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민요의 계보와 발전과정
본 내용은
"
경기민요의 계보와 발전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1
문서 내 토픽
-
1. 경기민요경기민요란 서울과 경기도지방에서 전승되는 민요라 하겠으나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는 경기긴잡가를 가리킨다. 잡가(雜歌)란 가곡(歌曲), 가사(歌詞)와 같은 정가(正歌)의 대칭인 속가(俗歌)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속가 가운데 좀 긴 통절형식(通節形式)의 좌창(坐唱)을 잡가라 하며 경기잡가 가운데 느린 장단으로 된 십이잡가(十二雜歌)를 긴잡가 라고 일컫는다.
-
2. 경기잡가경기잡가는 서울 문(門)안과 근교의 수공예의 장인들이나 채소밭을 가꾸던 밭쟁이 한량(閑良) 출신 소리꾼들에 의하여 전승 발전되어 왔다. 특히 서울 만리재에서 청파(靑坡)에 이르는 사계축 소리꾼들이 잡가를 잘 하였다 한다.
-
3. 잡가 명창잡가 명창으로 조선 말 속칭 추(秋), 조(曺), 박(朴)이라는 3인을 꼽는다. 추조박이란 기교(技巧)에 뛰어난 추교신(秋敎信), 성대(聲帶)를 잘 타고난 조기준(曺基俊), 잡가로 이름이 높던 박춘경(朴春景)을 가리키는데 박춘경이 잡가를 많이 지어 잘 불렀다 한다.
-
4. 사계축 소리꾼사계축이란 조선 시대 행정구역으로 용산방(龍山坊) 이하의 네 개의 계(契), 즉, 청파(靑坡) 1, 2, 3, 4계를 포함한 네 계 지역을 말한다. 용산방은 세곡 운송의 중심지였고, 도시에 공급하는 농작물인 채소를 집중적으로 가꾸거나 수공업을 담당했던 지역이었다. 이 지역의 지리적·경제적 조건은 성 안과 동질적이면서도 개성적인 문화를 구가하게 만들었다.
-
5. 삼패 기생삼패는 서울 잡가 가운데 좌창 잡가 즉, 안진소리의 전문가로 유명했다. 삼패는 19세기까지 여성음악계의 위계 내에서 중간에 위치했었지만 20세기 이후에는 극장 무대의 주역이 되었다.
-
6. 기생의 분류기생에는 일패, 이패, 삼패가 있었는데 그중 삼패는 이리저리 불려다니면서 소리와 기예를 파는 여성들을 지칭했다. 일패기생은 오직 임금 면전에만 노래와 춤을 하는 기생이었고, 이패기생은 관기와 민기로 나뉘어 문무백관이나 일반 양반을 상대했으며, 삼패기생은 일반 평민을 상대로 노래와 춤, 매춘을 병행했다.
-
7. 기생의 지적 수준기생, 특히 상류에 해당하는 일패들은 지적 수준이 매우 높았다. 지역에 따라 용비어천가나 유교 경전 등을 읊었고, 기생문학이 따로 남아있을 만큼 그녀들이 시를 쓰는 것도 흔했다.
-
8. 권번1910년 경술국치 이후 기생청은 총독부의 일본 유녀 권번 벤치마킹에 의해 권번이라는 일종의 조합으로 바뀌었다. 이 권번은 기생들을 양성하는 학교 역할도 했는데, 일제강점기에는 공식 교육기관 중에선 전통 예술을 계승하는 사실상 유일한 곳이었다.
-
9. 조선권번조선권번은 1923년 조선 가무의 정통성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기존의 기생조직과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진 새로운 기생조직이었다. 조선권번은 설립 당시 서울 장안의 여타 권번과 달리 신생 권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에는 다른 권번을 뛰어 넘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성장했다.
-
10. 여류명창1920년대에는 이유색 · 유운선 · 박채선 · 조목단 · 김연옥이, 1930년대에는 표연월 · 신해중월 · 김옥엽 · 홍소월 · 기목단 · 장옥화 · 임명옥 · 임명월 · 손진홍 · 박부용 · 곽명 · 곽산월 · 조백조 · 묵계월 등 수많은 여류명창이 잡가 · 민요 명창으로 활동하였다.
-
1. 경기민요경기민요는 경기도 지역의 전통적인 민요로, 다양한 장르와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경기민요는 농경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자연스럽고 서정적인 선율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경기민요는 지역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하며, 한국 전통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기민요는 현재에도 전승되고 있으며, 그 가치와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습니다.
-
2. 경기잡가경기잡가는 경기도 지역에서 발달한 전통 음악 장르로, 다양한 주제와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기잡가는 민요와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서민들의 삶과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경기잡가는 경기도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음악 유산이며, 현재에도 전승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기잡가의 보존과 계승은 한국 전통음악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3. 잡가 명창잡가 명창은 경기잡가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뛰어난 연주자들입니다. 이들은 경기잡가의 독특한 선율과 가창 기법을 완벽하게 구현하며, 경기잡가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잡가 명창들의 연주는 경기잡가의 아름다운 음색과 감성을 잘 보여주며, 이를 통해 경기잡가가 한국 전통음악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잡가 명창들의 업적은 한국 전통음악의 계승과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사계축 소리꾼사계축 소리꾼은 한국 전통 음악 장르인 사계축을 연주하는 뛰어난 예술가들입니다. 사계축은 사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음악으로, 소리꾼들의 깊이 있는 해석과 표현력이 중요합니다. 사계축 소리꾼들은 이러한 음악적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며, 한국 전통음악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노력과 업적은 한국 전통음악의 가치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5. 삼패 기생삼패 기생은 조선시대 기생 문화의 중요한 일부였습니다. 이들은 음악, 무용, 시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능통했으며, 당시 사회의 문화적 중심 역할을 했습니다. 삼패 기생들의 예술적 재능과 문화적 영향력은 한국 전통 예술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이 겪었던 사회적 차별과 제약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삼패 기생의 역사와 문화적 유산은 한국 전통 예술의 이해와 발전을 위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
6. 기생의 분류기생의 분류는 조선시대 기생 문화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기생들은 음악, 무용, 시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으며, 이에 따라 등급과 지위가 구분되었습니다. 이러한 기생의 분류 체계는 당시 사회의 계층 구조와 문화적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기생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러한 분류 체계와 그 의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기생 문화의 역사와 전통은 한국 예술과 문화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
7. 기생의 지적 수준조선시대 기생들의 지적 수준은 당시 사회의 여성 교육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기생들은 음악, 무용, 시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교육과 훈련이 필요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기생들의 지적 수준은 일반 여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기생들이 겪었던 사회적 차별과 제약으로 인해 그들의 지적 능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생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러한 복잡한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8. 권번권번은 조선시대 기생 교육과 관리 체계의 핵심이었습니다. 권번은 기생들의 교육, 공연, 관리 등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당시 기생 문화의 중심적 역할을 했습니다. 권번은 기생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전시키고,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했습니다. 권번 체계는 조선시대 기생 문화의 특성을 잘 보여주며, 한국 전통 예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권번에 대한 이해는 기생 문화와 한국 전통 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9. 조선권번조선권번은 조선시대 기생 문화의 중심이었던 기관입니다. 조선권번은 기생들의 교육, 관리, 공연 등을 총괄하며, 기생 문화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조선권번은 기생들의 예술적 재능을 계발하고,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또한 조선권번은 한국 전통 예술의 전승과 발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권번에 대한 이해는 조선시대 기생 문화와 한국 전통 예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10. 여류명창여류명창은 한국 전통 음악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여성 예술가들입니다. 이들은 판소리, 가곡, 가야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탁월한 실력을 발휘하며, 한국 전통 음악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여류명창들의 예술적 성취는 당시 여성들의 지적, 예술적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이들의 업적은 한국 전통 음악의 가치를 높이고, 여성 예술가들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류명창에 대한 연구와 기록은 한국 전통 음악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향가 12페이지
향가정의,특징,형식작품분석문학적가치나의의견INDEX1. 향가의 정의2. 향가의 특징3. 향가의 형식4. 향가의 역사 (시작과 소멸까지)5. 향가의 문학적 가치6. 향가의 작품세계7. 향가 대표 작품소개(1) 서동요(2) 혜성가(3) 원왕생가(4) 처용가8. 결론 및 나의의견1. 향가의 정의신라시대의 시가를 통칭하는 용어로서 신라시대로부터 고려 전기까지 창작된 도솔가(兜率歌)와 사뇌가(詞腦歌) 및 중국시가에 대한 우리나라 고유의 시가를 지칭한다.현재까지도 전해져 내려오는 향가의 주요 작품으로는 최초의 향가라고 할 수 있는 신라 진평왕...2019.08.09· 12페이지 -
판소리의 등장배경과 전승과적 요약 8페이지
1.판소리(판+소리)→창과 아니리와 발림으로 구성된 종합예술2.판의 의미수량적 의미●개량적 의미로 쓰이는 ‘판’→①‘한판’, ‘한바탕’, ‘한거리’로 사용=수량적 의미.②탈춤의 ‘과장’과 같은 의미=‘장면’에 해당.③‘노름판’, ‘씨름판’의 의미=어떤 행위의 처음부터 끝까지의 ‘옹근 과정’ 으로 해석.→‘판’의 조건=서사시로서 ‘소리’가 완벽한 줄거리를 가져야한다.놀이판의 의미●놀이판의 의미=놀이판을 벌이고 부르는 소리●‘판에 박힌다.→판에 박힌 듯이 정해놓고 부르는 소리ex)판교(농악 연주)악조의 의미●板의 의미를 뜻함=板唱(일정...2016.04.19· 8페이지 -
조선시대 가사문학 요약 7페이지
조선시가론가사(歌辭) 요약 리포트Ⅰ. 가사의 기원과 형성기가사의 기원은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어 왔다. 멀리 신라가요에서 구하려는가 하면, 그 발생기도 고려 말에서 조선조 중기로 내려 잡기도 한다. 작품에 있어서도 그 효시를 정극인의 〈賞春曲〉으로 보는 것과 나옹의 〈西往歌〉를 보는 것으로 나뉘는 데, 학설이 다양한 것은 가사가 지닌 내용과 형식상의 특성 때문이라 하겠다.첫째, 한시에 토를 달아 읽는 과정에서 왔다는 한시현토설이 있다. 하지만 그 서술방식이 차이를 가지기 때문에 설득력이 없는 주장이다. 둘째, 소멸시기와 발생기, ...2015.11.22· 7페이지 -
판소리의 모든 것 (정의, 구성, 기원 등) 12페이지
판 소 리* 판소리란 무엇인가?: 판소리는 부채를 든 한 사람의 소리꾼이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창, 아니리, 발림을 고도로 조직하는 한편, 창자, 고수(북장단과 추임새), 청관중(추임새)이 서로 개입해 들어가면서 삼위일체가 되는 공연예술인 것이다.)1. 판소리의 명칭과 개념(1) 판소리의 명칭과 개념: 판소리를 가리키는 용어 - 소리, 광대소리, 타령, 잡가, 劇歌, 창악, 창극, 唱曲調, 優戱 등→ 현재에는 ‘판소리’라는 명칭으로 굳어짐.: ‘판’(다수가 모여 어떤 일을 벌리는 곳이나 정황, 행위 자체를 뜻함) + ‘소리’(음악...2013.03.18· 12페이지 -
[판소리][판소리 작품][판소리론교육]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기원, 판소리의 유파, 판소리의 작품, 판소리의 조, 판소리의 판소리론교육, 판소리의 영상화, 판소리 관련 제언 분석 13페이지
판소리의 개념, 판소리의 기원, 판소리의 유파, 판소리의 작품, 판소리의 조, 판소리의 판소리론교육, 판소리의 영상화, 판소리 관련 제언 분석Ⅰ. 서론Ⅱ. 판소리의 개념Ⅲ. 판소리의 기원Ⅳ. 판소리의 유파1. 동편제(東便制)2. 서편제3. 중고제4. 강산제Ⅴ. 판소리의 작품1. 다섯 마당(오가)2. 여섯 마당3. 열두 마당Ⅵ. 판소리의 조Ⅶ. 판소리의 판소리론교육Ⅷ. 판소리의 영상화Ⅸ. 결론 및 제언참고문헌Ⅰ. 서론판소리는 18 세기 초(숙종-영조 때 AD 1674-1776)에 발생한 것으로 18 세기 중엽에 이미 형성의 완성 단계...2012.12.14·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