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실습 2 사전학습 ER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실습 2 사전학습 E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1
문서 내 토픽
-
1. Emergency Cart전문 심장 구조술에서 약물을 투여하는 목적은 다양하다. 심정지 환자에게는 저산소증을 교정하고 심박조율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약물이 투여된다. 심박조율이 유지되고 있는 환자에게서는 적절한 조식 관류압과 심장 기능을 유지하고 부정맥을 방지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약물을 투여 한다. 때때로 대사성 산증을 교정하고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기 위하여 약물이 투여되기도 한다.
-
2. 응급환자 분류체계대상자가 응급실에 도착하면 부상이나 질병의 정도를 파악하여 치료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환자분류체계는 신속하게 의학적 중재를 받아야 하는 위중한 사람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형 중증도분류체계(KTAS)를 이용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모든 환자를 중증도분류(triage)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분류한다.
-
3. 출혈 및 쇼크 대상자 사정 및 간호상처를 치료하는 목적은 손상된 조직의 기능을 회복하고 감염이나 반흔조직이 없도록 치유하는 것이다. 상처에 대해 기록할 때는 법적인 근거자료가 될수 있도록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고, 필요하면 사진을 찍어둔다. 상처 세척, 지혈, 봉합, 드레싱 등의 응급관리를 시행한다.
-
4. 외상 대상자 사정 및 간호복강 내 손상은 관통상과 둔기손상으로 나눌 수 있다. 복부관통상은 일반적으로 수술이 요구되는 심각한 상태이며, 둔기손상은 복부 외에 가슴, 머리, 사지의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분쇄손상은 사지의 주요 연조직 손상으로 부종, 마비, 괴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다발성 손상 대상자는 신체 모든 부위에 영향을 미치므로 팀 접근이 필요하다.
-
5. 호흡곤란 대상자 사정 및 간호호흡곤란은 호흡하기 힘들고 불편함을 느끼는 자각증상으로, 폐질환과 심장질환에서 흔하게 나타난다. 호흡곤란의 사정 시 기간, 특성, 관련 요인 등을 확인하고, 간호진단으로 비효과적 호흡양상, 가스 교환장애, 활동지속성 장애 등을 내릴 수 있다. 체위 조절, 심호흡, 기도 개방성 유지, 분비물 배출 증진, 산소공급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
6. 급성흉통호소 대상자 사정 및 간호흉통은 심장동맥질환, 심낭염, 대동맥박리증 등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흉통의 시작, 위치, 방사 여부, 지속기간, 통증의 질, 완화·악화요인과 동반되는 증상 등을 사정하여 원인을 규명한다. 활력징후 측정, 가족 참여, 안위 도모, 병력 청취, 신체 사정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
7. 뇌졸중 대상자 사정 및 간호뇌졸중의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경련, 혼수, 발열, 기억력 손상, 정신변화, 시력변화, 일측성 장애, 실어증과 구음장애, 방광손상 등이 있다. 진단검사로는 Brain CT, K-MMSE 등이 있으며, 약물요법, 자세 관리, 연하곤란 관리, 반맹증 관리, 실어증 관리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한다.
-
8. CPR 간호심폐소생술은 기도유지, 호흡, 순환 등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기본심폐소생술과 전문심폐소생술로 구분된다. 심정지 후 통합치료에는 기도확보, 산소화 및 환기 유지, 혈역학적 감시, 체온조절, 혈당 조절 등이 포함된다.
-
9. 감염관리 간호 - 격리대상자 간호감염예방을 위해 손씻기, 장갑 착용, 격리 등의 기본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의료기관에서는 표준주의, 비말주의, 접촉주의, 공기주의 등의 감염관리 지침을 적용하고, 확진자 발생 시 격리, 소독, 개인보호구 착용 등의 조치를 취한다.
-
1. Emergency CartThe emergency cart is a critical component of emergency medical care, as it provides immediate access to essential medical equipment and supplies needed to respond to a wide range of emergency situations. It is designed to be easily maneuverable and accessible, allowing healthcare professionals to quickly retrieve the necessary items to stabilize and treat patients. The contents of the emergency cart should be carefully curated to ensure that it contains the appropriate medications, devices, and tools required for common emergency scenarios, such as cardiac arrest, trauma, respiratory distress, and other life-threatening conditions. Regular maintenance and restocking of the emergency cart are essential to ensure its readiness and effectiveness in emergency situations. Healthcare facilities should have clear protocols and procedures in place for the us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emergency cart to ensure optimal patient care and safety.
-
2. 응급환자 분류체계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가장 위중한 환자들에게 신속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생명징후, 증상, 손상 정도 등을 기준으로 구분되며, 주로 응급, 준응급, 비응급 등의 범주로 나뉩니다. 이 체계는 의료진의 판단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응급실 내원 환자들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출혈 및 쇼크 대상자 사정 및 간호출혈 및 쇼크 대상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과 간호 중재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출혈 부위를 신속히 확인하고 지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동시에 환자의 생명징후, 의식 수준, 피부 상태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쇼크 징후를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액 공급, 산소 투여, 통증 관리 등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출혈 및 쇼크의 원인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태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급실 간호사는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팀워크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4. 외상 대상자 사정 및 간호외상 대상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과 간호 중재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기도, 호흡, 순환 등 생명징후를 신속히 확인하고 필요한 응급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동시에 외상 부위를 면밀히 사정하여 출혈, 골절, 내부 장기 손상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혈, 부목 고정, 수액 공급, 통증 관리 등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외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태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급실 간호사는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팀워크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5. 호흡곤란 대상자 사정 및 간호호흡곤란 대상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과 간호 중재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호흡 양상, 호흡 수, 산소포화도 등을 신속히 확인하고 필요한 응급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동시에 호흡곤란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병력, 증상,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사정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산소 공급, 기도 확보, 약물 투여 등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호흡곤란의 악화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태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급실 간호사는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팀워크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6. 급성흉통호소 대상자 사정 및 간호급성흉통 호소 대상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과 간호 중재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흉통의 특성, 발생 시간, 동반 증상 등을 신속히 파악해야 합니다. 동시에 생명징후, 심전도, 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심장 질환, 폐 질환, 소화기 질환 등의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산소 공급, 통증 관리, 약물 투여 등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흉통의 악화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태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급실 간호사는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팀워크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7. 뇌졸중 대상자 사정 및 간호뇌졸중 대상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과 간호 중재는 생명을 구하고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신경학적 증상, 발병 시간, 생명징후 등을 신속히 파악해야 합니다. 동시에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뇌출혈, 뇌경색 등의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산소 공급, 혈압 관리, 혈전용해제 투여 등의 적절한 간호 중재를 신속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신경학적 증상의 악화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상태 변화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급실 간호사는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팀워크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응급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
8. CPR 간호CPR(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필수적인 응급 처치입니다. 응급실 간호사는 CPR 수행 시 환자의 생명징후를 신속히 사정하고,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적절히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제세동기 사용, 약물 투여 등의 추가 처치를 신속히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급실 간호사는 CPR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팀워크를 바탕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CPR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CPR 후 환자 상태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추가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전문성과 신속한 대응은 CPR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9. 감염관리 간호 - 격리대상자 간호응급실에서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를 간호할 때는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격리 대상 환자의 경우 적절한 격리 조치와 보호 장비 착용, 손 위생 등의 감염 예방 활동이 중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신속한 검사와 치료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응급실 간호사는 감염관리 지침을 숙지하고, 관련 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협력을 통해 감염 예방 및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응급실에서의 철저한 감염관리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안전을 지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
성인간호 ER(응급실) 사전학습 21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Ⅲ- ER 사전학습 -1. Emergency Cart약물명효능/효과부작용Epinephrine1mg기관지 천식 약물로 인한 shock시 심정지시,국소 출혈 방지, 혈관 수축, 기관지 확장, 동공산대 작용빈맥, 부정맥, 고혈압 대사성 산증Atropine0.5mg부교감 신경 차단제,근허혈, 심정지시 사용, 심근의 기능강화,기관지 평활근 이완, 타액분비 억제(op전 사용), 동공 산대 기능호흡마비, 빈맥, 혼수, 구강건조Sodium bicarbonate (Bivon)산증 또는 중탄산나트륨 결핍 치료제대사성 알칼리증 (혼동, 불...2023.05.16· 21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27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ER사전학습 보고서1) Emergency Cart2) 응급환자 분류체계3)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4) 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5)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6) 급성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7)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8) CPR 간호9) 감염관리 간호 - 격리 대상자 간호1) Emergency Cart- 약물약물적응증 / 작용부작용주의사항Norpin Inj.? 각종 질환에 따르는 급성 저혈압 또는 쇽의 보조치료(심근경색·패혈증에 의한 쇽, 아나필락시성쇽, 순환 혈액량 저하에 따르는 급성 저혈압 또는 쇽,...2023.07.19· 27페이지 -
성인간호학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 20페이지
성인간호학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1. emergency cart- emergency cart 약도1단응급약물2단응급약물3단기도삽관튜브, 주사, 채혈4단기도삽관기구, NG tube, 산소투여기구5단Ambu, 흡인- emergency cart 약품 위치1% lidocaineSodium Bicarbonate(Bivon, NaHCO3)cal. gluconate20% D/W20mlVecaronNorpin●Dexametasone ●AdenocorCordarone ●Cortisolu ●염카루주(Ca.chloride)Etomidate ●Atr...2023.03.27· 20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보고서 사전학습과제 응급실 ER 6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사전학습보고서: ER학교교과목명실습지실습기간학번 및 이름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분류정의-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 도구(CTAS,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기반으로 개발-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oriented) 분류하는 도구-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하여 제한된 공간과 자원 안에서 효과적으로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함과정① 첫인상 위험도 평가(Critical first look)② 감염성 질환에...2023.03.17· 6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ER 사전학습 33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ER 사전학습 보고서)1. Emergency Cart약명분류효능?효과Atropine진경제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십이지장궤양에서의 분비 및 운동 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마취 전 투약, 유기인 살충제·부교감신경흥분제 중독Dexamethasone코르티코스테로이드호르몬제1. 내분비 장애 : 원발성 및 속발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급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부신성기증후군2. 류마티스성 장애급성진행 또는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단기 투여용 보조요법으로서 다음의 질환 : 류마티스양 ...2022.09.26· 3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