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장구간자동개폐기(ASS, AISS)
본 내용은
"
고장구간자동개폐기(ASS, AIS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4
문서 내 토픽
-
1. ASS(Auto Section Switch)와 AISS(Auto Section Switch for Indoor)ASS와 AISS는 고장 자동구간개폐기로, 기능은 같으며 ASS는 옥외용, AISS는 옥내용으로 구분됩니다. 이 장치는 한전측 특고압 선로의 사고전류 또는 수용가의 사고전류가 파급되지 않도록 전선로를 투입 또는 개방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지락사고 시 변전소의 차단기와 배전선로에 설치된 Recolser와 협조하여 고장구간만 신속하고 정확하게 차단/개방함으로써 고장의 확대를 방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2. ASS와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보호협조 기능구내에서 800A 이상의 고장전류가 발생하면 ASS는 개방되지 않고 Lock 상태가 되며, 전력회사 배전선로에 설치된 리크로저(Re-closer)가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차단합니다. ASS는 리크로저의 개방으로 무전압 상태가 되었음을 감지하여 84~104Hz 사이에 개방되어 고장 회로를 분리합니다. 차단된 리크로저는 120Hz 후 다시 재폐로 기능에 의해 재투입되어 타 건전 회로(고객)에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됩니다.
-
3. ASS와 CB의 보호 협조구내에서 800A 이상의 고장전류가 발생하면 ASS는 개방되지 않고 Lock 상태가 되면서 전력회사 변전소의 보호계전기가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변전소 차단기를 차단시킵니다. 이때 ASS는 차단기의 개방으로 무전압 상태가 되었음을 감지하여 3~4Hz 사이에 개방되어 고장 회로를 분리합니다. 차단기는 차단 후 30Hz 이내 재폐로계전기의 동작 명령에 의해 재투입되어 타 건전 회로(고객)에 전원을 공급하게 됩니다.
-
4. 개폐기 본체의 구조와 원리ASS/AISS 개폐기 본체의 주요 구성요소는 주 회로 접속단자, 접지단자, 부싱, 수동투입/개방 고리, 동작 표시기, 동작 계수기, 호흡기 및 유량계, 드레인 밸브, 케이블 인입구, 조상고리, 수동 조작 기구 등입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과부하 보호, 과전류 Lock, 축세 Trip, 돌입전류 억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5. ASS/AISS의 동작 특성ASS/AISS는 내장된 CT를 통해 상전류 정정 값의 110% 이상의 과부하 및 고장전류를 검출하고 기억합니다. 800A 미만의 과부하 및 고장전류 발생 시 즉시 자동으로 개방되며, 900A 이상의 고장전류 발생 시 LOCK 상태가 되고 전원측 보호차단기(변전소차단기 또는 리클로저)가 순시동작하여 선로가 정전될 때 무전압 상태에서 개방됩니다. 상-최소동작전류, 지락-최소동작전류, 돌입전류 억제시간 등의 다양한 설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
1. ASS(Auto Section Switch)와 AISS(Auto Section Switch for Indoor)ASS(Auto Section Switch)와 AISS(Auto Section Switch for Indoor)는 배전선로의 자동 구간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ASS는 야외 환경에 설치되어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격리하고 정상 구간의 공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AISS는 실내 환경에 설치되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실내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다른 설계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장치는 배전계통의 신뢰성과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며, 정전 시간 단축, 고객 만족도 제고, 운영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ASS와 AISS의 지속적인 개발과 보급은 배전계통의 스마트화와 자동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ASS와 배전선로 개폐장치의 보호협조 기능ASS(Auto Section Switch)는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격리하고 정상 구간의 공급을 유지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이를 위해 ASS는 배전선로의 다른 개폐장치들, 예를 들어 차단기(CB), 재폐로기(Recloser), 퓨즈 등과 보호 협조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ASS는 고장 발생 시 신속하게 동작하여 고장 구간을 격리하고, 다른 개폐장치들은 ASS의 동작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정상 구간의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호 협조 기능은 배전계통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ASS와 다른 개폐장치들 간의 보호 협조 기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ASS와 CB의 보호 협조ASS(Auto Section Switch)와 CB(Circuit Breaker)는 배전선로의 고장 보호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입니다. ASS는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격리하고 CB는 고장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이 두 장치 간의 보호 협조는 배전계통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ASS와 CB는 고장 발생 시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고장 구간을 격리하고 정상 구간의 공급을 유지해야 합니다. ASS는 먼저 동작하여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차단하고, CB는 ASS의 동작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정상 구간의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ASS와 CB의 동작 특성, 설정 값, 통신 기능 등이 적절하게 설계되고 협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SS와 CB의 보호 협조 기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배전계통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개폐기 본체의 구조와 원리개폐기는 배전계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로, 그 본체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개폐기 본체는 크게 고정 접점, 가동 접점, 차단기구, 구동기 등으로 구성됩니다. 고정 접점은 배전선로에 고정되어 있고, 가동 접점은 구동기에 의해 개폐 동작을 수행합니다. 차단기구는 고장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구동기는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개폐기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장 발생 시 차단기구가 고장 전류를 감지하여 가동 접점을 분리시킵니다. 이때 아크가 발생하며, 이 아크는 차단기구에 의해 소호됩니다. 구동기는 가동 접점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고장 구간이 격리되고 정상 구간의 공급이 유지됩니다. 개폐기 본체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이해는 개폐기의 성능 향상, 신뢰성 제고, 유지보수 등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개폐기 기술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ASS/AISS의 동작 특성ASS(Auto Section Switch)와 AISS(Auto Section Switch for Indoor)는 배전선로의 자동 구간 개폐 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로, 이들의 동작 특성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ASS와 AISS는 고장 발생 시 신속하게 동작하여 고장 구간을 격리하고 정상 구간의 공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이들은 고장 전류 감지, 개폐 동작 수행, 보호 협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ASS와 AISS의 주요 동작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고장 전류 감지 기능으로 고장 발생 시 신속하게 동작합니다. 둘째, 개폐 동작 수행 기능으로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격리하고 정상 구간의 공급을 유지합니다. 셋째, 보호 협조 기능으로 다른 개폐장치들과 협조하여 선택적으로 동작합니다. 이러한 ASS와 AISS의 동작 특성은 배전계통의 신뢰성과 효율성 향상에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들의 동작 특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