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석환자 병동 간호 교육 PPT
본 내용은
"
투석환자 병동 간호 교육 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혈액투석혈액투석은 신장(콩팥)이 혈액 내의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지 못할 때 사용하는 치료법입니다.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면 요독과 과다한 수분이 체내에 축적되어 요독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를 투석막을 통해 체외에서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혈액투석입니다. 일반적으로 병원 내 인공신장실에서 1회당 4시간, 주 3회 시행합니다.
-
2. 혈액투석 전 병동 간호혈액투석 전 병동에서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활력징후 측정(특히 혈압, 산소포화도 중요) 2) 당뇨환자의 경우 BST 확인 3) 의식상태, 식사, 수면 등 전반적인 상태 확인. 또한 혈압약 복용 환자는 투석 후 복용, 혈관수축제 복용 환자는 투석 30분~1시간 전 복용, 당뇨 환자는 BST에 따라 인슐린/당뇨약 조절이 필요합니다.
-
3. 혈액투석 후 병동 간호혈액투석 후 병동에서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활력징후 측정 및 환자 상태 확인(저혈압, 일시적 고혈압 등) 2) AVF 또는 AVG 투석로 환자의 경우 지혈부위 확인 및 관리 3) Perm-cath 투석로 환자의 경우 드레싱 상태 확인 및 관리. 새로 투석혈관 조성술을 받은 환자는 멍, 출혈, 통증, 부종 등을 관찰하고 주치의에게 알려야 합니다.
-
4. 혈관개통술(PTA) 및 Perm-cath 재삽입투석로가 혈전이나 저혈압 등으로 인해 좁아져 막히는 경우 풍선확장술(PTA)을 시행합니다. 또한 Perm-cath가 막혀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재삽입 시술을 합니다. 이 경우에도 멍, 출혈, 통증,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찰하고 주치의에게 알려야 합니다. 투석혈관이나 Perm-cath는 투석 목적 외에는 절대 사용하면 안됩니다.
-
1. 혈액투석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투석 과정과 관리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투석 관련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환자 중심의 돌봄을 제공해야 합니다.
-
2. 혈액투석 전 병동 간호혈액투석 전 병동 간호는 환자의 상태를 사전에 파악하고 준비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 체중, 혈액검사 결과 등을 확인하여 투석 전 상태를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접근로의 상태를 점검하고, 투석 전 처치를 수행하는 등 안전한 투석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투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투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3. 혈액투석 후 병동 간호혈액투석 후 병동 간호는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관리하고, 환자의 안정적인 회복을 돕는 중요한 역할입니다. 간호사는 투석 후 환자의 활력징후, 출혈 여부, 투석 접근로의 상태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후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 근경련, 두통 등의 증상을 관리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환자와 보호자에게 투석 후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퇴원 후에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4. 혈관개통술(PTA) 및 Perm-cath 재삽입혈관개통술(PTA)과 Perm-cath 재삽입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투석 접근로 관리에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간호사는 이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합병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특히 시술 전후 환자의 활력징후, 출혈 여부, 감염 징후 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시술 과정과 관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퇴원 후에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투석 접근로를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석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리더십 이론을 적용하여 실습현장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분석 3페이지
리더십 이론을 적용하여 실습현장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분석질 높은 간호서비스 제공이라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간호 관리자는 리더십을 발휘하여 고객 접점에서 환자를 만나고 있는 간호사의 태도와 행동을 긍정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어야 한다. 리더십은 구성원이 기꺼이 자발적으로 리더를 따르도록 하는 것으로, 조직성과 차이는 종종 리더십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지도자의 리더십은 중요하며 이번 과제를 통해서 한 명의 지도자에게 리더십 이론 중 하나를 적용해보면서 리더십의 중요성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으며, 그 리더십이 현...2022.04.03· 3페이지 -
감염관리실_공급실.병동 멸균물품,소독관련 부착물 PPT 18페이지
감염관리실 bomsoiha 공급실 , 병동 멸균물품 및 소독 관련 부착물 PPT목 차 01 04 02 03 04 05 의료기구 물품 소독 · 멸균 절차 교육세척 · 소독 · 멸균 과정 관리 멸균상태 판정결과에 따른 관리 부적합 멸균물품 회수 및 재멸균 절차 ( 중앙공급실 ) 손 위생 시점 ( 중앙공급실 ) 업무 준수사항 06 ( 중앙공급실 ) 기구 세척시 개인 보호구 착용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 중앙공급실 ) 스팀 멸균 업무 지침 ( 중앙공급실 ) EO 가스 멸균 지침 ( 멸균물품 ) 유효기간 ( ...2024.09.24· 18페이지 -
간호관리학 실습 QI활동 보고서(환자안전 中 낙상위험성, 환자확인) 44페이지
환자 안전 개선 활동을 통한 안전 사고 위험성 감소 H OW T O QI 과목명 : 간호관리학 실습 담당 교수 : 제출일 : 조원 :01 02 03 04 세여자 문제선정 문제분석 목표선정 06 05 전략실행 및 평가 수행전략 07 출처01 세여자 팀빌딩 , AKU( 인공신장센터 ) Artificial Kidney Unit01 세여자 팀빌딩 날짜 활동 2016 년 04 월 04 일 월요일 브레인 스토밍 역할분담 문제선정 자료 수집 2016 년 04 월 05 일 화요일 - 의견제시 및 문제 설정 QI 1~4 단계 작성 PPT 설문지 제...2016.04.20· 44페이지 -
간호관리 QI (PPT 자료) 20페이지
www.themegallery.com QI – 4 조 ( 아브라카다브라 ) 김혜원 ( 자료조사 , 보고서 ) 이진선 ( 자료조사 , 서기 ) 최민지 ( 자료조사 , 보고서 ) 최은영 ( 자료조사 , ppt )www.themegallery.com 목 차 1 활동주제 2 주제선정배경 3 활동일정 4 현황조 사 5 문제분석 6 목표설정 7 개선계획 8 수행평가 9 추후계획www.themegallery.com 1. 활동주제 대상 : 61 병동 입원 환자 수단 : 관찰 , 설문지 주제 : 환자에게 정확한 하루 일정 제공을 통한 환자의 일정 ...2010.09.25·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