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간호학 CASESTUDY] 조현정동장애(조증형), 정신지체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
본 내용은
"
[정신간호학 CASESTUDY] 조현정동장애(조증형), 정신지체 간호과정 (간호진단 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20
문서 내 토픽
-
1. 사고 내용 장애와 관련된 자아 정체성 손상대상자는 과대 망상을 보이며 자신이 초등, 중등, 고등학생 때 1등을 했다거나 OO대학교 관광과를 나왔다고 반복해서 말하는 등 현실적이지 않은 자아 정체성을 보이고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망상의 내용과 빈도를 사정하며, 현실 중심적 대화와 활동을 격려하는 등의 중재를 통해 대상자가 현실적인 자아 정체감을 갖도록 돕고자 한다.
-
2. 감각지각장애와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대상자는 착각과 환촉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간호사는 환각 내용에 대해 현실감을 제공하고, 환각이 충족시켜 준 대상자의 욕구를 확인하며, 안정적인 활동을 진행하는 등의 중재를 통해 대상자가 감각지각장애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
1. 사고 내용 장애와 관련된 자아 정체성 손상사고 내용 장애는 개인의 자아 정체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장애로 인해 개인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입니다. 이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어렵게 만들어 자아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과의 관계 형성과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고 내용 장애를 가진 개인들에게는 전문적인 심리 상담과 치료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아 정체성을 회복하고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2. 감각지각장애와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감각지각장애를 가진 개인들은 자신의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이는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처 방식이 비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각장애인의 경우 소리를 정확하게 듣지 못해 타인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각장애인이 소리를 듣지 못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보완적인 의사소통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부 청각장애인들은 자신의 장애를 인정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대처 방식을 사용하여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각지각장애인들이 자신의 장애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대처 방법을 익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