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필름 원리 및 활용
본 내용은
"
바이오필름 원리 및 활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5
문서 내 토픽
-
1. Quorum sensing 작용기전 및 활용Quorum sensing은 세균 집단 내에서 유전적 발현의 경향성과 기능을 일관되게 만드는 cell-cell communication mechanism이다. 세균이 증식하면서 auto-inducer(AI)가 세포 밀도와 비례하여 축적되다가 임계 농도에 이르게 되면 독특한 신호전달이 일어나면서 세균의 집단적 대사 활성이 조절된다. 이러한 밀도 의존성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통해 세균은 생물 발광, 포자형성, 운동성, 생물막 합성, 병독성 등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Quorum sensing은 그람 양성, 음성균 등 다양한 생명체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 간에도 cell communication이 가능하다. 주요 auto-inducer로는 AHL(N-acyl-homoserine lactone), AI-2, CAI-1, 펩티드류 등이 있다.
-
2. Quorum sensing의 잠재적 응용Quorum sensing은 식품 부패, 병독성, 바이오필름 형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식품 부패 미생물, 호흡기 감염 원인균, 식물병원균 등이 quorum sensing을 통해 유해 작용을 하므로, quorum sensing 저해제를 통해 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필름 형성은 quorum sensing에 의해 조절되므로, quorum sensing 저해를 통해 바이오필름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
-
3. Quorum sensing 저해 메커니즘Quorum sensing을 저해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AHL 수용체에 결합을 억제하거나, AHL을 분해하는 lactonase, acylase 효소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quorum sensing 신호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 능력을 저해하고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자연계에서도 다양한 생물체가 quorum sensing 저해 기작을 가지고 있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
1. Quorum sensing 작용기전 및 활용Quorum sensing은 세균 간 세포-세포 통신 메커니즘으로, 세균 군집이 특정 세포 밀도에 도달하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집단적 행동을 유도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세균은 자신들의 개체수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생리학적 활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Quorum sensing은 병원성 세균의 독소 생산, 바이오필름 형성, 항생제 내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quorum sensing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은 세균 감염 제어, 바이오필름 제거, 신약 개발 등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Quorum sensing의 잠재적 응용Quorum sensing은 다양한 분야에서 잠재적인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병원성 세균의 독소 생산 및 바이오필름 형성을 억제하여 감염 제어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 농업 분야에서 식물 병원성 세균의 감염을 억제하거나 유용 미생물의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셋째, 환경 분야에서 오염물질 분해, 바이오 연료 생산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넷째, 의학 분야에서 새로운 항균 치료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quorum sensing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와 활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3. Quorum sensing 저해 메커니즘Quorum sensing 저해는 세균 감염 제어, 바이오필름 제거,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Quorum sensing 저해 메커니즘에는 크게 세 가지 접근법이 있습니다. 첫째, 세균이 생산하는 신호 물질의 합성을 억제하거나 분해하는 방법입니다. 둘째, 세균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 전달을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셋째, 세균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quorum sensing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이러한 quorum sensing 저해 전략은 기존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나노-바이오 기술(나노 바늘, 주사기, 셀 등)> 고등학교 보고서 5페이지
30715 노희애 나노-바이오 기술 나노기술(Nano Technology; NT)은 10억분의 1미터인 나노미터 단위에 근접한 원자, 분자 및 초분자 정도의 작은 크기 단위에서 물질을 합성하고, 조립, 제어하며 혹은 그 성질을 측정, 규명하는 기술을 말한다.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 인지기술 (CT), 에너지, 환경기술(ET) 등 모든 산업 분야에 이론적,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는 원천기술로서, 나노기술의 중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새로운 전염병...2025.04.24· 5페이지 -
표면 개질/표면처리 기술 (Self-assembled monolayer 자기조립막 처리 기술) 리포트 15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FILE:BinData/image1.bmp..FILE:Contents/section0.xml표면 개질/표면처리 기술 (Self-assemble monolyer 처리 기술) 리포트Self-assembled monolayer" (SAM)는 표면처리 및 표면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로, 자기 조립 능력을 가진 분자층을 이용하여 표면을 수정함으...2024.01.03· 15페이지 -
코로나 진단 키트 및 치료제 및 백신 레포트 19페이지
1. 코로나 진단 키트1.1 종류질병관리본부가 가장 먼저 긴급사용승인을 내준 업체는 코젠바이오텍이다. 이 회사가 개발한 키트는 RT-PCR로 코로나19를 진단한다. 기존 검사법(판코로나바이러스검사법)은 환자의 검체에서 찾은 코로나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이미 알려진 코로나바이러스 염기서열과 일일이 대조해 변종 여부를 확인한다. 절차가 복잡하고 검사시간이 24시간 이상 걸린다.RT-PCR은 코로나19에서만 나타나는 특정 유전자를 증폭시켜 더 효율적으로 진단한다. 소요 시간은 6시간 이내다. 지금까지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씨젠, 솔젠트, S...2020.10.27· 19페이지 -
3D프린팅 산업의 현황, 전망, 사례, 직업세계의 변화, 정책방향 및 시사점 22페이지
3D프린팅 산업의 현황, 전망, 사례, 직업세계의 변화, 정책방향 및 시사점Ⅰ. 서론Ⅱ. 본론1. 3D프린팅 정의 및 의의2. 3D프린팅 기술의 원리 및 종류3. 3D프린팅 기술의 발전 및 전망4. 3D프린팅 산업의 현황 및 전망5. 3D프린팅의 활용 분야 및 사례6. 직업세계의 변화7. 정책방향 및 시사점Ⅲ. 결론[참고문헌]키워드 : 4차 산업혁명, 3D프린팅, 3D 프린팅, 3D프린팅 기술, 3D프린팅 산업(소개문)참고문헌에서 보듯이 여러 자료로 짜임새 있게 논리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고요. 제 자료는 제출한 적이 없는 자료이며,...2021.06.20· 22페이지 -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머리카락의 형태 관찰 실험 보고서 5페이지
2020 Daejeon Dongsin Science High School1REVIEWS OF BIOLOGY EXPERIMENT1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모발의 형태 관찰Ⅰ. 이론적 배경1.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의 원리시료에 전자선을 주사하여 시료 표면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기로 검출한 후 그 강도를 브라운관 상에 3차원적인 영상으로써 표시한다. 대상물의 확대 상을 얻어 형태 및 미세구조를 관찰하거나 EXD (Energy Dispersive X-ray) 또는 WDX (Wavele...2020.11.23·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