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철 산업현장에서의 체온관리 보건교육
본 내용은
"
A+지역사회 여름철 산업현장에서의 체온관리 보건교육안(계획안,대본 모두 있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7
문서 내 토픽
-
1. 열사병 예방여름철 건설현장에서는 열에 의한 위험이 크다. 열사병은 심각한 상황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열사병의 증상과 위험성, 예방법 등을 교육하여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켜야 한다.
-
2. 체온 관리여름철 건설현장에서는 과도한 땀 배출로 인해 체온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 적절한 휴식, 수분 섭취, 그늘 찾기 등의 방법으로 체온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열사병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
1. 열사병 예방열사병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들이 필요합니다. 첫째, 더운 날씨에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가능한 한 시원한 실내에 머무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둘째, 충분한 수분 섭취와 함께 소금 섭취도 병행해야 합니다. 셋째, 가벼운 옷을 입고 모자와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넷째, 운동이나 작업 시 휴식을 자주 취하고 서늘한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째,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예방 조치들을 통해 열사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
2. 체온 관리체온 관리는 건강한 삶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정상 체온 범위는 36.5°C~37.5°C 정도이며, 이를 벗어나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체온이 높으면 열사병, 감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체온이 낮으면 저체온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온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 적절한 운동,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온 관리를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열사병, 간호정보학, 간호관리학, 온열질환 보고서, 열사병 보고서, 직업병 12페이지
직업간호학열사병Ⅰ. 연구의 필요성1. 근로자 온열질환 현황[출처]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2016년부터 2020년 간 폭염으로 인한 열사병 등 온열질환 산업재해자가 총 156명 발생하고 이 중 26명이 사망했다. 여름철 근로자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고용노동부는 열사병 등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2021년 6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폭염 대비 근로자 건강보호 대책’을 추진한다고 한다.[출처]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고용부 통계에 따르면 여름철 온열질환은 옥외작업 빈도가 높은 건설업에서만 전체의 절반에 ...2024.05.31· 12페이지 -
온열질환 직업병 보고서 8페이지
- 목 차 -Ⅰ. 서론Ⅱ. 본론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우리나라는 과거에 비해 폭염과 열대야 발생 빈도가 상승 경향에 있지만, 최근 10년은 폭염 14.0일, 열대야 9.0일로 발생 빈도가 많이 상승하고 있다. 평균 폭염은 10.1일, 열대야 5.7일 발생하며, 특히 8월(폭염 5.4일/열대야 3.1일)과 7월(폭염 3.9일/열대야 2.4일)에 자주 발생하였고 폭염과 열대야의 상관성은 매우 높으며, 7~8월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폭염의 증가로 인해 온열질환자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질병관리...2022.11.25· 8페이지 -
산업안전교육 (하절기 재해예방) 18페이지
Contents 01 – 폭염의 개요 02 – 폭염이 미치는 영향 03 – 폭염 재해 발생 원인 04 – 건강장해 발생 근로자 응급조치 요령 05 – 열사병 예방을 위한 기본수칙01 폭 염 의 개 요 출처 : 산업안전보건공단 폭염이란 ? 33℃ ① 폭염이란 여름철 불볕더위를 말하며 통상 33℃ 이상 의 고온을 말함 ▶ 기상청 폭염특보 발령기준 폭염주의보 :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상태가 2 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 염 경 보 : 일 최고기온이 35℃ 이상인 상태가 2 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② 폭염에 장...2020.05.01· 18페이지 -
지역사회 - 산업장보건교육학습안 – 저체온증 6페이지
대상주제건설업자 근로자겨울철 저체온증 예방대상건설업자 근로자(100명)장소대강당일시2016년 11월 1일학습주제겨울철 저체온증 예방학습목표1. 저체온증 예방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천법을 설명할 수 있다.2. 저체온증 증상과 응급처치 방법을 이해한다.학습자료유인물 동영상 빔 프로젝터단계학습내용교수-학습활동 내용시간자료 및 유의점도입저체온증 예방의 중요성? 저체온증의 정의를 설명한다.? 저체온증 교육목차에 대해 설명한다.? 근로자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5강의(질의)전개저체온증 증상 단계 및 응급처치저체온증 이란?? 저체...2017.02.16· 6페이지 -
산업구강보건증진학 자료, 이상기압, 고온과 저온, 방사선 28페이지
산업 구강보건증진학이상기압, 고온과 저온, 방사선이상기압저기압 환경고지대 항공우주환경 여객기의 객실가압 제트 여객기의 보건학적문제 저기압에서의 건강장애 저산소증(Hypoxia) 급성고산병 만성 고산병고기압 환경수중환경에서의 작업 잠함작업 잠수작업 고기압에 의한 건강장애 질소마취현상 중추신경계 산소독성급격한 기압변동에 의한 건강장애압착증(squeeze, barotrauma) 폐과팽창증후군(pulmonary overinflation syndrome) 동맥혈기체색전증(arterial gas embolism) 감압병(decompressio...2018.12.21· 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