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간호학/척수손상 간호과정/A+
본 내용은
"
재활간호학/척수손상 간호과정/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9
문서 내 토픽
  • 1. 척수손상의 정의
    척수손상(spinal cord injury, SCI)은 가벼운 굴곡과 신전의 편타성 손상에서부터 영구적인 사지마비를 초래하는 완전 척수절단까지 올 수 있다. 척수손상이 되면 운동, 감각 및 반사기능 장애, 장과 방광조절의 손상이 일어나며 역할 상실, 신체상과 자아개념의 변화와 관련된 감정적, 행위적 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개인의 성장과 발달의 잠정적인 방해, 가족의 역동성 변화, 직업상실로 인한 경제적 문제, 재활과 장기간 병원생활로 인한 높은 비용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 2. 척수손상의 현황
    미국 앨라바마 대학 보고에 따르면, 해마다 새로운 외상성 척수손상은 11,000명에서 발생하며, 인구 10만명당 40명의 유병률을 나타낸다고 한다. 그리고 Model Spinal Cord Injury System (MSCIS)에서는 퇴원환자의 34.1%는 불완전 사지마비, 23.0%는 완전 양하지 마비, 18.3%는 완전 사지마비였으며, 이들 중 1% 미만에서만 완전한 신경학적 회복을 보였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척수손상에 대한 역학적 정보나 현황이 미흡한 실정이라고 한다. 정확한 척수손상 장애인의 수를 알기는 어렵지만 2000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지체 장애인 62,392명 중 5.7%가 척수장애인에 해당하므로 약 36,000명으로 추정된다. 교통사고의 증가와 노령화 및 스포츠 활동 증가로 인한 척수 질환의 비중은 점차 커질 것으로 생각되어 척수손상의 회복을 도모하고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 3. 척수손상의 원인
    외상이 흔한 원인이며 자동차나 오토바이 사고, 폭행, 낙상, 운동 시 사고(축구, 다이빙, 스키)등이 원인이다. 발생 빈도는 연령별로 보면 40-30-20대 순이다. 미국에서는 위험성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16~30세 사이의 젊은 남성이며, 척수손상 환자의 80%가 남자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척수손상의 정의
    척수손상은 척수에 발생한 손상으로 인해 신체의 감각과 운동 기능이 부분적 또는 완전히 상실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척수는 뇌와 연결되어 신체 전반의 감각과 운동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척수손상은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척수손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에 따른 치료와 재활 과정이 필요합니다. 척수손상은 개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 2. 척수손상의 현황
    척수손상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250,000-500,000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에서도 매년 약 2,000-3,000건의 척수손상 발생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척수손상은 주로 교통사고, 낙상, 스포츠 활동 중 사고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척수손상 환자들은 신체적 장애뿐만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척수손상에 대한 예방과 치료, 재활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3. 척수손상의 원인
    척수손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낙상, 스포츠 활동 중 사고, 폭력, 질병 등이 있습니다. 교통사고는 가장 큰 원인으로, 운전자의 부주의, 안전 불감증, 도로 환경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낙상은 주로 노인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스포츠 활동 중 사고는 젊은층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또한 척수종양, 척추 감염, 척추 질환 등 의학적 원인으로 인한 척수손상도 발생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들에 대한 예방 및 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특히 교통사고와 낙상 예방을 위한 안전 교육과 시설 개선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