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대 알기쉬운 해양생명과학 과제
본 내용은
"
제주대 알기쉬운 해양생명과학 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0
문서 내 토픽
-
1. 최대 지속적 생산량최대 지속적 생산량의 사전적인 의미는 자원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고 해마다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장 높은 수준의 어획량이다. 이를 인공지능에 접목시켜 온도, 날씨, 해당 인근에서의 어획량 등으로 어획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이렇게 되면 어획량 예측 뿐 아니라 어떤 조건을 갖추었을 때 어획량이 높은 지 판단할 수 있고 자원의 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양식업에서도 이를 접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지, 그 해 예상 수확량 등을 예측하여 미래를 대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
2. 갯강구강좌에서 설명해주신 내용처럼 그 전까지 바퀴벌레라고 불렀다. 제주도에 놀러갈 때마다 무리지어 다니는 모습이 많이 징그러워서 잊을 수가 없었다. 뭐하는 생물이지 궁금하기는 했지만 호기심으로 매번 그쳤다. 이번 강좌를 통해 '갯강구'가 하는 분해자로의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확실히 알게 되었다. 강의에서 '갯강구'에 관한 내용이 나왔을 때 집중이 너무 잘 되었다. 그 전까지 호기심 있게 여겼던 생물이라 그런지 머리에 확실히 각인되었고 항상 주변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호기심에 그치지 않고 찾아보는 습관을 가져야겠다고 다짐하였다.
-
3. 해양 생물의 역할이 세상에 존재하는 해양 생물 중 의미 없는 생물은 없다는 것을 느꼈다. 포식자와 피식자를 통해 개체수가 유지되어 생태계가 유지되고, 생산자와 소비자, 분해자 간의 관계를 통해 생태계가 유지된다. 이를 통해서 사람도 마찬가지로 자신에게 각자에게 맞는 능력이 있고 자신이 느끼기에 보잘 것 없이 느껴질 지라도 사람이 살아가는 환경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였다.
-
1. 최대 지속적 생산량최대 지속적 생산량(Maximum Sustainable Yield, MSY)은 생태계의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MSY는 어업 자원의 최대 생산량을 의미하며, 이를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어업 활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어업 자원이 장기적으로 보존되고 지속가능한 어업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MSY를 정확히 산정하기는 쉽지 않으며, 생태계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으로 인해 실제 어업 관리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MSY 외에도 다양한 어업 관리 기법들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어업인, 정부, 연구자 등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갯강구갯강구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으로, 매우 중요한 생태계입니다. 갯강구는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지이자 산란장이 되며, 육상과 해양 생태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갯강구는 수산자원 보호, 수질 정화, 홍수 조절 등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갯강구가 훼손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따라 갯강구 보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 지역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 그리고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복원 활동 등이 요구됩니다. 갯강구는 우리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소중한 자연자원이므로, 이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3. 해양 생물의 역할해양 생물은 지구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첫째, 해양 생물은 탄소 흡수와 산소 생산을 통해 기후 조절에 기여합니다. 특히 해양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는데, 이는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둘째, 해양 생물은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어류와 패류 등은 인류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 되며, 해조류와 해면동물 등은 의약품 개발에 활용됩니다. 또한 해양 생물은 연안 생태계 보호와 수질 정화에 기여합니다. 셋째, 해양 생물은 생물다양성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해양 생물종이 상호작용하며 건강한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고, 이는 인류에게 지속가능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해양 생물 보호와 지속가능한 이용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정부와 국제사회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