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환자 병동 간호 교육 PPT
본 내용은
"
투석환자 병동 간호 교육 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혈액투석
    혈액투석은 신장(콩팥)이 혈액 내의 노폐물과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지 못할 때 사용하는 치료법입니다.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하면 요독과 과다한 수분이 체내에 축적되어 요독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를 투석막을 통해 체외에서 기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혈액투석입니다. 일반적으로 병원 내 인공신장실에서 1회당 4시간, 주 3회 시행합니다.
  • 2. 혈액투석 전 병동 간호
    혈액투석 전 병동에서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활력징후 측정(특히 혈압, 산소포화도 중요) 2) 당뇨환자의 경우 BST 확인 3) 의식상태, 식사, 수면 등 전반적인 상태 확인. 또한 혈압약 복용 환자는 투석 후 복용, 혈관수축제 복용 환자는 투석 30분~1시간 전 복용, 당뇨 환자는 BST에 따라 인슐린/당뇨약 조절이 필요합니다.
  • 3. 혈액투석 후 병동 간호
    혈액투석 후 병동에서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활력징후 측정 및 환자 상태 확인(저혈압, 일시적 고혈압 등) 2) AVF 또는 AVG 투석로 환자의 경우 지혈부위 확인 및 관리 3) Perm-cath 투석로 환자의 경우 드레싱 상태 확인 및 관리. 새로 투석혈관 조성술을 받은 환자는 멍, 출혈, 통증, 부종 등을 관찰하고 주치의에게 알려야 합니다.
  • 4. 혈관개통술(PTA) 및 Perm-cath 재삽입
    투석로가 혈전이나 저혈압 등으로 인해 좁아져 막히는 경우 풍선확장술(PTA)을 시행합니다. 또한 Perm-cath가 막혀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 재삽입 시술을 합니다. 이 경우에도 멍, 출혈, 통증, 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찰하고 주치의에게 알려야 합니다. 투석혈관이나 Perm-cath는 투석 목적 외에는 절대 사용하면 안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혈액투석
    혈액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투석 과정과 관리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여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투석 관련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환자 중심의 돌봄을 제공해야 합니다.
  • 2. 혈액투석 전 병동 간호
    혈액투석 전 병동 간호는 환자의 상태를 사전에 파악하고 준비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 체중, 혈액검사 결과 등을 확인하여 투석 전 상태를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접근로의 상태를 점검하고, 투석 전 처치를 수행하는 등 안전한 투석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간호사는 환자와 보호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투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가 안전하고 편안한 투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3. 혈액투석 후 병동 간호
    혈액투석 후 병동 간호는 투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관리하고, 환자의 안정적인 회복을 돕는 중요한 역할입니다. 간호사는 투석 후 환자의 활력징후, 출혈 여부, 투석 접근로의 상태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후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 근경련, 두통 등의 증상을 관리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환자와 보호자에게 투석 후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퇴원 후에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4. 혈관개통술(PTA) 및 Perm-cath 재삽입
    혈관개통술(PTA)과 Perm-cath 재삽입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투석 접근로 관리에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간호사는 이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합병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특히 시술 전후 환자의 활력징후, 출혈 여부, 감염 징후 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시술 과정과 관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퇴원 후에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투석 접근로를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석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