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중첩증 팜플렛
본 내용은
"
A+, 아동간호학, 장중첩증 팜플렛, 장중첩증, 팜플렛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3
문서 내 토픽
-
1. 장중첩증장중첩증은 장관의 일부가 장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으로, 대부분 확실한 원인을 알기 어렵습니다. 만 2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며, 80%가 생후 6개월에서부터 2세 사이의 소아에서 발생합니다. 여아보다 남아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가을과 겨울, 환절기에 호발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건강하거나 살이 찐 영유아에게도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예후가 매우 좋으며, 수술적 치료 없이 공기나 조영제를 이용한 시술로 90% 정도 돌려놓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복술 후 재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
2. 장중첩증 증상장중첩증의 주요 증상은 간헐적인 복통, 점액성 혈변, 녹색 담즙성 구토 등입니다. 10~15분 간격으로 통증이 일어나고 칭얼거림과 자지러지게 우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또한 우측 상복부에 소시지 모양의 덩어리가 촉진되며, 탈수 및 쇼크와 유사한 기면 상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3. 장중첩증 치료장중첩증의 치료는 크게 공기 및 조영 정복술과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공기 및 조영 정복술은 비외과적인 시술로 최선의 치료방법이며, 48시간 이내 시행할 경우 75~90%의 성공률을 보입니다. 그러나 정복술 후 재발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도수 정복술과 장 절제술은 공기 및 조영 정복술이 실패하거나 장이 많이 상한 경우에 시행하는 수술적 치료입니다.
-
4. 장중첩증 예방 및 관리장중첩증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예방이 어렵지만, 증상을 빨리 알아차려 24시간 이내 신속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퇴원 후에는 영양 섭취, 배변 관리 등 가정 관리가 필요합니다. 비타민 K와 U가 풍부한 식품 섭취, 저지방식이와 저섬유소식이, 부드러운 음식 섭취, 따뜻한 복부 유지 등이 도움이 됩니다.
-
1. 장중첩증장중첩증은 장관 내에서 한 부분이 다른 부분 안으로 들어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장 조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주로 영유아와 어린 아동에게 발생하며,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바이러스 감염, 림프조직 증식, 장 내 종양 등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복통, 구토, 혈변 등이 나타나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비수술적 정복술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장중첩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2. 장중첩증 증상장중첩증의 주요 증상은 갑작스러운 복통, 구토, 혈변 등입니다. 복통은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심해질 수 있습니다. 구토는 위액이나 담즙이 섞인 경우가 많습니다. 혈변은 장 점막이 손상되어 발생하며, 초기에는 소량이지만 점점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창백, 탈수, 체온 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장 괴사,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
3. 장중첩증 치료장중첩증의 치료는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초기에는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도하는데, 공기 또는 수액을 이용해 장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 방법으로 대부분의 경우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복술이 실패하거나 장 괴사, 천공 등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에는 장 절제술, 장 봉합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합니다. 수술 후에는 장 기능 회복을 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장중첩증 치료에는 전문의의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4. 장중첩증 예방 및 관리장중첩증은 영유아와 어린 아동에게 주로 발생하므로, 이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영유아의 규칙적인 예방접종, 균형 잡힌 식단, 충분한 휴식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장중첩증의 위험 요인인 장 내 종양이나 림프조직 증식 등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중첩증은 적절한 관리와 치료로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지만, 합병증 발생 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예방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