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어증(aphasia) 종류 정리
본 내용은
"
실어증(aphasia) 종류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5
문서 내 토픽
  • 1. 총체적 실어증(global aphasia)
    모든 언어능력의 장애: 말하기, 말이해, 표현 안됨. 구두표현 능력 손상, 말을해도 동일한 표현 반복. 중대뇌동맥 손상에 의해 유발 가능성 높음. 손상 부위가 커 치료가 가장 어려움.
  • 2. 브로카실어증, 운동실어증(broca's aphasia, motor aphasia)
    말 이해 가능, 문법에 맞지 않는 말하며 어휘에 맞지 않는 말. 말하는 자체에 어려움을 느낌. 쓰는 능력 손상 높음, 편마비 동반 되기도함. 좌반구 전두엽 손상시 발생.
  • 3. 베르니케실어증, 이해실어증(werike's aphasia, sensory aphasia)
    말하는데는 문제 없으나, 몸짓 등 행동을 사용한 의사소통 잘함. 무의미한 단어 사용, 읽기와 쓰기의 이해 능력 떨어짐. 수학적 능력 장애. 시각장애 보이는 경우 있음. 좌반구 측두엽 윗부분 손상.
  • 4. 명칭실어증, 건망실어증(anomic aphasia)
    말하기 유창, 문법적으로도 정확, 정상 발음, 단어 찾는데에 어려움을 느낌. 실어증 중 가장 경미한 유형. 뇌 손상시 발생(어디든 가능성 있음). 따라 말하기 가능, 이름 대기에서 능력 떨어짐.
  • 5. 초피질 운동성 실어증(transcortical motor type of aphasia)
    말 반복해 따라하는 것에 문제 없음. 브로카실어증과 유사. 좌반구 전두엽, 피질하 영역 손상시 발생.
  • 6. 초피질 감각성 실어증(transcortical sessory type of aphasia)
    타인의 말 반복하는 것에는 문제 없음. 베르니케실어증과 유사. 좌반구 측두엽, 피질하 영역 손상시 발생.
  • 7. 혼합 초피질 실어증(mixed transcortical type of aphasia)
    타인의 말 따라하기 잘함. 유창성, 청각 언어 이해 능력, 이름 대기 어려움. 전두엽, 피질하 영역 손상시 발생.
  • 8. 전도성 실어증(conduction type aphasia)
    말 반복하는 능력 문제. 유창성 보존, 청각언어 이해능력은 있음. 좌반구 증상 중 (언어산출 담당하는 브로카, 언어이해 담당하는 베르니케 영역) 손상시 발생.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총체적 실어증(global aphasia)
    총체적 실어증은 가장 심각한 유형의 실어증으로, 언어 이해와 표현 모두에 심각한 장애가 있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거의 모든 언어 기능을 상실하여 단순한 단어나 구절조차 이해하거나 표현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이는 대뇌 피질의 광범위한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재활 과정에서도 회복이 매우 더딘 편입니다. 따라서 총체적 실어증 환자에 대한 집중적이고 장기적인 언어 재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브로카실어증, 운동실어증(broca's aphasia, motor aphasia)
    브로카실어증은 대뇌 전두엽 하부의 브로카 영역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 유형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언어 이해는 비교적 잘 유지되지만, 말하기와 같은 언어 표현에 심각한 장애를 겪게 됩니다. 환자들은 단어를 조리 있게 배열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발음도 부정확하고 비유창한 특징을 보입니다. 이러한 운동실어증 환자들에게는 언어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언어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베르니케실어증, 이해실어증(werike's aphasia, sensory aphasia)
    베르니케실어증은 대뇌 측두엽 상부의 베르니케 영역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 유형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언어 이해에 심각한 장애를 겪게 되며, 말하기는 유창하지만 내용이 부적절하고 비논리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즉, 환자는 단어와 문장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자신의 발화 내용을 모니터링하고 수정하는 능력이 저하됩니다. 이러한 이해실어증 환자들에게는 언어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언어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명칭실어증, 건망실어증(anomic aphasia)
    명칭실어증은 대뇌 피질의 손상으로 인해 특정 단어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실어증 유형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언어 이해와 문법적 구조 형성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적절한 단어를 산출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말하기나 쓰기 시 단어 찾기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를 우회하기 위해 설명이나 몸짓 등을 사용하게 됩니다. 명칭실어증 환자들에게는 단어 인출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언어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초피질 운동성 실어증(transcortical motor type of aphasia)
    초피질 운동성 실어증은 대뇌 전두엽 피질 주변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 유형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언어 이해는 비교적 잘 유지되지만, 말하기와 같은 언어 표현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특히 환자들은 자발적인 발화는 어렵지만, 타인의 말을 따라 말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등의 반복적인 언어 활동은 비교적 잘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초피질 운동성 실어증 환자들에게는 언어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언어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초피질 감각성 실어증(transcortical sessory type of aphasia)
    초피질 감각성 실어증은 대뇌 측두엽 피질 주변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 유형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언어 표현은 비교적 잘 유지되지만, 언어 이해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특히 환자들은 타인의 말을 듣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 자신의 말을 산출하거나 따라 말하는 것은 비교적 잘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초피질 감각성 실어증 환자들에게는 언어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언어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혼합 초피질 실어증(mixed transcortical type of aphasia)
    혼합 초피질 실어증은 대뇌 피질 주변부의 광범위한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 유형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언어 이해와 표현 모두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자발적인 발화가 매우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특징을 보입니다. 또한 환자들은 타인의 말을 따라 말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등의 반복적인 언어 활동은 비교적 잘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혼합 초피질 실어증 환자들에게는 언어 이해와 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이고 장기적인 언어 재활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전도성 실어증(conduction type aphasia)
    전도성 실어증은 대뇌 백질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어증 유형입니다. 이 경우 환자는 언어 이해와 문법적 구조 형성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말하기 시 단어 찾기와 발음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특히 환자들은 타인의 말을 잘 이해하고 따라 말하는 것이 어려운 특징을 보입니다. 이러한 전도성 실어증 환자들에게는 말하기와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집중적인 언어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