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이론 과제
본 내용은
"
통신이론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4
문서 내 토픽
  • 1. DSB-SC 변조
    입력 신호를 DSB-SC 변조하여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였다. 캐리어 진폭은 1.0으로 설정하였다. 입력 신호와 변조된 신호의 스펙트럼 차이를 확인하였는데, 대역폭이 2배로 증가한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변조 후 스펙트럼이 약간 줄어든 것은 캐리어 함수의 cos 값이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함수이기 때문이다.
  • 2. Coherent 검파
    변조된 신호를 Coherent 검파기로 복조하였다. Local oscillator의 진폭은 1.0, 위상은 0으로 설정하였다. 복조 후에는 변조 전 소리와 거의 비슷한 소리를 들을 수 있었지만 소리가 조금 작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고주파와 저주파 소리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3. Sin 함수 복조
    Local oscillator를 사인 함수로 하여 복조를 수행하였다. 1.4초 구간에서 관측하였을 때 cos 신호와 달리 원점에 스펙트럼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sin 함수의 주파수 영역 표현에서 fc와 -fc의 gain 값이 서로 부호가 다르기 때문에 두 신호가 원점에서 상쇄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리를 들었을 때 고주파 영역만 나타나므로 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DSB-SC 변조
    DSB-SC(Double Sideband Suppressed Carrier) 변조는 반송파를 완전히 제거하고 양측파만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력 효율이 높고 대역폭 사용이 효율적이며, 간단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반송파가 없어 동기 검파가 필요하고, 수신기 구현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DSB-SC 변조는 주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5G 및 6G 통신 시스템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 Coherent 검파
    Coherent 검파는 수신 신호와 국부 발진기 신호의 위상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검파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비코히어런트 검파에 비해 SNR 성능이 우수하고, 협대역 필터링이 가능하여 간섭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또한 복조 과정에서 위상 정보를 활용할 수 있어 고차 변조 방식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국부 발진기의 위상 동기화를 위한 복잡한 회로가 필요하며, 주파수 오프셋에 민감한 단점이 있습니다. Coherent 검파는 광통신, 위성통신, 레이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고속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3. Sin 함수 복조
    Sin 함수 복조는 Sin 함수를 이용하여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한 구현이 가능하고, 비선형 왜곡에 강한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Sin 함수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복조 과정에서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복조 성능이 SNR에 민감한 단점이 있습니다. Sin 함수 복조는 주로 저속 데이터 전송 및 아날로그 통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IoT 및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고속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른 복조 기법들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