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쉬운 CRRT 뽀개기
본 내용은
"
세상 쉬운 CRRT 뽀개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4
문서 내 토픽
  • 1. 신장의 기능
    신장은 수분과 전해질 균형, 체액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단백질 분해산물인 요소와 요산, 헤모글로빈 분해산물, 각종 대사 물질을 배설하며, 폐와 함께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고, 레닌(혈압 조절)과 적혈구형성인자를 합성 및 분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신장의 여과, 재흡수, 분비 과정
    신장의 여과 과정에서는 small 사이즈의 분자들(glucose, small proteins, creatinine, urea, phosphate, uric acid 등)이 사구체에서 보우먼 주머니로 여과됩니다. 재흡수 과정에서는 여과된 분자 중 인체에 필요한 분자들(bicarbonate, phosphate, calcium, protein 등)이 세뇨관에서 모세혈관으로 재흡수됩니다. 분비 과정에서는 아직 혈액에 남아있는 노폐물들(uric acid 등)이 모세혈관에서 세뇨관으로 내보내집니다.
  • 3. 신장 기능 관련 검사
    BUN은 여러 장기에 영향을 받지만, creatinine은 근육에서 생성되어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근육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creatinine이 BUN보다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데 더 정확한 지표가 됩니다. 근육 손상 시 일시적으로 creatinine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장의 기능
    신장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장의 주요 기능은 혈액 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걸러내어 배출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체내 전해질 균형과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고, 혈압 조절, 적혈구 생성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또한 비타민 D 활성화, 칼슘 및 인 대사 조절 등의 내분비 기능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신장은 우리 몸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신장의 여과, 재흡수, 분비 과정
    신장의 여과, 재흡수, 분비 과정은 매우 복잡하지만 중요한 기능입니다. 사구체에서 여과된 1차 소변은 세뇨관을 통해 재흡수와 분비 과정을 거치면서 최종적인 오줌이 됩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물질은 재흡수되고, 불필요한 물질은 분비되어 배출됩니다. 이를 통해 체내 전해질 균형, 산-염기 균형, 혈압 조절 등이 이루어집니다. 신장의 이러한 기능 장애는 다양한 신장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신장 기능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3. 신장 기능 관련 검사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검사로는 혈액 검사를 통한 BUN, 크레아티닌 수치 확인, 소변 검사를 통한 단백뇨 및 혈뇨 확인, 사구체 여과율(GFR) 측정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초음파, CT, MRI 등의 영상 검사를 통해 신장의 구조와 크기, 형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장 기능 저하 여부와 그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신장 기능 검사는 신장 질환의 조기 발견과 관리에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