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속사구체신염 사례보고서
본 내용은
"
급속사구체신염 사례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2
문서 내 토픽
-
1. 급속진행사구체신염(RPGN)급속진행사구체신염(RPGN)은 신장에 있는 사구체에 염증이 발생하여 손상을 입게 되는 질병으로, 사구체에서 필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구체신염이 발생하면 우리 몸에 과도한 체액과 노폐물을 제거하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급속진행사구체신염은 빠르게 진행하는 경우로, 신장 조직검사상 사구체에 반월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아 반월상 사구체 신염이라고도 합니다. 원인은 면역성 질환이기 때문에 특별한 위험요인은 없으며, 30%는 면역기전의 관여가 뚜렷하지 않은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45%는 순환성 면역결합체를 발생시키는 질환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혈뇨, 단백뇨, 소변감소증 또는 무뇨와 산독증, 고혈압,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혈청학적 표식자 검사, 신조직검사, 소변검사 등이 시행됩니다. 치료로는 부신피질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항응고제, 혈소판응집억제제, 혈장교환요법, 혈액투석요법, 신장이식 등이 사용됩니다.
-
2. PANCA vasculitisPANCA vasculitis(항-호중구 세포질 항체 혈관염)은 혈관벽의 염증과 이에 따른 조직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중 하나는 병원성 면역복합체가 형성되어 혈관벽에 침착되는 것이며, 그 외에도 혈관 내피세포의 직접 감염, 항혈관 내피세포 항체,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 및 호중구 또는 T세포에 의해 혈관 내피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진단방법으로는 일반 혈액 검사, 신장기능 검사, 항호중구 세포질 항체 검사 등이 있으며, 치료는 스테로이드 제제나 면역 억제제를 사용합니다.
-
3. 위막성장염(PMC)위막성장염(PMC, pseudomembraneous colitis)은 항생제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발열, 복부 경련, 복통, 점액성 설사, 탈수, 구역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진단 방법은 대변검사, 혈액검사를 통한 WBC 증가, 대장내시경, 복부 CT 등이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메트로니다졸, 반코마이신, 피닥소마이신 등의 항생제로 변경하거나 중단합니다.
-
1. 급속진행사구체신염(RPGN)급속진행사구체신염(RAPID PROGRESSIVE GLOMERULONEPHRITIS, RPGN)은 신장 사구체의 염증으로 인해 신기능이 빠르게 악화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원인에 따라 면역복합체 매개성, 항-사구체기저막 항체 매개성, 혼합형 등으로 구분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혈뇨, 단백뇨, 신부전 등이 있으며,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로는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혈장교환술 등이 사용되며, 원인 질환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후는 원인 질환과 치료 반응에 따라 다양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신기능 보존과 생존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2. PANCA vasculitisPANCA (Perinuclear Anti-Neutrophil Cytoplasmic Antibody) 혈관염은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으로 인한 전신성 혈관염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MPO-ANCA와 PR3-ANCA가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현미경성 다발혈관염, 육아종성 다발혈관염 등으로 구분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피로감, 관절통, 피부 병변, 신장 및 폐 침범 등이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면역억제 치료가 중요하며, 스테로이드와 cyclophosphamide, rituximab 등의 약물 치료가 사용됩니다. 예후는 질환의 중증도와 치료 반응에 따라 다양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관해 유도와 재발 방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3. 위막성장염(PMC)위막성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PMC)은 주로 항생제 사용 후 발생하는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에 의한 대장 점막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발열, 탈수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독성 거대결장,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대변 검사나 내시경 검사가 필요하며, 초기에 metronidazole이나 vancomycin 등의 항생제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장내 정상 균총 회복을 위한 프로바이오틱스 투여나 분변이식 등의 치료법도 고려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를 통해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 호전과 완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A+ 급성신부전 케이스,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문헌고찰 37페이지
REPORT- Case conference -주제: Acute renal failure, ARF(급성 신부전)과목명담당교수실습병동제출일학과학년/분반학번, 이름Contents1. 일반정보 ……………………………………………………………………………………………………… p.32. 병력 ……………………………………………………………………………………………………………… p.43. 질병기술 …………………………………………………………………………………………………… p.5~74. 신체검진 …………………………………………………………………………………………………… p....2023.02.17· 37페이지 -
성인간호학 사례보고서 의학적 진단명 End Stage kidney Disease On Dialysis, 신장 이식 수술 케이스 스터디 29페이지
성인간호학 사례보고서의학적 진단명 : End Stage kidney Disease On Dialysis구매해주셔서 감사합니다.환자 정보와 검사 수치들은 제외하였습니다.해당 보고서는 참고만 하시어자신이 작성하는 케이스 스터디에 유의미하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대상자 진단명(Diagnosis)end stage kidney disease on dialysis(투석 중인 말기 신장 질환, ESKD)정의말기 신질환(end stage kidney disease, ESKD)은 말기 신부전을 의미하며, CKD(Chronic Kidney ...2023.11.04· 29페이지 -
아동간호학 세기관지염, 급성중이염 케이스스터디 casestudy 에이쁠 받은 자료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 19페이지
Bronchiolitis, AOM 아동 case study소아청소년 간호과정 사례보고서(영아기~청소년기)입원일2019년11월27일퇴원일2019년11월30일사례연구 시작일2019년11월27일(입원 제1일째)사례연구 종료일2019년11월30일(입원 제4일째)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면담자 : 보호자(엄마)주 양육자 : 보호자(엄마)? 일반적 사항이름 : 김 O성별 : 남생년월일 : 17ㅇㅇㅇㅇ나이 : 7개월주소 : 경기도 남양주시전화번호 : 010-****-****? 과거력출생력· 출생장소 : 병원가정기타( )· 분만형태 :정상제왕...2021.05.04· 19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case study 신장암, ESRD 말기신장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5개 이상 34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2024.11.28· 34페이지 -
[A+보장]여성간호학실습 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7페이지 자료입니다. 20페이지
[A+보장]여성간호학실습자궁경관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A+ 받은 17페이지 자료입니다.목차Ⅰ. 문헌고찰1. 정의2. 원인3. 증상과 진단4. 치료5. 간호Ⅱ. 사례 연구1. 간호력2. LAB3. 진단검사4. 투여약물Ⅲ. 간호과정Ⅳ. 참고문헌Ⅰ. 문헌고찰1. 정의자궁경관 무력증은 자궁경부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인해 임신 2기에 진통이나 자궁수축없이 무통성으로 자궁경부가 개대되어 태와와 그 부속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조기 양막파열로 인한 조산과 습관성 유산을 초래할 수 있다. 임신 2기에 ...2025.01.02·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