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성질환 치료의 지속성 및 예후 불확실성과 관련된 무력감 (간호과정 A+)
본 내용은
"
만성질환 치료의 지속성 및 예후 불확실성과 관련된 무력감 (간호과정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8
문서 내 토픽
-
1. 만성질환 치료의 지속성 및 예후 불확실성대상자는 ovarian cancer와 liver matastasis로 인한 신체적인 증상과 힘들고 긴 장기치료 과정은 대상자의 일상 활동에 제약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대상자의 무력감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우울증 역시 대상자의 무력감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 역할을 고려할 때, 대상자의 무력감은 질병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
2. 무력감대상자는 우울하고 무기력하여 활동을 하지 않고 소통하고 싶어 하지 않은 상태이며, 식욕저하, 지속적인 수면을 취하려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대상자의 의사결정능력이 현재 상태에서 제한되고 약화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대상자는 우울증과 무기력으로 인해 적극적인 활동과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치료 과정이나 의사결정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3. 의사결정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전반적인 부분은 이해하고 있으나, 예후, 치료계획에 대해서 정확히 알지 못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담당 간호사 선생님께 말씀드려 주치의 선생님과 면담 계획을 잡아 대상자의 치료계획과 절차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
4. 간호중재대상자의 의사결정과 자가관리 참여에 대해 인정하고 자신감을 강화시키는 말을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대상자의 의사결정과 자가관리 참여가 대상자의 건강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강조하고 대상자의 의사결정과 자가관리를 위해 간호사와 실습생은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지원할 것임을 알려드렸습니다.
-
5. 가족 및 지역사회 자원퇴원 후 대상자의 우울증을 관리하기 위하여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안내하였습니다. 센터에서는 대상자와 가족 구성원들에게 심리적인 지원과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
1. 만성질환 치료의 지속성 및 예후 불확실성만성질환 치료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질병의 진행 과정과 치료 효과가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예후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은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환자와 가족에게 충분한 정보와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를 위해 환자 중심의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2. 무력감만성질환 환자와 가족들이 겪는 무력감은 매우 큰 문제입니다. 질병의 진행과 치료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좌절감은 환자와 가족의 정신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진의 적극적인 개입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와 가족의 상황을 이해하고, 그들의 감정을 공감하며,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환자와 가족을 지원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이 겪는 무력감을 해소하고, 질병 관리에 대한 자신감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3. 의사결정만성질환 치료에 있어 의사결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환자와 가족, 의료진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치료 옵션과 예상 결과를 투명하게 공유해야 합니다. 환자와 가족은 자신의 가치관과 선호도를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중재 방안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만족도를 높이고, 치료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4. 간호중재만성질환 환자의 치료와 관리에 있어 간호중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간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의 개별적인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맞춤형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게 질병 관리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여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나아가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여 환자와 가족을 지원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간호중재를 통해 만성질환 환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5. 가족 및 지역사회 자원만성질환 환자의 치료와 관리에 있어 가족과 지역사회 자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가족은 환자에게 가장 가까운 지지체계로서, 환자의 일상적인 관리와 돌봄을 제공합니다. 지역사회 자원은 환자와 가족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은 환자와 가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해 주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이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가족과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환자를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만성질환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
A+ 무력감/간호진단/간호과정 6페이지
【A+ 무력감/간호과정/간호진단】NANDA간호진단■ 우울과 관련된 무력감(Powerlessness): 개인의 행동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지각하는 것이며, 현재의 상황이나 직면할 상황에 대하여 통제력을 상실했다고 지각하는 것.간호사정주관적 자료- “왜 사는지를 모르겠어요.”- “몰라요.. 기력도 없고 아무것도 하기가 싫네요.”- “별로 안 하고 싶은데요.”- “에휴.. 늙으니 매사에 무용지물이지.”객관적 자료(1) 진단명 :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2) 무력감 척도(Powerlessness Scale...2023.12.14· 6페이지 -
심각한 질병과 장애가 있는 가족의 탄력성 51페이지
Serious Illness and Disabilities 심각한 질병과 장애가 있는 가족의 탄력성 # 목 차 ◎ Learning the Art of the Possible: Lessons from life 가능한 기술 배우기 : 삶에서 얻은 교훈 ◎ The Illness Experience: A Systemic Perspective 질병 경험 : 체계적인 관점 ◎ Families Coping with Mental Illness 정신 질환에 대처하는 가족 ◎ Helping Families Live Well with Chronic C...2023.01.20· 51페이지 -
HIV 와 AIDS 48페이지
20205402 이수진 HIV AIDS유병률 and 감염경로 치료 소아 HIV 진단 및 임상양상 정의 간호 HIV and AIDSHIV and AIDS 의 정의 HIV and AIDS1. HIV and AIDS 의 정의 출처 : 유튜브 과학쿠기1. HIV and AIDS 의 정의1. HIV and AIDS 의 정의1. HIV and AIDS 의 정의 D eficiency I mmune A cquired S yndrome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1. HIV and AIDS 의 정의 HIV 는 single-stranded, positi...2021.06.09· 48페이지 -
호흡기내과 케이스, 폐암 케이스로 A+받은 자료입니다. 19페이지
< 성인 간호학 실습 - 사례 연구 >호흡기 내과- NSCLC, Adenocarcinoma -과 목 명성인 간호학 실습담당 교수님실습 장소실습 일자제 출 일학 번, 성 명1. 간호력(Nursing history)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3. 진단적 검사(Lab data)4. 투 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5. 항암화학요법(Chemotherapy)6. 간호과정(Nursing process)7. 참고문헌(References)1. 간호력(Nursing his...2019.07.09· 19페이지 -
주요 우울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12페이지
Ⅰ. 문헌고찰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Ⅱ. 간호사정1) 일반적 정보2) 주호소3) 현재의 병력4) 과거력5) 가족력6) 발달력7) 현재 상태Ⅲ. 간호과정#1. 대처능력 부족과 관련된 지속적인 우울감#2. 자신에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3. 과도한 사고와 관련된 수면장애Ⅰ. 문헌고찰주요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우울증은 가장 오래되었으며 현재에도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정신질환중의 하나로써 아주 오래 전부터 우울증의 증상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다. 슬픔이나 ...2019.11.10·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