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통증관리
본 내용은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통증관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0
문서 내 토픽
-
1. 통증관리통증 관리는 암 환자, 수술 환자 및 모든 환자의 통증을 존중하고 임상 근거에 기반하여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통증 관리 과정에는 간호 진단, 약물 중재, 비약물 중재, 통증 교육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 진단은 급성 통증 또는 만성 통증으로 수립되며, 약물 중재는 WHO 3단계 진통제 사다리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비약물 중재에는 마사지, 온냉요법, 심호흡 및 이완요법 등이 있으며, 통증 교육을 통해 대상자와 보호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2. 간호 진단간호 진단은 손상 요인(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심리학적 요인)과 관련된 '급성 통증' 또는 '만성 통증'으로 수립됩니다. 예를 들어 흉관 삽입과 관련된 급성 통증, 고관절 전치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폐암과 관련된 만성 통증 등이 있습니다.
-
3. 약물 중재약물 중재는 WHO 3단계 진통제 사다리에 근거하여 단계적으로 진통제를 투약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여 적절하게 대처합니다. 마약성 진통제는 용량 제한 없이 증량할 수 있지만 내성, 신체적 의존성, 부작용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
4. 비약물 중재비약물 중재에는 마사지/지압, 온냉요법, 심호흡 및 이완요법, 상상요법, 기분 전환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통증으로부터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습니다.
-
5. 통증 교육통증 교육을 통해 대상자와 보호자가 통증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통증에 대한 잘못된 믿음이나 오해를 확인하여 교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1. 통증관리통증관리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 영역입니다. 통증 사정과 중재를 통해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간호사의 핵심 역할입니다. 통증 사정 시 환자의 주관적 보고와 함께 생리적 지표, 행동 관찰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약물 중재와 더불어 온열 요법, 냉찜질, 마사지 등의 비약물적 중재를 병행하여 통증 관리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통증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스스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간호 진단간호 진단은 간호 과정의 핵심 단계로, 환자의 건강 문제와 간호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간호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간호 진단 시 환자의 건강 상태, 증상, 징후, 생리적 지표, 행동 등을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간호 문제를 도출해야 합니다. 이때 NANDA-I 간호 진단 분류체계를 활용하면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진단이 가능합니다. 간호 진단은 환자 중심의 간호를 실현하기 위한 기반이 되므로, 간호사는 이에 대한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야 합니다.
-
3. 약물 중재약물 중재는 환자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처방된 약물의 작용 기전, 용량, 투여 경로, 부작용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합니다. 약물 투여 전 환자의 상태를 사정하고, 투여 후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약물 오남용 예방을 위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약물 사용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 중재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약물 중재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연구에 힘써야 합니다.
-
4. 비약물 중재비약물 중재는 약물 중재와 더불어 환자의 건강 문제 해결과 증상 관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온열 요법, 냉찜질, 마사지, 이완 요법 등의 물리적 중재와 음악 요법, 미술 요법, 원예 요법 등의 심리적 중재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비약물 중재는 부작용이 적고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요구에 맞는 비약물 중재 방법을 선택하고,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비약물 중재 방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여 환자 스스로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
5. 통증 교육통증 교육은 환자와 보호자의 통증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결과를 개선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통증의 원인, 증상, 관리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합니다. 특히 약물 중재와 비약물 중재의 종류, 사용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여 환자와 보호자가 효과적으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 사정 방법, 통증 기록 방법 등을 교육하여 환자 스스로 통증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의 통증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계획 3페이지
2022학년도간호관리학실습4일차 과제학년/반/학번성 명실 습 기 간실 습 기 관담 당 교 수2022년 1학기 간호관리학실습 실습활동4학년 학번: 이름:제출일:실습기간:담당 교수:주제 :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 계획▶ 신규간호사 교육은 2주동안 진행된다.▶ 모든 신규간호사들은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하도록 한다.주기날짜항목내용1주차1일병원 소개- 병원 직원 소개- 병원의 철학과 목적- 병원 구조 및 시설- 소화기, 소화전 위치 확인간호부 소개- 간호부의 미션, 철학, 비전- 병동 매뉴얼- 교육자료 제공- 간호 일과- 인수인계 확인- 교육프...2023.02.06· 3페이지 -
신규간호사 교육지침서, 간호관리학 3페이지
I . 간호진단 적용간호진단 1구성원의 낮은 숙련도와 부적절한 질적 간호간호사정[주관적 자료]- 간호사 선생님“OO아, 그건 왜 못하는 거야? 누가 너보고 그거 하라고 알려줬어? 난 그렇게 안 가르쳤는데”“하나도 못 알아듣겠어. 너 인계 하지마! 네 인계 듣기 싫으니까.”“선생님, 저혈당 나왔는데 아무도 중재 안 해줬어요? 이후 BST도 재측정 안 했어요?”“OO아, 그냥 약만 주고 온거야? 지금 ?! 저 환자 약물 알레르기 반응 계속 있던 환잔데 생각이 있어?”“lab 결과 다 확인 했어? 얼마 안 되잖아. 왜 이렇게 오래걸려.”...2022.09.21· 3페이지 -
간호교육팀_교육 과정(커리큘럼)_교육 간호사 9페이지
\간호교육팀 교육과정(커리큘럼) 계획서0000.00.000000 0병원 간호 교육팀목 차Ⅰ. 간호 교육 과정 개요 3Ⅱ. 신입 간호사 교육 과정 3Ⅲ. 재직 간호사 교육 과정 5Ⅳ. 결론 및 향후 계획 6Ⅴ. 부록 (Appendix) 7간호교육팀 교육 과정(커리큘럼) 계획서1교육 과정 개요□ 교육 과정의 목표○ 신입간호사(신규/경력)와 재직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설계·시행하여 간호사들의 임상 능력을 향상시키고 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의 범위○ 신입간호사(신규/경력) 교육과정 및...2024.07.19· 9페이지 -
동국대학교 간호학과_간호관리실습_지침서 24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BinData/image1.jpg..FILE:BinData/image2.png..FILE:BinData/image3.png..FILE:BinData/image4.png..FILE:BinData/image5.bmp..FILE:BinData/image6.bmp..FILE:BinData/image7.bmp..FILE:Contents/section...2024.03.02· 24페이지 -
[간호관리학실습] 조직의 상황에서 협력과 조정사례 2페이지
목표 : 조직의 상황에서 협력과 조정사례를 관찰한다.실습 수행 및 관찰사례(인구사회학적 특성 포함)협력 및 조정방안결과00세 남성 환자무릎관절 통증으로 거동이 불편함.IV 및 Foley catheter 적용 중.침상 난간을 내리고 간호사나 보조원의 도움 없이 혼자 이동하려고 함.1) 구성원 능력의 표준화: 모든 의료진과 보조원에게 낙상 위험 관리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인식을 높이고 낙상 예방 매뉴얼을 게시판에 부착하여 참조하도록 한다.2) 의사소통 시 정보의 표준화: 인계 시 환자 상태와 낙상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2025.01.24·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