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3 예비보고서
본 내용은
"
아주대학교 A+전자회로실험 실험3 예비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3
문서 내 토픽
  • 1. 미분기
    미분기는 입력 신호 파형의 시간 미분에 비례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면 입출력 관계식은 V_o/V_i = -R_F/(R_s + 1/jωC)이며, ω→∞이면 V_o/V_i = -R_F/R_s가 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cutoff frequency f_c = 1/(2πR_sC)보다 낮은 주파수에서만 미분기로 작용한다. 이보다 높은 주파수에서는 반전 증폭기가 된다. 미분기는 펄스 응답에서 직렬 RC 회로로, 주파수 응답에서 고역 통과 필터로 사용된다.
  • 2. 적분기
    적분기는 입력 신호 파형의 시간 적분에 비례하여 출력을 발생한다.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면 입출력 관계식은 V_o/V_i = -(R_s/R_1)/(1+jωR_sC)이며, ω→0이면 V_o/V_i = -R_s/R_1이 된다. 즉 V_o = -(1/R_iC)∫V_i dt이다. 실제 적분 회로는 궤환 커패시터 C의 양단에 R_s를 연결하여 저주파 이득을 제한하고 연산 증폭기의 포화를 방지한다. 적분기는 펄스 응답에서 직렬 RC 회로로, 주파수 응답에서 저역 통과 필터로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미분기
    미분기는 함수의 변화율을 계산하는 수학적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함수의 기울기, 극값, 최적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미분기는 공학, 물리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실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속도 변화, 전자 회로의 전압 변화, 인구 증가율 등을 분석할 때 미분기가 활용됩니다. 미분기는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고 이해를 돕는 강력한 수학적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적분기
    적분기는 함수의 면적이나 부피를 계산하는 수학적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물리량의 총량, 확률 분포, 경제 지표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적분기는 공학, 물리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실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물체의 운동량, 전기 회로의 전하량, 인구 증가 누적량 등을 분석할 때 적분기가 활용됩니다. 적분기는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고 이해를 돕는 강력한 수학적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