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흐름에 따른 경제학의 변천사
본 내용은
"
A+시대적 흐름에 따른 경제학의 변천사에 대해 정리해 제출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0
문서 내 토픽
  • 1. 중상주의
    15세기(1401~1500)에 나타난 경제사상으로, 상업 자본주의를 중시하고 유럽의 분권, 부와 군사 정책, 보호주의 등 다양한 정치 제도에 영향을 주었다.
  • 2. 중농주의
    18세기(1701~1800)에 등장한 경제사상으로, 농업 중심의 경제 이념을 중시하며 프랑수아 케니를 중심으로 통일이론을 제시하면서 최초의 경제학 유파가 생겨났다.
  • 3. 고전학파
    18세기 후반(1770~)에 등장한 경제사상으로, 중등 농업에 관한 논의를 확대하고 작은 정부 이론을 주장하며 방임주의를 넘어서고 있다. 대표적인 학자는 아담 스미스이다.
  • 4. 역사학파
    1840년대~에 등장한 경제사상으로, 경제이론을 상대적인 이론으로 간주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규제를 받을 수 있는 한계를 시사한다. 보호주의를 주장했다.
  • 5. 사회주의역사학파
    19세기(1801~1900)에 등장한 경제사상으로, 산업혁명으로 인한 부의 불균형 악화에 대해 노동자 입장에서 자본주의를 비판하고 노동 분배를 통한 착취 폐지와 전 국민 경제계획 수립을 주장했다.
  • 6. 한계효용학파
    1870년대에 등장한 경제사상으로, 고전파와 마찬가지로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방임을 주장했지만 한계 효용의 개념에 기초하고 있어 고전파의 방법론과는 다르다.
  • 7. 신고전학파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경제사상으로, 당시 주류사상이었던 역사학파, 사회주의학파, 한계공리학파를 통합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표 학자인 알프레드 마셜은 각 학파의 장점을 선정하여 하나로 통합했다.
  • 8. 케인즈학파
    1930년대에 등장한 경제사상으로, 1929년 대공황에 대한 정책적 해결책을 제시했다. 케인즈는 실업의 원인으로 수요 부족을 꼽고 실업을 줄이기 위해 정부 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중상주의
    중상주의는 16-18세기 유럽에서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국가의 부와 힘을 중요시하고 수출 증대와 수입 억제를 통해 무역 흑자를 달성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당시 절대왕정 체제에서 국가 권력 강화와 국력 신장을 위한 정책적 기반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중상주의는 국가 개입주의와 보호무역주의를 지향하여 자유무역과 시장 경쟁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또한 중상주의는 식민지 확보와 수탈을 통해 국부를 축적하려 했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 2. 중농주의
    중농주의는 18세기 프랑스에서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농업을 국가 경제의 근간으로 보고 농업 중심의 경제 정책을 주장했습니다. 중농주의자들은 농업이 유일한 생산적 활동이며, 농업 생산물이 국부의 원천이라고 믿었습니다. 따라서 중농주의는 농업에 대한 자유방임과 중상주의적 정책 폐지를 주장했습니다. 이는 중상주의의 국가 개입주의와 대조되는 자유주의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중농주의는 농업 중심의 경제 발전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산업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점차 영향력을 잃게 되었습니다.
  • 3. 고전학파
    고전학파는 18-19세기 영국에서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자유방임주의와 시장 경제 원리를 강조했습니다. 대표적인 고전학파 경제학자인 애덤 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의 개념을 통해 자유로운 시장 경쟁이 사회 전체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데이비드 리카도는 비교우위론을 통해 자유무역의 이점을 강조했습니다. 고전학파는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자유와 시장 경쟁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 문제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 4. 역사학파
    역사학파는 19세기 독일에서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경제 현상을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역사학파는 경제 이론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았으며, 개인의 합리성보다는 제도와 전통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대표적인 역사학파 경제학자인 빌헬름 로셔와 브루노 힐데브란트는 각국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고려한 경제 정책의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역사학파는 경제 현상의 역사적 특수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이론적 체계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 5. 사회주의역사학파
    사회주의역사학파는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사회주의역사학파는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계급 갈등을 강조하며, 역사적 관점에서 사회주의 체제의 필요성을 주장했습니다. 대표적인 사회주의역사학파 경제학자인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과 계급 갈등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주의 혁명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사회주의역사학파는 자본주의 체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실현 가능성과 이론적 체계성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 6. 한계효용학파
    한계효용학파는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개인의 효용 극대화를 중심으로 한 주관적 가치론을 주장했습니다. 대표적인 한계효용학파 경제학자인 윌리엄 스탠리 제봉스, 카를 멩거, 레온 발라스는 재화의 한계효용이 감소한다는 원리를 바탕으로 가치, 가격, 분배 등 경제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한계효용학파는 개인의 선호와 효용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개인주의적 접근으로 인해 사회적 요인을 간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 7. 신고전학파
    신고전학파는 19세기 후반 이후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고전학파의 이론을 계승하고 발전시켰습니다. 신고전학파는 개인의 합리성과 효용 극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미시경제학적 접근을 강조했습니다. 대표적인 신고전학파 경제학자인 알프레드 마샬, 레온 발라스, 윌리엄 스탠리 제봉스는 수요와 공급, 균형 가격 등의 개념을 발전시켰습니다. 신고전학파는 경제 이론의 체계화와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경제 현상을 설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현실 경제의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 8. 케인즈학파
    케인즈학파는 20세기 초반 영국에서 발전한 경제사상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을 주장했습니다. 대표적인 케인즈학파 경제학자인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완전고용 달성과 경기 안정화를 위해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의 활용을 강조했습니다. 케인즈학파는 시장 실패와 경기 변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의 역할을 중요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 개입의 한계와 인플레이션 문제 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습니다. 케인즈학파는 20세기 중반 이후 경제 정책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최근에는 신자유주의적 접근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