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문화의 전당의 창작과 제작시스템 제안서
본 내용은
"
서울사이버대학 공연기획과 제작의 기초 레포트 A+받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지역사회와의 소통 부족지역사회나 문화계와의 소통 부족으로 인해 지역주민이 느끼는 복합문화공간의 정체성이 없고, 일상적 휴식 공간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지역작가들과의 교류도 부족한 상황이다.
-
2. 난해한 콘텐츠 생산대중예술보다는 순수예술 위주의 지원으로 인해 관객들이 예술적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고, 대중적인 측면이 취약하다. 관객들은 전당의 공연이나 전시가 매니악하고 아는 사람만 알고 가는 느낌이 든다고 말한다.
-
3. 유사한 프로그램다양한 공연을 열려고 노력하지만, 긴 호흡을 가질만한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지역 주민들의 참여와 교류가 부족하다. 프로그램의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일시적인 SNS 홍보전략으로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
4. 체험형 문화콘텐츠 확장2030세대를 타겟으로 한 전시 연계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관객들이 작품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응집할 수 있는 기록을 남기는 '캡션'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 참여를 높이고자 한다.
-
5. 지역 공동체 공간 대관공간이 필요한 지역 소규모 공동체, 주로 5060세대를 타겟으로 한 지역 공동체(동아리, 동호회) 공간 대관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
6. 퇴근 후 전시회퇴근 이후 문화 향유를 원하는 직장인을 타겟으로 한 '퇴근 후 전시회'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유동적인 운영 시간 변경을 통해 시민 참여율을 확대하고 퇴근 이후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 한다.
-
1. 지역사회와의 소통 부족지역사회와의 소통 부족은 문화예술 기관이 지역민들과 유리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기관이 지역사회의 요구와 관심사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역민들과의 지속적인 대화와 소통을 통해 그들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그램과 콘텐츠를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지역민들이 문화예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문화예술 기관 간의 유대감을 높이고, 지역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난해한 콘텐츠 생산문화예술 기관이 난해한 콘텐츠를 생산하는 것은 일반 대중들의 접근성을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을 위한 콘텐츠도 중요하지만, 일반 대중들이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콘텐츠 개발에도 힘써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중들의 수요와 관심사를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콘텐츠를 기획해야 합니다. 또한 전문가와 일반 대중 간의 소통을 강화하여 서로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 기관이 대중들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
3. 유사한 프로그램문화예술 기관들이 유사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대중들의 선택권을 제한하고, 기관 간 경쟁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의 특성과 강점을 살린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기관 간 협력을 통해 상호보완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대중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중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기관 간 경쟁을 통한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체험형 문화콘텐츠 확장체험형 문화콘텐츠의 확장은 대중들의 문화예술 향유 경험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단순히 관람하는 것에서 벗어나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대중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새로운 형태의 체험형 콘텐츠를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기존의 전통적인 문화예술 형태와 접목하여 대중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 기관이 대중들과 더욱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입니다.
-
5. 지역 공동체 공간 대관지역 공동체 공간의 대관은 문화예술 기관이 지역사회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역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 공동체 단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 특색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와 문화예술 기관 간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지역민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퇴근 후 전시회퇴근 후 전시회는 직장인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좋은 방안입니다. 퇴근 후 여유 시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전시회를 통해 직장인들이 일상에서 벗어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직장인들의 선호와 요구사항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전시회를 기획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 기관이 직장인들과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