및 등급선정SPD(서지 보호 장치)의 설치 여부와 등급 선정은 전력계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SPD 설치 여부는 전력계통의 과도전압 발생 가능성, 전기기기의 내전압 특성, 전력계통의 중요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SPD 등급 선정 시에는 계통의 최대 연속사용전압(Uc), 전압보호레벨(Up), 최대 서지 전류(Imax) 등의 요소를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SPD를 선정하여 전기기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SPD의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최대 연속사용전압(Uc) 선정최대 연속사용전압(Uc)은 SPD 선정 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Uc는 SPD가 지속적으로 견딜 수 있는 최대 전압 수준을 의미합니다. Uc 선정 시에는 계통의 정격전압, 전압변동 범위, 과도전압 특성 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합니다. Uc가 너무 낮으면 SPD가 과도한 전압에 노출되어 파괴될 수 있고, 너무 높으면 SPD의 보호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통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Uc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SPD의 신뢰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4. 전압보호레벨(Up) 선정전압보호레벨(Up)은 SPD가 전기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최대 전압 수준을 의미합니다. Up 선정 시에는 전기기기의 내전압 특성, 계통의 과도전압 특성, SPD의 성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Up이 너무 높으면 전기기기가 과도한 전압에 노출될 수 있고, 너무 낮으면 SPD가 과도한 전압을 흡수하여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기기와 계통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적절한 Up을 선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전기기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
5. SPD 외부분리기의 선정SPD 외부분리기는 SPD 고장 시 계통으로부터 SPD를 분리하여 계통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외부분리기 선정 시에는 SPD의 최대 단락 전류, 계통의 단락 전류 특성, 분리기의 차단 용량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외부분리기가 적절하게 선정되지 않으면 SPD 고장 시 계통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계통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적절한 외부분리기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SPD 고장 시에도 계통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내선규정,전기설비 판단기준) 18페이지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전기설비판단기준,내선규정)1. 전기설비판단기준 제18조 7항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공용하는 통합접지(국부접지계통의 상호접속으로 구성되는 그 국부접지계통의 근접구역에서는 위험한 접촉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등가 접지계통)공사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8조 6항의 규정에 따르며, 낙뢰 등에의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 등을 보호하기 위해 KS C IEC 60364-5-53-534에 따라 서지보호장치(SPD)를 설치하여야 한다.* 참조 : 전기설비판단기준 제18...2010.10.27· 18페이지 -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주변기기 11페이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주변기기1. 바이패스 및 역류방지 소자1) 바이패스 소자태양전지 모듈의 일부 셀이 나뭇잎, 새 배설물 등으로 그늘(음영)이 발생하면 그 부분의 셀은 전기를 생산하지 못하고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이 때 그늘진 셀에는 직렬로 접속된 다른 셀들의 회로(string)의 모든 전압이 인가되어 그늘진 셀은 발열하게 된다. 이 발열된 부분을 핫스팟(Hotspot)이라고 하며, 셀이 고온이 되면 셀과 그 주변의 충진재(EVA)가 변색되고 뒷면 커버의 팽창, 음영 셀의 파손을 일으킬 수 있다.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 저항이...2015.06.13· 11페이지 -
우리나라 낙뢰현황과 보호협조 및 spd 선정방법 35페이지
SPD 선정방법 개 요 우리나라 낙뢰발생 현황 낙뢰보호 시스템 SPD 선정방법 실무 및 설치사례 목 차 2011. 07. 18 전력본부 ) 수배전 기술팀 이제우1. 개 요1. 개 요 1 번개의 발생 뇌우의 형태 구름 사이에서의 번개 대기중의 수분이 상층부로 올라가 냉각되어 빙결체로 되면서 구름을 형성 , 뇌운의 경우는 규모가 크고 강력한 상승기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형성된다 . 큰 물분자는 마찰로 (-) 전하로 대전 , 중력으로 구름의 하부에 위치 , 작은 물분자는 (+) 전하로 상부에 위치한다 . 구름 내부에서 또는 구름과 땅...2011.07.26· 35페이지 -
수.변전설비 10페이지
수.변전설비1. 개요산업발전은 전기에너지를 기반으로 발전하였으며 전력수요의 급증은 전기설비의 대용량화, 다기능화, 복합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력사용 고객의입장에서는 양질의 전력서비스를 받기 원하고, 전기설비의 유지보수 관리측면은 편리성과 안정성, 소형화를 추구하면서, 에너지의 합리적 사용을 위한 전기에너지의 저손실 대책과 무인 원방 관리시스템의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수배전반 업계에도 전기산업의 기술 고도화 및표준화가 진전되어 기존의 일반 수.배전반 즉 큐비클형, 프레임형, H변대형등에서 고.저압반을 일체화...2011.12.06·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