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속 '권력' 연출에 사용된 건축적 요소 - 설국열차, The Platform
본 내용은
"
영화 속 '권력' 연출에 사용된 건축적 요소 - 설국열차, The Platform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0
문서 내 토픽
-
1. 설국열차의 건축적 요소설국열차는 수백 칸에 달하는 긴 기차가 빙하기가 끝날 때까지 정해진 레일을 멈추지 않고 달리며 그 안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수평으로 뻗은 공간이 머리칸부터 시작하여 꼬리칸까지, 미세한 차이로 나뉘어 그들의 계급을 구분 짓는다. 앞쪽칸은 호화로운 객실을 뒹구는 선택된 사람들의 공간이지만, 뒤쪽의 꼬리칸은 좁고 더럽다. 이러한 극적인 대비는 기상 이변으로 꽁꽁 얼어붙은 지구의 인류 마지막 생존지역에서도 세상은 결코 평등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또한 감독은 크루즈 '퀸 엘리자벳'의 모습에 영향을 받아 기차칸마다 다른 전문가에게 디자인을 맡겨 독립적인 디테일을 갖도록 했다. 이를 통해 등장인물을 따라 이동할 때마다 새로운 감정의 환기가 불러일으켜진다. 창문의 유무와 조명 등의 차이도 계층 간 위계를 드러낸다.
-
2. The Platform의 건축적 요소The Platform은 333층에 달하는 감옥과도 같은 곳에 층마다 두 명씩을 배치하여, 가장 위층(1층)부터 가장 아래층(333층)까지 플랫폼을 통해 잘 차려진 만찬을 차례로 내려보내는 시스템을 가진다. 위층은 갓 나온 음식을 먹을 수 있는 특권층이고, 아래층은 음식이었던 것이 음식물 쓰레기로 바뀌고, 종국엔 설거지가 필요 없을 정도로 그 음식물 쓰레기들을 깨끗이 비우게 되는 열등층이다. 영화의 스페인어 원제 'El Hoyo(엘 요오)'는 '구멍' 내지는 '구덩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수감 시설의 모든 층을 이어주는 연결고리이자,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더 암흑과도 같은 나락을 뜻한다. 수직적인 층고와 아래로만 향하는 플랫폼은 인물들에게 포기를 학습하게 하고 현재의 탈출엔 체념하게 한다.
-
1. 설국열차의 건축적 요소설국열차는 영화 속에서 인류의 마지막 생존자들이 살아가는 공간으로 등장한다. 이 열차는 극한의 환경에서 인간이 생존할 수 있도록 설계된 건축적 요소들을 잘 보여준다. 먼저, 열차 내부는 밀폐된 공간으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있다. 이를 통해 극한의 추위와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또한 열차 내부에는 다양한 생활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는 열차 안에서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농장, 학교, 병원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어 열차 안에서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이처럼 설국열차는 극한의 환경에서 인간이 생존할 수 있도록 철저히 설계된 건축적 요소들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2. The Platform의 건축적 요소영화 'The Platform'은 수직 구조의 거대한 감옥 시설을 배경으로 한다. 이 시설은 건축적으로 매우 독특한 특징을 보여준다. 먼저, 수직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수많은 층이 존재한다. 각 층은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으로 연결된 플랫폼을 통해 음식이 공급된다. 이러한 구조는 자원의 불평등한 분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상층부에 있는 사람들은 풍족한 음식을 누리지만, 하층부에 있는 사람들은 배고픔에 시달린다. 또한 각 층은 폐쇄적인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직적 구조로 인한 고립감과 단절감을 느끼게 한다. 이처럼 'The Platform'의 건축적 요소는 사회적 불평등과 고립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