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다 기원생약의 비교 및 고찰
본 내용은
"
한중일 다 기원생약의 비교 및 고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3
문서 내 토픽
  • 1. 감초
    감초는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그 기원을 감초(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광과감초(光果草) Glycyrrhiza glabra Linne 또는 창과감초(張果草) Glycyrrhiza inflata Batal.(콩과 Leguminos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약전(ChP)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은 기원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약전(JP 17)에서는 창과감초를 제외하고 동일하다. 감초, 광과감초, 창과감초는 목부의 배열에 따라 구분된다.
  • 2. 강활
    강활은 산형과(Umbelliferae) 뿌리생약으로서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그 기원을 각각 '강활 Ostericum koreanum Maxim', '중국강활(中國元活) Notopterygium incisum Ting' 또는 '관엽강활(寬葉活) Notopterygium forbesii Boiss'로 구분하고 있다. 강활(羌活)은 아시아의 여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약전(ChP), 일본약국방(JP)에는 N. incisum Ting ex H. T. Chang 또는 N. forbesii Boiss.가 그 기원으로 등재되어 있다.
  • 3. 당귀
    당귀와 일당귀는 산형과(Umbelliferae) 뿌리생약이다. 당귀는 대한민국약전(KP)에, 일당귀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등재된 품목으로, 그 기원을 각각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와 'A. acutiloba Kitagawa 또는 A. acutiloba Kitagawa var. sugiyamae Hikino'로 구분하고 있다. 당귀는 아시아의 여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약전(ChP)에는 A. sinensis(Oliv.) Diels가, 일본약국방(JP)에는 A. acutiloba Kitagawa 및 A. acutiloba Kitagawa var. sugiyamae Hikino가 그 기원으로 등재되어 있다.
  • 4. 당삼
    당삼은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그 기원을 삼 Codonopsis pilosula(Franch.) Nannf., 당삼(素花黨參) Codonopsis pilosula Nannf. var. modesta L.T.Shen 또는 천당삼(川黨參) Codonopsis tangshen Oliver(초과 Campanulaceae)의 뿌리로 한다. 중국에서는 명당삼(明花黨, Changium smyrnioides Wolff)의 뿌리를 명당삼이라 한다. 그러나 중국유통의 명당삼은 산형과에 속한 천당삼의 뿌리로 확인되었다.
  • 5. 방풍
    방풍, 식방풍, 해방풍은 산형과(Umbelliferae) 뿌리생약이다. 방풍과 해방풍은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되어 있는 품목으로, 그 기원이 각각 방풍(Saposhmikovia divaricata Schischkin)과 갯방풍(Glehm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uel)의 뿌리이고, 식방풍은 그 기원이 갯기름나물(Peucedamum japonicum Thunberg)의 뿌리로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등재되어 있다.
  • 6. 백지
    백지는 산형과(Umbeliferae) 뿌리생약으로서 대한민국약전에 구릿대 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f. 또는 항백지 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f. var. formosana Shan et Yuan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백지는 아시아의 여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고, 중화인민공화국약전(ChP)에서도 우리나라와 같은 기원을 사용하고 있으나, 일본의 공정서에는 구릿대(A. dahurica)만을 기원으로 한다.
  • 7. 우슬
    우슬은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쇠무릎 Achyranthes japonica Nakai 또는 우슬(膝) Achyranthes bidentata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를 기원으로 한다. 일본약국방(JP)에는 털쇠무릎 Achyranthes fauriei Leveille et Vaniot 또는 우슬(膝) Achyranthes bidentata Blume를 기원 식물로 선택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약전(ChP)에는 우슬(膝) Achyranthes bidentata Blume를 수재하고 있다.
  • 8. 울금
    울금은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온울금(溫鬱) Curcuma wenyujin Y. H. Chen et C. Ling, 강황(薑) Curcuma longa Linne, 광서(廣莪朮) Curcuma kwangsiensis S. G. Lee et C. F. Liang 또는 (蓬莪朮) Curcuma phaeocaulis Val.(생강과 Zingiberaceae)의 덩이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피를 제거하고 쪄서 것을 그 기원으로 한다.
  • 9. 위령선
    위령선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등재된 품목에 수재된 품목으로, 으아리 Clematis manshurica Ruprecht, 가는잎사위질빵 Clematis hexapetala Pallas 또는 위령선(威靈仙) Clematis chinensis Osbeck(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10. 자근
    자근은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 신강자초(新疆紫草) Arnebia euchroma Johnst. 또는 내몽자초(內蒙紫草) Arnebia guttata Bunge(지치과 Boraginaceae)의 뿌리이다. 중국에서는 지치를 경자초(硬紫草), 신강자초를 연자초(軟紫草)라고 한다.
  • 11. 전호
    전호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등재되어 있는 품목으로, 백화전호(花前胡) Peucedanum praeruptorum Dunn 또는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Franchet et Savatier(=Peucedanum decursivum Maximowicz)(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로 개정되었다. 전호는 아시아의 여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중화인민공화국약전(ChP)에서는 P. praeruptorum Dunn만이 그 기원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P. decursivum(Miq.) Maxim.을 자화전호(紫花前胡, Peucedani Decursivi Radix)라는 품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 12. 진교
    진교는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등재된 품목에 수재된 품목으로, 큰잎용담 Gentiana macrophylla Pallas, 마화진교(麻花秦) Gentiana straminea Maxim., 조경진교(粗莖秦) Gentiana crassicaulis Duthie ex Burk. 또는 소진교(秦) Gentiana dahurica Fisch.(용담과 Gentianaceae)의 뿌리이다.
  • 13. 하수오
    하수오와 백수오는 각각 대한민국약전(KP)과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KHP)에 따로 등재되어 있는 별개의 생약이며 기원 식물종 또한 다르지만 이름과 외형의 유사성 때문에 감별할 필요가 있다. 하수오는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그 기원을 하수오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디풀과 Polygonaceae)의 덩이뿌리로 규정하고 있다.
  • 14. 황기
    황기는 대한민국약전(KP)에 등재된 품목으로,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몽골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var. mongholicus Bunge(콩과 Leguminosae)의 뿌리를 주로 사용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감초
    감초는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는 약재로, 다양한 약리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항염증, 해독, 면역 증강 등의 효과가 있어 많은 한약 처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감초는 다른 약재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다만 장기간 과다 섭취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인 감초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와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강활
    강활은 한방에서 주로 관절염, 요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근골격계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강활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강활은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3. 당귀
    당귀는 한방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재 중 하나로, 여성 질환, 혈액순환 개선, 면역 증강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월경 불순, 빈혈, 갱년기 증상 등 여성 건강 관리에 효과적이며, 혈액 순환 개선을 통해 심혈관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로 인해 면역력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당귀는 전통 한의학에서 매우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4. 당삼
    당삼은 한방에서 주로 관절염, 요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근골격계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당삼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당삼은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5. 방풍
    방풍은 한방에서 두통, 어지러움, 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두통, 관절염 등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방풍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방풍은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6. 백지
    백지는 한방에서 두통, 어지러움, 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두통, 관절염 등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백지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백지는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7. 우슬
    우슬은 한방에서 관절염, 요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근골격계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우슬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우슬은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8. 울금
    울금은 한방에서 주로 피부 질환, 간 기능 개선, 항암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항산화, 간 보호 등의 효과가 있어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울금의 주요 성분인 curcumin은 강력한 항산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울금은 피부 미용 효과도 있어 화장품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울금은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9. 위령선
    위령선은 한방에서 주로 여성 질환, 신경통, 관절염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다양한 질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성 질환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위령선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위령선은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10. 자근
    자근은 한방에서 주로 관절염, 요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근골격계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자근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자근은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11. 전호
    전호는 한방에서 주로 기관지 질환, 천식, 기침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해, 거담 등의 효과가 있어 호흡기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호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전호는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12. 진교
    진교는 한방에서 주로 관절염, 요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근골격계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진교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진교는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13. 하수오
    하수오는 한방에서 주로 관절염, 요통, 신경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염증, 진통, 혈액순환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근골격계 질환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하수오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하수오는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 14. 황기
    황기는 한방에서 면역력 증진, 피로 회복, 당뇨 관리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재입니다. 항산화, 항염증, 혈당 조절 등의 효과가 있어 다양한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황기의 주요 성분인 astragaloside는 면역 기능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황기는 피로 회복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다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황기는 전통 한의학에서 중요한 약재이며, 현대 의학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