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화학실험 실험 9 Sulfanilic acid의 합성 aromatic sulfonation 결과
본 내용은
"
유기화학실험 실험 9 Sulfanilic acid의 합성 aromatic sulfonation 결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9
문서 내 토픽
-
1. Sulfanilic acid 합성이번 실험에서는 Aniline과 황산(H2SO4)을 반응시켜 Sulfanilic acid를 합성하였다. 결과적으로 방향족 설폰화 반응에 의해 Aniline의 H+가 -SO3H로 치환되어 Sulfanilic acid가 합성된다. 이때 공명 안정화에 의해 더 많은 공명을 가지는 ortho(1,2-)와 para(1.4-)가 major 생성물이 되고, meta(1,3-)가 minor 생성물이 된다. 하지만 ortho는 부피가 큰 치환기인 NH2와 SO3H의 거리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반발력에 의해 덜 안정하므로 최종적으로 para가 생성된다.
-
2. 실험 결과 분석Aniline은 12.5g 사용했기 때문에 × 이고, 한계반응물로 작용한다. 황산은 22.5ml 사용했기 때문에 × × 이다. 따라서 Sulfanlic acid의 이론적 수득량은 한계반응물의 몰수와 동일한 × 이다. 이때 실험을 통해 얻은 Sulfanilic acid의 수득량은 5.70g이므로 수득률은 × 이다. 수득률이 상당히 낮게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전부 반응하지 못한 Aniline과 황산에 의한 것이다. 기화된 후 환류가 되지 못하여 N2-ballon에 기체 상태로 남아 있는 Aniline 또한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충분한 용해와 가열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
3. 오차 원인 및 개선 방안부피 플라스크로 부피를 측정하거나 재결정 후 플라스크로 옮기는 과정에서 벽면에 묻은 시료로부터의 손실이 일어나는 경우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플라스크의 용액을 옮기는 과정에서 물을 이용해 플라스크를 세척하며 이동함으로써 플라스크 벽면에 묻은 시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regioselectivity에 의해 para 화합물이 100% 생성되지 않고 소량의 ortho 화합물이 같이 생성되는 점도 오차 원인이 된다. 가열을 진행하고 과량의 황산을 사용함으로써 H2O의 생성을 줄여 역반응의 진행을 억제하며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
4. Sulfanilic acid 확인 방법이번 실험에서는 진행하지 않았지만 합성된 Sulfanilic acid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녹는점 측정과 TLC 측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Sulfanilic acid의 이론적 녹는점은 228℃이며, 불순물이 많이 포함될수록 녹는점의 오차가 발생되고 녹는점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물에 대한 Aniline의 용해도는 36g/L이고, Sulfanilic acid의 용해도는 13g/L이므로 Sulfanilic acid보다 Aniline의 극성이 더 크다. 따라서 Aniline은 극성이 크기 때문에 고정상과의 강한 친화력에 의해 Rf값이 작고, Sulfanilic acid는 극성이 작기 때문에 이동상과의 강한 친화력에 의해 Rf값이 클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
1. Sulfanilic acid 합성Sulfanilic acid 합성은 유기화학 실험에서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반응은 아닐린과 황산의 반응을 통해 이루어지며, 다양한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는 반응 조건, 반응 시간, 온도 등의 변수를 잘 조절해야 하며, 생성물의 순도와 수율을 높이기 위한 정제 과정도 중요합니다. 이 실험을 통해 유기화학 반응의 기본 원리와 실험 기술을 익힐 수 있습니다.
-
2. 실험 결과 분석실험 결과 분석은 실험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개선 방향을 찾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실험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수율, 순도, 수율 등의 지표를 확인하고, 이를 이론값이나 문헌 데이터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부산물 생성 여부, 반응 메커니즘 등을 분석하여 실험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실험 조건 최적화, 정제 방법 개선 등 후속 실험을 위한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3. 오차 원인 및 개선 방안실험 결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험 기구의 오차, 온도 및 압력 조절의 부정확성, 시약의 순도 문제, 실험 기술의 미숙 등이 오차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험 기구의 정밀도 향상, 온도/압력 조절 장치의 보정, 고순도 시약 사용, 실험 기술 향상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반복 실험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오차 범위를 줄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
4. Sulfanilic acid 확인 방법Sulfanilic acid의 확인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녹는점 측정을 통해 문헌값과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IR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특징적인 흡수 피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NMR 분석을 통해 수소 및 탄소 화학적 이동값을 확인하여 구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질량 분석을 통해 분자량을 확인하여 최종적인 동정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분석 기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면 Sulfanilic acid의 정확한 확인이 가능할 것입니다.
-
유기화학실험 실험 9 Sulfanilic acid의 합성 aromatic sulfonation 예비1. 아닐린 아닐린은 벤젠에 염기성의 아미노기(-NH2)가 붙어 있는 구조이다. 아닐린과 황산을 고온에서 처리하면 Sulfanilic acid를 합성할 수 있다. 유독하며 흡수하면 중독을 일으키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2. 설파닐산 설파닐산은 벤젠에 염기성의 아미노기(-NH2)와 강산성의 설폰산기(-SO3H)가 붙어 있는 구조이다. 흰색의 결정이며...2025.05.09 · 자연과학
-
Methyl Orange (메틸오렌지 합성)1. 메틸오렌지 합성 이번 실험은 메틸오렌지를 합성하고 메틸오렌지 합성 메커니즘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메틸오렌지 합성 메커니즘은 크게 두 가지 반응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디아조늄 염이 만들어지는 반응이고, 그 후 만들어진 디아조늄 염으로 짝지음 반응하여 메틸오렌지를 합성하는 반응으로 나누어집니다. 실험 과정에서 이러한 메커니즘을 자세히 설명하고...2025.01.12 · 자연과학
-
나이트로화 반응을 이용한 methyl 3-nitrobenzoate의 합성1. 나이트로화 반응 이번 실험에서는 방향족 화합물의 친전자성 치환반응(electrophilic aromatic substitution)의 한 가지 예인 나이트로화 반응을 수행하고, 벤젠의 나이트로화 반응(nitration)에 대한 반응 조건을 이해해보았다. 나이트로화 반응은 탄소 사슬에 나이트로(nitro, -NO2) 작용기를 도입하여 나이트로 화합물(R...2025.01.20 · 자연과학
-
유기화학실험 bromination of alkene1. 알켄의 브로민화 반응 알켄에 브로민이 빠르게 첨가되어 1,2-다이할라이드를 생성하는 할로젠화 반응이 진행된다. 브로민화 반응의 생성물은 vicinal 1,2-dibromides로서 다이브로마이드의 합성이나 알켄의 정성시험에서 응용할 수 있다. 브로민화 반응에서는 항상 trans-dibromide 생성물만 만들어지는데, 이는 브로모늄 이온 중간체가 생성...2025.05.11 · 공학/기술
-
화공생물공학 단위조작실험1 Sulfa Drugs: Sulanilamide 제조1. Sulfa Drugs 설파제(sulfa drugs)는 R1SO2NR2R3의 전형적 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로서, Bacteria의 folate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dihydropteroate synthase)의 경쟁억제제(competitive inhibitors)로 작용하여 항생작용을 한다. 역사적으로 설파제는 Prontosil이라는 아조계 염료가 그...2025.01.15 · 공학/기술
-
레몬 중의 유기산 정량1. 유기산의 정의와 구분 유기산이란 탄소 원자를 중심으로 하는 기본 골격을 가진 산성 물질을 의미하며, 무기산과는 달리 생명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유기산을 구분하는 기준이 여러가지가 될 수 있는데 먼저 가지는 작용기에 따라 구분 할 수 있다. 카복실기(-COOH)를 가지면 카복실산, 설포기 (–SO3H)를 가지면 설폰산, 페닐기에 하이드록시기(-OH)가...2025.01.11 · 자연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