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큐의 경제학 9판 13장 응용문제 풀이
본 내용은
"
맨큐의 경제학 9판 13장 응용문제 풀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생산비용13장 1번 A 기회비용, 13장 1번 B 평균총비용, 13장 1번 C 고정비용, 13장 1번 D 가변비용, 13장 1번 E 총비용, 13장 1번 F 한계비용
-
2. 기회비용13장 2번 A 기회비용은 어떤 것을 얻기 위해 포기해야 하는 차선의 대안에서 얻을 수 있는 편익이다. 13장 2번 B 부적 판매점을 운영하는 데 따르는 기회비용은 임대료와 상품 구매자금 35만 달러, 흡혈쥐 사 냥꾼으로 일했을 경우 벌 수 있었던 8만 달러를 합하여 총 43만 달러다. 13장 2번 C $400,000 - $350,000 = $50,000 13장 2번 D 총기회비용 43만 달러가 수입 40만 달러를 초과하므로 부적 판매점을 운영하지 않는 것이 좋 다.
-
3. 한계생산물13장 3번 A 조업시간 0 1 2 3 4 5 어획량 0 10 18 24 28 30 한계생산물 10 8 6 4 2 13장 3번 B 조업시간이 증가할수록 한계생산물이 감소하므로 생산곡선은 평평해진다. 13장 3번 C 고기를 더 많이 잡기 위해서는 조업시간을 늘려야 하므로 총비용곡선은 플러스 기울기를 갖는 다. 조업 시간이 증가할수록 한계생산물은 체감은 감소하기 때문에 곡선은 아래로 볼록하다.
-
4. 평균총비용13장 4번 A 한계생산량이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한계생산물 체감현상에 따라 감소한다. 근로자 수 0 1 2 3 4 5 6 7 산출량 0 20 50 90 120 140 150 155 한계생산물 20 30 40 30 20 10 5 총비용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평균총비용 $15.00 8.00 5.56 5.00 5.00 5.33 5.81 한계비용 $5.00 3.33 2.50 3.33 5.00 10.00 20.00 13장 4번 B 13장 4번 A 표를 참조 13장 4번 C 총비용은 고정비용인 $200와 가변비용의 합이다. 평균총비용은 총비용 / 산출량이다. 평균총비용 곡선은 U자형이다. 산출량이 작을 때는 평균총비용이 감소다가 산출량이 계속 증가하면 평균총비용도 증가한다.
-
5. 한계비용13장 4번 D 한계비용 곡선도 일반적인 U자형이다. 한계생산물 체감현상에 따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13장 4번 E 한계생산물이 증가할 때는 한계비용이 감소한다. 한계생산물이 감소할 때는 한계비용이 증가 한다. 13장 4번 F 한계비용이 평균총비용보다 작을 때 평균총비용은 감소한다. 한계비용이 평균총비용보다 클 때 평균총비용은 증가한다. 한계비용과 평균총비용은 평균총비용이 최소화되는 산출량에서 일 치한다.
-
6. 한계비용 계산13장 5번 600개를 생산하면 총비용은 600 × $300 = 18만 달러다. 601개를 생산하는 총비용은 18만 901달러다. 따라서 601번째 산출물의 한계비용은 901달러이므로 601번째 산출물을 550달러에 팔 경우 손실이 발생하므로 요청을 거부한다.
-
7. 고정비용과 가변비용13장 6번 A 고정비용은 산출량이 0일 때의 총비용으로 $300이다. 13장 6번 B Q(산출량) 0 1 2 3 4 5 6 TC(총비용) $300 350 390 420 450 490 540 VC(가변비용) $0 50 90 120 150 190 240 MC(한계비용) 50 40 30 30 40 50
-
8. 평균고정비용, 평균가변비용, 평균총비용13장 7번 각 산출량 수준에서 평균고정비용(AFC), 평균가변비용(AVC), 평균총비용(ATC)을 나타낸 표이다. 효율적 생산량은 평균총비용이 최소가 되는 4다. Q 0 1 2 3 4 5 6 7 VC $0 10 20 40 80 160 320 640 FC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TC $200 210 220 240 280 360 520 840 AFC $200 100 66.7 50 40 33.3 28.6 AVC $10 10 13.3 20 32 53.3 91.4 ATC $210 110 80 70 72 86.7 120
-
9. 세금 부과와 비용 변화13장 8번 A 세금 $300를 부과하면 고정비용이 증가한다. 즉 평균고정비용과 평균총비용이 영향을 받는다. 13장 8번 B 가변비용이 증가하므로 평균가변비용, 평균총비용, 한계비용이 증가한다. 평균고정비용은 변화 가 없다.
-
10. 규모의 경제와 불경제13장 10번 A기업은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총비용이 감소하므로 규모의 경제가 있다. B기업은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총비용이 증가하므로 규모의 불경제가 있다. C기업은 산출량이 1~3일 때는 규모의 경제가 있고, 그 이상이면 규모의 불경제가 있다.
-
1. 생산비용생산비용은 기업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지출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는 원재료 구입비, 인건비, 시설 운영비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됩니다. 생산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기업의 수익성 향상과 가격 경쟁력 확보에 매우 중요합니다. 생산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생산 공정 개선, 자동화 도입, 규모의 경제 실현 등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기업의 지속적인 혁신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2. 기회비용기회비용은 특정한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음 가장 좋은 대안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자원이 희소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기회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의사결정을 하면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이나 개인이 의사결정을 할 때는 반드시 기회비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3. 한계생산물한계생산물은 생산 요소 투입량을 1단위 늘릴 때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산출량의 증가분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산 과정에서 투입 요소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한계생산물이 감소하는 것은 생산 요소의 한계생산성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기업은 한계생산물을 고려하여 생산 요소의 투입량을 최적화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4. 평균총비용평균총비용은 총비용을 총 산출량으로 나눈 값으로, 한 단위의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드는 평균적인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 분석과 가격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평균총비용이 낮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지며, 가격 경쟁력도 향상됩니다. 따라서 기업은 생산 공정 개선, 규모의 경제 실현 등을 통해 평균총비용을 지속적으로 낮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더 저렴한 가격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5. 한계비용한계비용은 생산량을 1단위 늘리는 데 드는 추가적인 비용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산 과정에서 투입 요소의 생산성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한계비용이 증가하는 것은 생산 요소의 한계생산성이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기업은 한계비용을 고려하여 생산 요소의 투입량을 최적화함으로써 비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6. 한계비용 계산한계비용 계산은 생산량 증가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총비용 함수를 미분하여 한계비용 함수를 도출해야 합니다. 한계비용 함수를 통해 생산량 변화에 따른 비용 변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생산 계획 수립, 가격 결정, 수익성 분석 등에 활용됩니다. 정확한 한계비용 계산을 위해서는 생산 공정, 투입 요소 가격, 기술 수준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
7. 고정비용과 가변비용고정비용은 생산량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비용이며, 가변비용은 생산량에 비례하여 변동하는 비용입니다. 이 두 가지 비용의 구분은 기업의 의사결정 및 수익성 분석에 매우 중요합니다. 고정비용은 단기적으로 변경하기 어려우므로, 기업은 가변비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의 비중 변화에 따라 기업의 위험 수준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비용 구조를 구축해야 합니다.
-
8. 평균고정비용, 평균가변비용, 평균총비용평균고정비용, 평균가변비용, 평균총비용은 기업의 생산성과 수익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평균고정비용은 고정비용을 총 산출량으로 나눈 값으로, 생산량 증가에 따라 감소합니다. 평균가변비용은 가변비용을 총 산출량으로 나눈 값으로, 생산량 증가에 따라 변동합니다. 평균총비용은 이 두 비용을 합한 값으로, 기업의 전반적인 비용 효율성을 나타냅니다. 기업은 이러한 비용 지표를 분석하여 생산 계획, 가격 결정, 투자 의사결정 등을 수립해야 합니다.
-
9. 세금 부과와 비용 변화세금 부과는 기업의 비용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법인세 인상은 기업의 세후 이윤을 감소시키고, 판매세 인상은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수요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용 변화에 따라 기업은 생산량, 가격, 투자 등 다양한 의사결정을 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부의 세금 정책 변화에 대한 기업의 대응 전략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업은 세금 부과에 따른 비용 변화를 정확히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경영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10. 규모의 경제와 불경제규모의 경제는 생산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생산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정비용 분산, 전문화와 분업 효과, 대량 구매에 따른 할인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반면 규모의 불경제는 생산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당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조직 관리의 복잡성 증가, 자원 조달의 어려움, 시장 포화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 이러한 규모의 경제와 불경제를 고려하여 최적의 생산 규모를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