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1차, 2차 토론합본
본 내용은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1차, 2차 토론합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2
문서 내 토픽
-
1. '은/는'의 문법적 역할'은/는'은 보조사로서 주제를 나타내거나 선행한 주어나 목적어를 강조, 대조하여 주격, 목적격 조사의 역할을 대신한다. '은/는'을 사용하면 '이/가'나 '을/를'을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는데, 이는 '은/는'이 주격, 목적격 조사의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이다.
-
2. 한국인의 잘못된 높임법 사용한국인이 잘못 사용하는 대표적인 높임법 표현은 '주문하신 음식 나오셨습니다.'와 같이 주체 높임을 하는 상황에서 간접 존대를 잘못 적용한 경우이다. 이는 1990년대 이후 고객만족을 중시하는 기업들의 전략에서 시작되었으며, 제대로 된 높임법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회 전반적으로 이러한 어색한 표현이 수용되고 사용되고 있다.
-
1. '은/는'의 문법적 역할'은/는'은 한국어 문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은/는'은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로, 문장에서 어떤 대상이 주된 초점이 되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대조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철수는 왔지만 영희는 오지 않았다'에서 '철수'와 '영희'를 대조하고 있습니다. '은/는'은 문장의 정보 구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의 의미와 화용적 기능을 결정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은/는'의 사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2. 한국인의 잘못된 높임법 사용한국 사회에서 높임법 사용의 문제는 오랫동안 지적되어 왔습니다. 많은 한국인들이 상황과 맥락에 맞지 않는 높임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친구나 동료에게 지나치게 높임말을 사용하거나, 윗사람에게 부적절한 반말을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이는 한국 문화의 위계적 특성과 관련이 있지만, 최근 사회가 변화하면서 이러한 관행이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높임법 사용의 적절성을 판단하고 상황에 맞는 언어 예절을 갖추는 것은 중요한 의사소통 능력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