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 분만진행단계에 따른 산모 주요 간호중재)
본 내용은
"
모성간호학 (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 분만진행단계에 따른 산모 주요 간호중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1
문서 내 토픽
  • 1. 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
    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는 규칙성, 간격, 강도, 통증부위 등에서 나타난다. 진진통은 규칙적이고 간격이 점점 짧아지며 강도가 점점 강해지고 주로 복부에 국한된 통증이 있다. 반면 가진통은 불규칙적이고 간격이 지속적으로 길며 강도 변화가 없고 하복부와 허리부분에 방사되는 통증이 있다. 또한 진진통은 걸으면 더 심해지지만 가진통은 걸으면 완화되며, 진진통은 진정제 효과가 없지만 가진통은 진정제 효과가 있다.
  • 2. 분만진행단계에 따른 산모 주요 간호중재
    분만 1기 잠재기에는 산모의 배뇨, 태아의 안녕, 분만진행 파악, 편안함과 지지간호 등이 중요하다. 분만 1기 활동기에는 신생아의 안녕, 분만진행 파악, 힘주기, 분만실 이송, 리트겐 수기법, 제대 결찰, 회음절개술 등이 필요하다. 분만 3기에는 태반 만출 관리, 산도 열상 관리, 출혈 예방, 배뇨간호, 감염 및 통증 관리, 수분 균형 유지, 모아관계 촉진 등의 간호중재가 이루어진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
    진진통과 가진통의 차이는 산모의 분만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진진통은 자궁 경부가 점진적으로 열리면서 자궁 수축이 규칙적이고 강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반해 가진통은 자궁 수축이 불규칙적이고 약하며, 자궁 경부 개대가 진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진진통은 분만 진행을 위해 필수적이지만, 가진통은 분만 진행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모의 진통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가진통이 지속되는 경우 적절한 중재를 통해 진진통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산모의 자궁 수축 양상, 자궁 경부 개대 정도, 태아 하강 정도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진진통으로의 전환을 돕기 위해 진통 유발제 투여, 자세 변경, 이완 요법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 2. 분만진행단계에 따른 산모 주요 간호중재
    분만 진행 단계에 따른 산모 간호 중재는 산모와 태아의 안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초기 잠재기에는 산모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진통 관리를 위한 이완 요법, 자세 변경 등의 중재가 필요합니다. 활동기에는 자궁 수축 강도와 빈도 증가에 따른 진통 관리, 자궁 경부 개대 정도 확인, 양막 파수 관찰 등이 중요합니다. 이행기에는 산모의 힘주기 능력 증진, 태아 하강 정도 확인, 회음부 보호 등의 중재가 필요합니다. 마지막 만출기에는 태아 분만, 태반 분만, 회음부 봉합 등의 중재가 이루어집니다. 이 모든 단계에서 산모와 태아의 활력징후 모니터링, 수액 및 약물 투여, 산소 공급 등의 기본적인 간호중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심리적 지지와 교육도 중요한데, 이를 통해 산모가 분만 과정을 잘 이해하고 협조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