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성인간호학실습 Rt. Renal Calculi (신결석/신장결석) ER
본 내용은
"
A+ 성인간호학실습 Rt. Renal Calculi (신결석/신장결석) E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6
문서 내 토픽
-
1. 신결석신결석은 소변 안에 들어있는 물질들이 결정을 이루고 침착되어 마치 돌과 같은 형태를 이루어 콩팥 안에 생김으로써 여러 가지 증상과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신결석은 한가지 뿐 아니라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소로 인하여 형성되며, 요중 침전물, 요의 산도, 억제제와 항억제제, 약물, 요정체, 퓨린대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신결석은 결석의 형태와 관계없이 일반 원칙에 따라 형성되며, 수산칼슘결석, 인산칼슘 결석, 요산 결석, Struvite 결석, Cystine 결석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2. 신결석의 증상과 진단신결석과 요관결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갈비척추각 부위에 예리하고 심한 통증(flank pain)의 갑작스런 발생이다. 이 통증을 콩팥산통(신산통, renal colic) 혹은 요관산통(ureteral colic)이라 한다. 신결석 환자의 95% 에서 혈뇨(hematuria)가 나타나며, 변색되거나 악취가 나는 소변, 오한, 발열, 소변이 자주 마려움, 핍뇨 또는 무뇨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신결석은 KUB와 복부단순 X-선 촬영, 정맥내신우촬영술(IVP), 비조영제 CT, 초음파검사 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
-
3. 신결석의 치료신결석의 치료로는 체외 충격파 쇄석술(ESWL),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 경피적 신쇄석술, 전기수력학적 쇄석술, 결석제거술 등이 있다.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결석을 작게 깨트려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침습적 방법이며,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은 기계적으로 결석을 제거하는 것이다. 경피적 신쇄석술은 피부를 절개하고 내시경을 삽입하여 결석을 제거하는 침습적 방법이며, 전기수력학적 쇄석술은 내시경을 통해 전기적 탐침을 삽입하여 충격파로 결석을 부수는 방법이다. 결석제거술은 요관이나 신장에서 직접 결석을 제거하는 수술적 방법이다.
-
4. 신결석의 간호중재신결석 환자의 간호중재로는 통증 조절,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결석 재발 예방과 관련된 지식 제공 등이 있다.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 투여, 통증 사정, 체위 변경 등을 시행하며,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을 위해 배농관 관리, 수술 부위 관리 등을 한다. 결석 재발 예방을 위해 수분 섭취, 식이 제한, 자가간호 교육 등을 제공한다.
-
1. 신결석신결석은 신장 내에 생성되는 단단한 결정체로, 주로 칼슘, 옥살산, 요산 등의 물질이 결정화되어 형성됩니다. 신결석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10-12%의 인구가 평생 동안 신결석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결석은 통증, 혈뇨, 요로감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결석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2. 신결석의 증상과 진단신결석의 주요 증상으로는 요통, 혈뇨, 요로감염 등이 있습니다. 요통은 신결석이 신장 내에서 움직이거나 요관을 막을 때 발생하며, 심한 경우 구토와 오한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혈뇨는 신결석이 요로 상피를 자극하여 발생하며, 요로감염은 신결석이 요로 폐쇄를 유발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결석의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검사(CT, 초음파 등)와 요검사가 주로 이용됩니다. 영상검사를 통해 신결석의 크기, 위치, 성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요검사를 통해 혈뇨, 감염 등의 동반 증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 신결석의 치료신결석의 치료 방법은 결석의 크기, 위치, 성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작은 결석의 경우 수분 섭취 증가, 약물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체외충격파쇄석술, 내시경적 수술, 개복 수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체외에서 충격파를 가해 결석을 부수는 방법이며, 내시경적 수술은 내시경을 통해 결석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개복 수술은 신장을 절개하여 결석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크기가 크거나 복잡한 결석에 사용됩니다. 치료 후에는 재발 방지를 위해 식이 조절, 약물 치료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신결석의 간호중재신결석 환자의 간호중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첫째, 통증 관리입니다. 신결석으로 인한 요통, 혈뇨 등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진통제 투여, 온열 요법, 마사지 등의 중재가 필요합니다. 둘째, 수분 섭취 증진입니다. 하루 2-3리터 이상의 수분 섭취를 권장하여 요량을 증가시키고 결석 형성을 예방합니다. 셋째, 감염 관리입니다. 요로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위생 관리와 항생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넷째, 식이 관리입니다. 칼슘, 옥살산, 요산 섭취를 제한하고 과일, 채소 섭취를 권장하여 결석 재발을 예방합니다. 다섯째, 치료 계획 수립입니다. 결석 크기, 위치, 성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고 환자 교육을 실시합니다. 이와 같은 간호중재를 통해 신결석 환자의 증상 관리와 재발 예방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